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산 관광단지 교통난 대책 왜 못 세우나?
입력 2021.08.30 (19:31)
수정 2021.08.30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죠.
제대로 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취재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노 기자, 어서 오세요.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자치단체도 손쓸 수 없을 지경이라는데, 현재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네, 동부산 관광단지의 핵심 시설이 잇달아 개장하며 교통량도 빠르게 늘고 있는데요,
도로는 크게 개선이 안 된 상태에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어 각종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급기야 담당 자치단체인 기장군이 더는 못 참겠다며 반발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기장군은 이달 초 동부산 관광단지에 들어서는 건축 관련 인허가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유가 바로 교통난 때문입니다.
기장군은 주말이나 휴일에 동부산 관광단지에 하루 최대 1만 4천 대의 차량이 방문한다고 전했는데요.
마땅한 교통 대책은 없이 각종 시설만 짓다 보니 이제 도로 용량이 포화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동인구가 늘며 하수 발생량까지 많아지자, 기존의 하수처리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기장군이 이렇게까지 나오는 건 부산시에 대책을 요구하라는 항의의 표기인 셈인데요,
부산시가 역점 사업인 동부산 관광단지를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기장군과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건축 허가를 더는 내줄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면 당장 필요한 대책을 세워야할텐데, 뾰족한 방법이 없나요?
[기자]
네, 그래서 더 큰 문젠데요,
물론 부산시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닙니다.
그동안 교통 대책을 내놓기는했는데요.
이게 교통난을 해소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데서 잡음이 일고 있는 겁니다.
부산시는 차선을 일부 늘리고, 교통량 분산을 위해 전광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시 주차장도 늘리고, 버스도 더 편성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여기에 교통신호 체계도 바꿔 교차로 간 신호를 연동하고, 평일과 주말 시간대 운영 시간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이 일대의 교통 안전 대책 수립을 1호 시책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이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기 어렵다는 겁니다.
당장 3년 뒤면 동부산 관광단지의 모든 시설이 문을 열게 될 전망이거든요.
그럼 연간 2천만 명이 이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때가 되면 지금의 교통난보다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겠죠.
교통량을 분산할 도로 확장이나 대체 대중교통편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앵커]
기존에 추진하던 단기적인 대책이 아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 같은데, 준비는 돼가고 있나요?
[기자]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부산시는 장기적인 교통망 확충 계획으로 반송터널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금정구와 동부산관광단지를 잇는 터널을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게 암초를 만났습니다.
최근 국토부가 반송터널 사업을 대도시 혼잡도로 계획에서 뺀 겁니다.
경제성이 낮다는 건데, 터널을 만들기 위한 국비 지원을 당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기장군이 자체 예산으로라도 용역을 해서 사전타당성 용역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만큼 다급하다는 얘깁니다.
쉽진 않지만 이렇게 해서 국비 지원을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예산이 집행돼 공사에 들어가는 시점은 가늠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결국,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앞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야기를 들어보니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문제지만 대책 수립이 늦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밖에 없네요.
부산시가 밝힌 것처럼 부산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한 핵심 시설인만큼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죠.
제대로 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취재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노 기자, 어서 오세요.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자치단체도 손쓸 수 없을 지경이라는데, 현재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네, 동부산 관광단지의 핵심 시설이 잇달아 개장하며 교통량도 빠르게 늘고 있는데요,
도로는 크게 개선이 안 된 상태에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어 각종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급기야 담당 자치단체인 기장군이 더는 못 참겠다며 반발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기장군은 이달 초 동부산 관광단지에 들어서는 건축 관련 인허가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유가 바로 교통난 때문입니다.
기장군은 주말이나 휴일에 동부산 관광단지에 하루 최대 1만 4천 대의 차량이 방문한다고 전했는데요.
마땅한 교통 대책은 없이 각종 시설만 짓다 보니 이제 도로 용량이 포화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동인구가 늘며 하수 발생량까지 많아지자, 기존의 하수처리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기장군이 이렇게까지 나오는 건 부산시에 대책을 요구하라는 항의의 표기인 셈인데요,
부산시가 역점 사업인 동부산 관광단지를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기장군과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건축 허가를 더는 내줄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면 당장 필요한 대책을 세워야할텐데, 뾰족한 방법이 없나요?
[기자]
네, 그래서 더 큰 문젠데요,
물론 부산시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닙니다.
그동안 교통 대책을 내놓기는했는데요.
이게 교통난을 해소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데서 잡음이 일고 있는 겁니다.
부산시는 차선을 일부 늘리고, 교통량 분산을 위해 전광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시 주차장도 늘리고, 버스도 더 편성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여기에 교통신호 체계도 바꿔 교차로 간 신호를 연동하고, 평일과 주말 시간대 운영 시간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이 일대의 교통 안전 대책 수립을 1호 시책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이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기 어렵다는 겁니다.
당장 3년 뒤면 동부산 관광단지의 모든 시설이 문을 열게 될 전망이거든요.
그럼 연간 2천만 명이 이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때가 되면 지금의 교통난보다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겠죠.
교통량을 분산할 도로 확장이나 대체 대중교통편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앵커]
기존에 추진하던 단기적인 대책이 아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 같은데, 준비는 돼가고 있나요?
[기자]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부산시는 장기적인 교통망 확충 계획으로 반송터널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금정구와 동부산관광단지를 잇는 터널을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게 암초를 만났습니다.
최근 국토부가 반송터널 사업을 대도시 혼잡도로 계획에서 뺀 겁니다.
경제성이 낮다는 건데, 터널을 만들기 위한 국비 지원을 당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기장군이 자체 예산으로라도 용역을 해서 사전타당성 용역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만큼 다급하다는 얘깁니다.
쉽진 않지만 이렇게 해서 국비 지원을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예산이 집행돼 공사에 들어가는 시점은 가늠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결국,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앞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야기를 들어보니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문제지만 대책 수립이 늦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밖에 없네요.
부산시가 밝힌 것처럼 부산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한 핵심 시설인만큼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부산 관광단지 교통난 대책 왜 못 세우나?
-
- 입력 2021-08-30 19:31:02
- 수정2021-08-30 20:00:11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죠.
제대로 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취재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노 기자, 어서 오세요.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자치단체도 손쓸 수 없을 지경이라는데, 현재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네, 동부산 관광단지의 핵심 시설이 잇달아 개장하며 교통량도 빠르게 늘고 있는데요,
도로는 크게 개선이 안 된 상태에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어 각종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급기야 담당 자치단체인 기장군이 더는 못 참겠다며 반발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기장군은 이달 초 동부산 관광단지에 들어서는 건축 관련 인허가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유가 바로 교통난 때문입니다.
기장군은 주말이나 휴일에 동부산 관광단지에 하루 최대 1만 4천 대의 차량이 방문한다고 전했는데요.
마땅한 교통 대책은 없이 각종 시설만 짓다 보니 이제 도로 용량이 포화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동인구가 늘며 하수 발생량까지 많아지자, 기존의 하수처리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기장군이 이렇게까지 나오는 건 부산시에 대책을 요구하라는 항의의 표기인 셈인데요,
부산시가 역점 사업인 동부산 관광단지를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기장군과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건축 허가를 더는 내줄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면 당장 필요한 대책을 세워야할텐데, 뾰족한 방법이 없나요?
[기자]
네, 그래서 더 큰 문젠데요,
물론 부산시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닙니다.
그동안 교통 대책을 내놓기는했는데요.
이게 교통난을 해소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데서 잡음이 일고 있는 겁니다.
부산시는 차선을 일부 늘리고, 교통량 분산을 위해 전광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시 주차장도 늘리고, 버스도 더 편성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여기에 교통신호 체계도 바꿔 교차로 간 신호를 연동하고, 평일과 주말 시간대 운영 시간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이 일대의 교통 안전 대책 수립을 1호 시책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이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기 어렵다는 겁니다.
당장 3년 뒤면 동부산 관광단지의 모든 시설이 문을 열게 될 전망이거든요.
그럼 연간 2천만 명이 이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때가 되면 지금의 교통난보다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겠죠.
교통량을 분산할 도로 확장이나 대체 대중교통편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앵커]
기존에 추진하던 단기적인 대책이 아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 같은데, 준비는 돼가고 있나요?
[기자]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부산시는 장기적인 교통망 확충 계획으로 반송터널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금정구와 동부산관광단지를 잇는 터널을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게 암초를 만났습니다.
최근 국토부가 반송터널 사업을 대도시 혼잡도로 계획에서 뺀 겁니다.
경제성이 낮다는 건데, 터널을 만들기 위한 국비 지원을 당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기장군이 자체 예산으로라도 용역을 해서 사전타당성 용역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만큼 다급하다는 얘깁니다.
쉽진 않지만 이렇게 해서 국비 지원을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예산이 집행돼 공사에 들어가는 시점은 가늠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결국,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앞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야기를 들어보니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문제지만 대책 수립이 늦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밖에 없네요.
부산시가 밝힌 것처럼 부산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한 핵심 시설인만큼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죠.
제대로 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취재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보도국 노준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노 기자, 어서 오세요.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자치단체도 손쓸 수 없을 지경이라는데, 현재 상황, 어느 정돈가요?
[기자]
네, 동부산 관광단지의 핵심 시설이 잇달아 개장하며 교통량도 빠르게 늘고 있는데요,
도로는 크게 개선이 안 된 상태에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어 각종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급기야 담당 자치단체인 기장군이 더는 못 참겠다며 반발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기장군은 이달 초 동부산 관광단지에 들어서는 건축 관련 인허가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유가 바로 교통난 때문입니다.
기장군은 주말이나 휴일에 동부산 관광단지에 하루 최대 1만 4천 대의 차량이 방문한다고 전했는데요.
마땅한 교통 대책은 없이 각종 시설만 짓다 보니 이제 도로 용량이 포화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동인구가 늘며 하수 발생량까지 많아지자, 기존의 하수처리장이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기장군이 이렇게까지 나오는 건 부산시에 대책을 요구하라는 항의의 표기인 셈인데요,
부산시가 역점 사업인 동부산 관광단지를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기장군과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건축 허가를 더는 내줄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라면 당장 필요한 대책을 세워야할텐데, 뾰족한 방법이 없나요?
[기자]
네, 그래서 더 큰 문젠데요,
물론 부산시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닙니다.
그동안 교통 대책을 내놓기는했는데요.
이게 교통난을 해소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데서 잡음이 일고 있는 겁니다.
부산시는 차선을 일부 늘리고, 교통량 분산을 위해 전광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임시 주차장도 늘리고, 버스도 더 편성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여기에 교통신호 체계도 바꿔 교차로 간 신호를 연동하고, 평일과 주말 시간대 운영 시간을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이 일대의 교통 안전 대책 수립을 1호 시책으로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이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기 어렵다는 겁니다.
당장 3년 뒤면 동부산 관광단지의 모든 시설이 문을 열게 될 전망이거든요.
그럼 연간 2천만 명이 이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때가 되면 지금의 교통난보다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크겠죠.
교통량을 분산할 도로 확장이나 대체 대중교통편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앵커]
기존에 추진하던 단기적인 대책이 아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 같은데, 준비는 돼가고 있나요?
[기자]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부산시는 장기적인 교통망 확충 계획으로 반송터널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금정구와 동부산관광단지를 잇는 터널을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게 암초를 만났습니다.
최근 국토부가 반송터널 사업을 대도시 혼잡도로 계획에서 뺀 겁니다.
경제성이 낮다는 건데, 터널을 만들기 위한 국비 지원을 당장은 기대할 수 없게 됐습니다.
기장군이 자체 예산으로라도 용역을 해서 사전타당성 용역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요,
그만큼 다급하다는 얘깁니다.
쉽진 않지만 이렇게 해서 국비 지원을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예산이 집행돼 공사에 들어가는 시점은 가늠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결국, 동부산 관광단지의 교통난, 앞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야기를 들어보니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문제지만 대책 수립이 늦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밖에 없네요.
부산시가 밝힌 것처럼 부산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한 핵심 시설인만큼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
-
노준철 기자 argos@kbs.co.kr
노준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