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0.5%로 동결…“완화 조정 판단해 나갈 것”

입력 2021.07.15 (09:47) 수정 2021.07.15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오늘(15일)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을 언급했습니다.

금통위는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다"며 완화 기조를 유지해 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금통위는 앞으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금통위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다"라고 의결문에 적었습니다.

앞으로 국내 경제에 대해선 긍정적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국내 경제 전반에 대해선 '양호한 회복세'를 이어갔다면서 올해 GDP 성장률이 지난 전망과 같이 4%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금통위는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일시 주춤하겠으나 추경 집행 등으로 다시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리고 같은 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췄습니다. 이후 이번까지 9차례 연속 같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월별로 보면 작년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에 이은 아홉 번째 동결입니다.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국내 경제 성장세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0.5%로 동결…“완화 조정 판단해 나갈 것”
    • 입력 2021-07-15 09:47:57
    • 수정2021-07-15 11:03:04
    경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오늘(15일) 기준금리를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을 언급했습니다.

금통위는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다"며 완화 기조를 유지해 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금통위는 앞으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금통위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다"라고 의결문에 적었습니다.

앞으로 국내 경제에 대해선 긍정적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국내 경제 전반에 대해선 '양호한 회복세'를 이어갔다면서 올해 GDP 성장률이 지난 전망과 같이 4%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금통위는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일시 주춤하겠으나 추경 집행 등으로 다시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리고 같은 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로 낮췄습니다. 이후 이번까지 9차례 연속 같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월별로 보면 작년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에 이은 아홉 번째 동결입니다.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국내 경제 성장세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