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장마·태풍 영향…전북 내일까지 최대 300㎜ 비

입력 2021.08.23 (21:41) 수정 2021.08.23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전북 일부 지역에 가을 장마로 비가 내리는 가운데 12호 태풍 '오마이스'가 북상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기상 소식, 오정현 기자가 날씨 지도를 통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네, 태풍 '오마이스'가 북상하고 있습니다.

전북 지역은 자정부터 내일 새벽 3시 사이 태풍이 가장 근접하면서 영향권에 들겠는데요.

서해 남부 먼바다엔 풍랑주의보가 내려졌고, 무주와 임실엔 호우 예비특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앞서 가을 장마 구름대까지 뭉치며 군산에 내려졌던 호우 경보는 저녁 6시 해제됐고, 순창과 남원, 장수에 발표된 태풍 예비특보도 조금 전 해제됐습니다.

지금까지 온 비의 양입니다.

오늘 하루, 군산 어청도 141, 부안엔 67.2, 김제 56.5밀리미터가 내렸습니다.

비는 내일까지 최고 3백 밀리미터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 바닷물 수위가 매우 높습니다.

낮은 곳으로 물이 넘어오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통제구역은 어딘지 살펴보겠습니다.

남원 요천 같은 경우 오전부터 둔치주차장에 세워뒀던 차들이 옮겨졌고요,

진안 마이산과 고창 선운산, 남원 지리산, 정읍 내장산, 무주 덕유산, 부안 변산반도 등 국립공원 탐방로 72곳 역시 출입이 막혔습니다.

군산과 제주를 오가는 항공편, 오후부터 모두 결항됐습니다.

이 화면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입니다.

여기서 내 주변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군산시 나운 1동을 선택하면 아래쪽에 대피시설의 목록과 위치, 또 수용인원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금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가 어딘지 미리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다시 첫 화면으로 가면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에 따른 행동요령도 나와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 어디에 신고해야 하는지, 비상 연락처도 있으니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KBS 재난 스튜디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을 장마·태풍 영향…전북 내일까지 최대 300㎜ 비
    • 입력 2021-08-23 21:41:44
    • 수정2021-08-23 22:01:32
    뉴스9(전주)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전북 일부 지역에 가을 장마로 비가 내리는 가운데 12호 태풍 '오마이스'가 북상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기상 소식, 오정현 기자가 날씨 지도를 통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네, 태풍 '오마이스'가 북상하고 있습니다.

전북 지역은 자정부터 내일 새벽 3시 사이 태풍이 가장 근접하면서 영향권에 들겠는데요.

서해 남부 먼바다엔 풍랑주의보가 내려졌고, 무주와 임실엔 호우 예비특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앞서 가을 장마 구름대까지 뭉치며 군산에 내려졌던 호우 경보는 저녁 6시 해제됐고, 순창과 남원, 장수에 발표된 태풍 예비특보도 조금 전 해제됐습니다.

지금까지 온 비의 양입니다.

오늘 하루, 군산 어청도 141, 부안엔 67.2, 김제 56.5밀리미터가 내렸습니다.

비는 내일까지 최고 3백 밀리미터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 바닷물 수위가 매우 높습니다.

낮은 곳으로 물이 넘어오면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통제구역은 어딘지 살펴보겠습니다.

남원 요천 같은 경우 오전부터 둔치주차장에 세워뒀던 차들이 옮겨졌고요,

진안 마이산과 고창 선운산, 남원 지리산, 정읍 내장산, 무주 덕유산, 부안 변산반도 등 국립공원 탐방로 72곳 역시 출입이 막혔습니다.

군산과 제주를 오가는 항공편, 오후부터 모두 결항됐습니다.

이 화면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입니다.

여기서 내 주변 대피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군산시 나운 1동을 선택하면 아래쪽에 대피시설의 목록과 위치, 또 수용인원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금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가 어딘지 미리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다시 첫 화면으로 가면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에 따른 행동요령도 나와 있습니다.

위기 상황에 어디에 신고해야 하는지, 비상 연락처도 있으니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KBS 재난 스튜디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