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언제 어디서든 만날 준비”…남북 인도적 협력 지지

입력 2021.08.23 (21:28) 수정 2021.08.23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한미연합훈련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과 미국의 북핵 수석대표들이 만났습니다.

미국의 성김 대표는 언제든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있다고 했고,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 달여 만에 다시 만난 한미 수석대표들은 현재 한반도 정세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며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노규덕/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다소 민감합니다. 오늘 우리가 만난 것은 시의적절하고 의미있는 일입니다."]

오늘(23일) 협의에서 한미 대표들은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북한과의 대화가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성김 대표는 한미연합 훈련에 반발해 도발 가능성까지 내비친 북한에 대해 언제든 만날 준비가 돼있다는 말로 대화 재개 의지를 거듭 나타냈습니다.

[성 김/미국 대북특별대표 :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연합훈련은 오랜 기간 계속된 방어적인 훈련입니다. 나는 언제 어디서나 북한측 인사들과 만날 준비가 돼있습니다."]

특히 한미 간에는 대북 인도적 지원도 논의됐는데, 지원 분야와 방법 등 구체적인 방안도 다뤄졌습니다.

[노규덕/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감염병 방역, 식수 및 위생 등 가능한 분야에서 북한과의 인도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를 통한 지원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당장 인도적 지원에 호응할 가능성은 많지 않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도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서 백신이 필요하고, 그렇다면 방역 협력의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아직까지 북한이 비상 방역체계로 국경을 열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성김 대표는 같은 기간 방한한 러시아측 북핵대표인 모르굴로프 차관과도 비공개로 만나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김은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과 언제 어디서든 만날 준비”…남북 인도적 협력 지지
    • 입력 2021-08-23 21:28:56
    • 수정2021-08-23 22:08:10
    뉴스 9
[앵커]

북한이 한미연합훈련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과 미국의 북핵 수석대표들이 만났습니다.

미국의 성김 대표는 언제든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있다고 했고,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두 달여 만에 다시 만난 한미 수석대표들은 현재 한반도 정세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며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노규덕/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다소 민감합니다. 오늘 우리가 만난 것은 시의적절하고 의미있는 일입니다."]

오늘(23일) 협의에서 한미 대표들은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북한과의 대화가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성김 대표는 한미연합 훈련에 반발해 도발 가능성까지 내비친 북한에 대해 언제든 만날 준비가 돼있다는 말로 대화 재개 의지를 거듭 나타냈습니다.

[성 김/미국 대북특별대표 :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연합훈련은 오랜 기간 계속된 방어적인 훈련입니다. 나는 언제 어디서나 북한측 인사들과 만날 준비가 돼있습니다."]

특히 한미 간에는 대북 인도적 지원도 논의됐는데, 지원 분야와 방법 등 구체적인 방안도 다뤄졌습니다.

[노규덕/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감염병 방역, 식수 및 위생 등 가능한 분야에서 북한과의 인도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를 통한 지원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당장 인도적 지원에 호응할 가능성은 많지 않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도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서 백신이 필요하고, 그렇다면 방역 협력의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아직까지 북한이 비상 방역체계로 국경을 열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성김 대표는 같은 기간 방한한 러시아측 북핵대표인 모르굴로프 차관과도 비공개로 만나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촬영기자:심규일/영상편집:김은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