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결국 ‘2천 명’ 넘어선 4차 유행…비상한 ‘대응전략’ 모색해야

입력 2021.08.12 (07:53) 수정 2021.08.16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엄중식 KBS객원 해설위원(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4차 유행이 한 달 넘게 장기화되면서 의료 현장의 과부하도 점차 현실화하는 양상입니다.

50대 이하 중환자가 계속 늘고 있고, 중증 병상도 갈수록 여유가 없어지고 있습니다.

가족이 한꺼번에 확진돼 뿔뿔이 흩어져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거나 전담병원에 입원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어디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난감할 정도로 전국적인 유행이 확산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유행상황을 보면 이미 우세종이 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4단계 고강도 거리 두기의 전파 감소 효과도 한때 30%까지 올라섰다가 다시 감소하고 있습니다.

기대를 걸었던 백신 수급 상황마저 불안정해지면서 접종률을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것도 힘든 상황입니다.

말 그대로 코로나19 국내 유행 이후 방역 상황이 최대 위기 국면을 맞은 겁니다.

일각에선 조심스럽게 방역 전환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확진자 증가 억제는 불가능한 만큼 위중증 환자를 중점적으로 치료해서 치명률을 관리하자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지의 전제 조건이 필요합니다.

먼저 백신 접종률입니다.

델타 변이바이러스의 강력한 전파력을 고려하면 전 인구의 85%는 접종을 마쳐야 위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2~3개월의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중환자 치료 역량을 대폭 늘리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현재의 중환자 치료 역량을 2배 이상 늘리는 게 필요한데, 의료진 훈련 등 여기에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 방역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안타깝지만 강력한 물리적 차단 방법을 총동원하는 것뿐입니다.

정부는 당장, 시행 가능한 강력한 거리 두기 보완책을 마련해 국민을 설득해야 하고, 손실 보상도 확실히 약속해야 합니다.

또 중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끌어모아 진료 역량을 높이고, 이에 대한 지원 보상책도 보완해야 합니다.

백신 접종이 흔들림 없이 진행돼야 하는 점은 두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앞으로 한 달 뒤 어떤 상황을 마주하게 될지는 지금 우리의 결정과 결심에 달려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결국 ‘2천 명’ 넘어선 4차 유행…비상한 ‘대응전략’ 모색해야
    • 입력 2021-08-12 07:53:33
    • 수정2021-08-16 08:01:50
    뉴스광장
엄중식 KBS객원 해설위원(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2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4차 유행이 한 달 넘게 장기화되면서 의료 현장의 과부하도 점차 현실화하는 양상입니다.

50대 이하 중환자가 계속 늘고 있고, 중증 병상도 갈수록 여유가 없어지고 있습니다.

가족이 한꺼번에 확진돼 뿔뿔이 흩어져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거나 전담병원에 입원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어디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난감할 정도로 전국적인 유행이 확산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유행상황을 보면 이미 우세종이 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4단계 고강도 거리 두기의 전파 감소 효과도 한때 30%까지 올라섰다가 다시 감소하고 있습니다.

기대를 걸었던 백신 수급 상황마저 불안정해지면서 접종률을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것도 힘든 상황입니다.

말 그대로 코로나19 국내 유행 이후 방역 상황이 최대 위기 국면을 맞은 겁니다.

일각에선 조심스럽게 방역 전환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확진자 증가 억제는 불가능한 만큼 위중증 환자를 중점적으로 치료해서 치명률을 관리하자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지의 전제 조건이 필요합니다.

먼저 백신 접종률입니다.

델타 변이바이러스의 강력한 전파력을 고려하면 전 인구의 85%는 접종을 마쳐야 위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2~3개월의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중환자 치료 역량을 대폭 늘리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현재의 중환자 치료 역량을 2배 이상 늘리는 게 필요한데, 의료진 훈련 등 여기에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 방역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안타깝지만 강력한 물리적 차단 방법을 총동원하는 것뿐입니다.

정부는 당장, 시행 가능한 강력한 거리 두기 보완책을 마련해 국민을 설득해야 하고, 손실 보상도 확실히 약속해야 합니다.

또 중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의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끌어모아 진료 역량을 높이고, 이에 대한 지원 보상책도 보완해야 합니다.

백신 접종이 흔들림 없이 진행돼야 하는 점은 두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앞으로 한 달 뒤 어떤 상황을 마주하게 될지는 지금 우리의 결정과 결심에 달려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