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초 ‘코로나 신용 사면’ 추진…대상자 2~3백만 명 될 듯

입력 2021.08.12 (10:01) 수정 2021.08.12 (1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생긴 빚을 제때 갚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이른바 '신용 사면'이 추진됩니다.

빚을 다 갚으면, 이후 신용평가를 할 때 연체 기록을 가려준다는 것인데 언제 얼마나 연체한 빚이 해당되는 지 김범주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장기화로 사업이나 생활자금 명목으로 많은 사람이 빚을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 연체로 인한 채무조정 신청 건수는 코로나 이전보다 만 건 가까이 늘었습니다.

연체가 되면 신용등급이 하락하는데, 빚을 다 갚더라도 길게는 5년 동안 그 기록이 남습니다.

이런 사람들을 돕기 위해 10월 초를 목표로 이른바 신용사면이 추진됩니다.

핵심은 금융기관은 물론 신용평가사도 이 연체 기록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건데, 이렇게 되면 다른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수 있어 신용등급이 올라가는 효과가 생깁니다.

[은성수/금융위원장 : "코로나가 있었던 부분은 좀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마치 2020년, 2021년이라는 것이 우리 역사에 없었던 것처럼. 좀 중단을 해주면은 그분들이 신용회복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겠나."]

다만, 적용 대상은 연체한 빚을 모두 갚은 사람으로 한정했습니다.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지난해 1월부터 이번 달 31일까지 2천만 원 이하의 빚을 연체했다 이를 모두 갚은 경우가 해당하며, 대상자 수는 2백만 명에서 3백만 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소액의 경우 고의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새로운 출발을 통해서 지원책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고요."]

금융당국은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때도 소액 연체자에 대해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신용회복을 지원했습니다.

KBS 뉴스 김범주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홍윤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월 초 ‘코로나 신용 사면’ 추진…대상자 2~3백만 명 될 듯
    • 입력 2021-08-12 10:01:22
    • 수정2021-08-12 10:05:30
    930뉴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생긴 빚을 제때 갚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이른바 '신용 사면'이 추진됩니다.

빚을 다 갚으면, 이후 신용평가를 할 때 연체 기록을 가려준다는 것인데 언제 얼마나 연체한 빚이 해당되는 지 김범주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코로나19 장기화로 사업이나 생활자금 명목으로 많은 사람이 빚을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 연체로 인한 채무조정 신청 건수는 코로나 이전보다 만 건 가까이 늘었습니다.

연체가 되면 신용등급이 하락하는데, 빚을 다 갚더라도 길게는 5년 동안 그 기록이 남습니다.

이런 사람들을 돕기 위해 10월 초를 목표로 이른바 신용사면이 추진됩니다.

핵심은 금융기관은 물론 신용평가사도 이 연체 기록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건데, 이렇게 되면 다른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수 있어 신용등급이 올라가는 효과가 생깁니다.

[은성수/금융위원장 : "코로나가 있었던 부분은 좀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마치 2020년, 2021년이라는 것이 우리 역사에 없었던 것처럼. 좀 중단을 해주면은 그분들이 신용회복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겠나."]

다만, 적용 대상은 연체한 빚을 모두 갚은 사람으로 한정했습니다.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지난해 1월부터 이번 달 31일까지 2천만 원 이하의 빚을 연체했다 이를 모두 갚은 경우가 해당하며, 대상자 수는 2백만 명에서 3백만 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소액의 경우 고의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새로운 출발을 통해서 지원책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고요."]

금융당국은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때도 소액 연체자에 대해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신용회복을 지원했습니다.

KBS 뉴스 김범주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홍윤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