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장비 부실 관리]③ “기상 장비, 정확한 현황도 몰라”

입력 2021.09.01 (19:20) 수정 2021.09.01 (2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동기상관측장비, AWS의 부실 관리실태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세 번째 순서입니다.

KBS는 지난 이틀 동안 기상관측장비의 중복 설치와 부실 관리 실태를 보도해드렸습니다.

기상청에서는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유관기관 기상장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현황 파악도 안 되고 있는 거로 확인됐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기상정보를 보다 빠르고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 AWS.

KBS가 파악한 장비 현황을 강원도 지도에 표시해 봤습니다.

먼저, 기상청입니다.

91대를 갖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18개 시군이 설치한 게 171대입니다.

이어, 산림청 109대가 있고, 환경부와 한국전력, 한국수자원공사가 각각 50~60대 정도씩 갖고 있습니다.

이밖에, 농촌진흥청과 국립공원공단 등 각각 10대에서 20대 정도씩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더하면 27개 기관의 장비는 608댑니다.

그런데, 이 가운데 현재 기상청에 등록된 장비는 470대에 불과합니다.

130대 넘게 차이가 납니다.

일부 시군과 한전, 환경부 등이 설치한 장비가 빠진 결괍니다.

지금으로부터 15년 전.

당시 전국에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던 기상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상관측표준화법'이 만들어졌습니다.

각 기관의 기상장비와 기록을 기상청에 등록해 여러 기관이 공유하도록 했습니다.

문제는 이게 의무사항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기상청 공무원/음성변조 : "시설 현황을 조사할 때 그 기관에 시설을 달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그쪽에서 알려주지 않은 지점까지 우리가 다 파악을 하지는 못하고 있어요."]

실제로 환경부의 강수량계는 아예 기상청 예보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관계자/음성변조 : "그게 법이 달라서 그렇지 않을까요. 그러니까 기상법이 있고 우리는 수자원법으로 설치를 하지 않습니까?"]

한국전력도 자료를 공유하지 않습니다.

2019년 고성 산불 이후 설치된 기상관측장비가 있습니다.

지금 제 뒤로 보이는 전신주 중간쯤에 달려 있는데요.

바로 초음파 풍향풍속계입니다.

국가보안시설이란 이윱니다.

[한국전력 관계자/음성변조 :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이라서 저희 망이 폐쇄망으로 운영이 됩니다. 가급적 (자료) 제공을 안 하는 게 맞기는 하거든요. 데이터에 대한 추출 부분이 보안 위협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다보니, KBS가 파악한 강원도 내 기상장비의 5분의 1은 기상청의 관리를 벗어나 있습니다.

[박수진/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위원 : "동일한 장비를 가지고 운영 목적이 다르다고 해서 여러 기관에서 그 장비를 설치·운영하는 것은 일종의 칸막이 행정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국민의 알 권리 측면에서도 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여기에 군 부대 보유 장비를 비롯해 KBS가 자료 자체를 확보하지 못한 장비까지 포함하면, 기상청도 모르는 기상장비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상장비 부실 관리]③ “기상 장비, 정확한 현황도 몰라”
    • 입력 2021-09-01 19:20:02
    • 수정2021-09-01 20:34:17
    뉴스7(춘천)
[앵커]

자동기상관측장비, AWS의 부실 관리실태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세 번째 순서입니다.

KBS는 지난 이틀 동안 기상관측장비의 중복 설치와 부실 관리 실태를 보도해드렸습니다.

기상청에서는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유관기관 기상장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현황 파악도 안 되고 있는 거로 확인됐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기상정보를 보다 빠르고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 AWS.

KBS가 파악한 장비 현황을 강원도 지도에 표시해 봤습니다.

먼저, 기상청입니다.

91대를 갖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18개 시군이 설치한 게 171대입니다.

이어, 산림청 109대가 있고, 환경부와 한국전력, 한국수자원공사가 각각 50~60대 정도씩 갖고 있습니다.

이밖에, 농촌진흥청과 국립공원공단 등 각각 10대에서 20대 정도씩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더하면 27개 기관의 장비는 608댑니다.

그런데, 이 가운데 현재 기상청에 등록된 장비는 470대에 불과합니다.

130대 넘게 차이가 납니다.

일부 시군과 한전, 환경부 등이 설치한 장비가 빠진 결괍니다.

지금으로부터 15년 전.

당시 전국에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던 기상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상관측표준화법'이 만들어졌습니다.

각 기관의 기상장비와 기록을 기상청에 등록해 여러 기관이 공유하도록 했습니다.

문제는 이게 의무사항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기상청 공무원/음성변조 : "시설 현황을 조사할 때 그 기관에 시설을 달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그쪽에서 알려주지 않은 지점까지 우리가 다 파악을 하지는 못하고 있어요."]

실제로 환경부의 강수량계는 아예 기상청 예보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관계자/음성변조 : "그게 법이 달라서 그렇지 않을까요. 그러니까 기상법이 있고 우리는 수자원법으로 설치를 하지 않습니까?"]

한국전력도 자료를 공유하지 않습니다.

2019년 고성 산불 이후 설치된 기상관측장비가 있습니다.

지금 제 뒤로 보이는 전신주 중간쯤에 달려 있는데요.

바로 초음파 풍향풍속계입니다.

국가보안시설이란 이윱니다.

[한국전력 관계자/음성변조 :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이라서 저희 망이 폐쇄망으로 운영이 됩니다. 가급적 (자료) 제공을 안 하는 게 맞기는 하거든요. 데이터에 대한 추출 부분이 보안 위협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다보니, KBS가 파악한 강원도 내 기상장비의 5분의 1은 기상청의 관리를 벗어나 있습니다.

[박수진/한국기후변화연구원 연구위원 : "동일한 장비를 가지고 운영 목적이 다르다고 해서 여러 기관에서 그 장비를 설치·운영하는 것은 일종의 칸막이 행정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국민의 알 권리 측면에서도 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여기에 군 부대 보유 장비를 비롯해 KBS가 자료 자체를 확보하지 못한 장비까지 포함하면, 기상청도 모르는 기상장비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