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직업훈련도 VR 최첨단 기술로 지원
입력 2021.08.28 (21:30)
수정 2021.08.28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발달장애인의 직업 교육을 돕는 맞춤형 가상 훈련 콘텐츠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가상현실과 센서기술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실제와 같은 현장감 있는 실습이 가능합니다.
양민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구실 안에서 세차용 스팀 분사기를 작동합니다.
증기가 실제 나오진 않지만 차를 향해 분사기를 작동하는 모습은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에 표현됩니다.
수건으로 차를 닦으면 적당한 힘으로 닦고 있는지 센서가 감지해 알려줍니다.
발달장애인들의 직업교육을 돕는 가상 훈련 실감 콘텐츠로 위험 요소는 피하면서 반복 훈련이 가능합니다.
[신희숙/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지식콘텐츠연구실 책임연구원 : “촉각 피드백이나 동작인식, 압력센싱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서 촉각적으로 좀 더 실감 나게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도록 보호자와 교사 등이 제공하는 활동인 '중재기법'을 콘텐츠로 제작해 교육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 기술은 세차뿐 아니라 바리스타 교육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실제 이 교육을 받은 훈련생들이 한 대기업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에 오늘 10월 취업합니다.
[민한별/교육훈련생 : “실제 카페 속에 있는 것 같아 신기했고, VR을 통해 바리스타에 더 관심이 생겼습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장애인 취업률이 높은 직종은 물론, 비장애인의 비대면 교육훈련을 위한 콘텐츠 개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일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 “일반인들이 다양한 훈련이나 체험하는 것을 VR 기술을 이용해서 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가상현실 등 최첨단 기술이 장애인들의 직업 선택 기회를 넓히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발달장애인의 직업 교육을 돕는 맞춤형 가상 훈련 콘텐츠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가상현실과 센서기술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실제와 같은 현장감 있는 실습이 가능합니다.
양민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구실 안에서 세차용 스팀 분사기를 작동합니다.
증기가 실제 나오진 않지만 차를 향해 분사기를 작동하는 모습은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에 표현됩니다.
수건으로 차를 닦으면 적당한 힘으로 닦고 있는지 센서가 감지해 알려줍니다.
발달장애인들의 직업교육을 돕는 가상 훈련 실감 콘텐츠로 위험 요소는 피하면서 반복 훈련이 가능합니다.
[신희숙/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지식콘텐츠연구실 책임연구원 : “촉각 피드백이나 동작인식, 압력센싱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서 촉각적으로 좀 더 실감 나게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도록 보호자와 교사 등이 제공하는 활동인 '중재기법'을 콘텐츠로 제작해 교육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 기술은 세차뿐 아니라 바리스타 교육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실제 이 교육을 받은 훈련생들이 한 대기업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에 오늘 10월 취업합니다.
[민한별/교육훈련생 : “실제 카페 속에 있는 것 같아 신기했고, VR을 통해 바리스타에 더 관심이 생겼습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장애인 취업률이 높은 직종은 물론, 비장애인의 비대면 교육훈련을 위한 콘텐츠 개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일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 “일반인들이 다양한 훈련이나 체험하는 것을 VR 기술을 이용해서 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가상현실 등 최첨단 기술이 장애인들의 직업 선택 기회를 넓히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인 직업훈련도 VR 최첨단 기술로 지원
-
- 입력 2021-08-28 21:30:21
- 수정2021-08-28 21:47:49

[앵커]
발달장애인의 직업 교육을 돕는 맞춤형 가상 훈련 콘텐츠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가상현실과 센서기술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실제와 같은 현장감 있는 실습이 가능합니다.
양민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구실 안에서 세차용 스팀 분사기를 작동합니다.
증기가 실제 나오진 않지만 차를 향해 분사기를 작동하는 모습은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에 표현됩니다.
수건으로 차를 닦으면 적당한 힘으로 닦고 있는지 센서가 감지해 알려줍니다.
발달장애인들의 직업교육을 돕는 가상 훈련 실감 콘텐츠로 위험 요소는 피하면서 반복 훈련이 가능합니다.
[신희숙/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지식콘텐츠연구실 책임연구원 : “촉각 피드백이나 동작인식, 압력센싱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서 촉각적으로 좀 더 실감 나게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도록 보호자와 교사 등이 제공하는 활동인 '중재기법'을 콘텐츠로 제작해 교육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 기술은 세차뿐 아니라 바리스타 교육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실제 이 교육을 받은 훈련생들이 한 대기업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에 오늘 10월 취업합니다.
[민한별/교육훈련생 : “실제 카페 속에 있는 것 같아 신기했고, VR을 통해 바리스타에 더 관심이 생겼습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장애인 취업률이 높은 직종은 물론, 비장애인의 비대면 교육훈련을 위한 콘텐츠 개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일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 “일반인들이 다양한 훈련이나 체험하는 것을 VR 기술을 이용해서 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가상현실 등 최첨단 기술이 장애인들의 직업 선택 기회를 넓히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발달장애인의 직업 교육을 돕는 맞춤형 가상 훈련 콘텐츠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습니다.
가상현실과 센서기술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해 실제와 같은 현장감 있는 실습이 가능합니다.
양민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연구실 안에서 세차용 스팀 분사기를 작동합니다.
증기가 실제 나오진 않지만 차를 향해 분사기를 작동하는 모습은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에 표현됩니다.
수건으로 차를 닦으면 적당한 힘으로 닦고 있는지 센서가 감지해 알려줍니다.
발달장애인들의 직업교육을 돕는 가상 훈련 실감 콘텐츠로 위험 요소는 피하면서 반복 훈련이 가능합니다.
[신희숙/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지식콘텐츠연구실 책임연구원 : “촉각 피드백이나 동작인식, 압력센싱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서 촉각적으로 좀 더 실감 나게 기술을 구현했습니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긍정적 행동을 유발하도록 보호자와 교사 등이 제공하는 활동인 '중재기법'을 콘텐츠로 제작해 교육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 기술은 세차뿐 아니라 바리스타 교육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실제 이 교육을 받은 훈련생들이 한 대기업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에 오늘 10월 취업합니다.
[민한별/교육훈련생 : “실제 카페 속에 있는 것 같아 신기했고, VR을 통해 바리스타에 더 관심이 생겼습니다.”]
전자통신연구원은 장애인 취업률이 높은 직종은 물론, 비장애인의 비대면 교육훈련을 위한 콘텐츠 개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일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 “일반인들이 다양한 훈련이나 체험하는 것을 VR 기술을 이용해서 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가상현실 등 최첨단 기술이 장애인들의 직업 선택 기회를 넓히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
양민오 기자 yangmino@kbs.co.kr
양민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