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감찰 방해’ 윤석열 수사 속도…임은정 소환

입력 2021.09.08 (19:23) 수정 2021.09.08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1호 수사를 마무리 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전 검찰총장 관련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먼저 윤 전 총장이 한명숙 전 국무총리 수사팀의 모해위증 교사 사건 수사를 방해했다는 혐의에 대해, 오늘 핵심 참고인인 임은정 법무부 감찰담당관을 공수처에 불러 조사했습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위증 교사 의혹은 지난해 4월 법무부에 진정이 접수됐습니다.

임은정 검사는 대검 감찰부에 부임한 지난해 9월부터 사실관계를 파악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섯 달 뒤인 지난 3월 대검이 이 사건의 주임검사를 감찰3과장으로 새로 지정하면서 자신을 업무에서 배제했다는게 임 검사의 주장입니다.

시민단체 고발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을 지난 6월 입건한 공수처는 임 검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임은정/법무부 감찰담당관 : "(수사기록이) 모두 9권이니까요. 모든 기록이 검사 임은정으로 돼 있는데. (윤석열) 총장님이 그걸 몰랐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사실일 수는 없고요."]

공수처는 임 검사가 제출한 기록과 함께 법무부와 대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윤 전 총장 감찰 자료 등도 들여다보며 직권남용 혐의 유무를 검토 중입니다.

지난 7월 법무부가 윤 전 총장이 해당 사건을 대검 감찰부가 아닌 인권부에 배당하라고 지시하고, 수사 배제 등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는 합동 감찰 결과를 내놓은 상황.

반면 이에 대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추진한 윤 전 총장 징계에서도 이미 일부 의혹에 대해 무혐의 결정이 났고, 업무 배제 역시 조남관 전 대검 차장검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는 등 주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앞서 김진욱 공수처장이 윤 전 총장 사건 수사가 선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처분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관련자 소환을 시작으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촬영기자:윤성욱/영상편집:차정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수처, ‘감찰 방해’ 윤석열 수사 속도…임은정 소환
    • 입력 2021-09-08 19:23:58
    • 수정2021-09-08 19:46:19
    뉴스 7
[앵커]

최근 1호 수사를 마무리 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전 검찰총장 관련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먼저 윤 전 총장이 한명숙 전 국무총리 수사팀의 모해위증 교사 사건 수사를 방해했다는 혐의에 대해, 오늘 핵심 참고인인 임은정 법무부 감찰담당관을 공수처에 불러 조사했습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위증 교사 의혹은 지난해 4월 법무부에 진정이 접수됐습니다.

임은정 검사는 대검 감찰부에 부임한 지난해 9월부터 사실관계를 파악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섯 달 뒤인 지난 3월 대검이 이 사건의 주임검사를 감찰3과장으로 새로 지정하면서 자신을 업무에서 배제했다는게 임 검사의 주장입니다.

시민단체 고발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을 지난 6월 입건한 공수처는 임 검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임은정/법무부 감찰담당관 : "(수사기록이) 모두 9권이니까요. 모든 기록이 검사 임은정으로 돼 있는데. (윤석열) 총장님이 그걸 몰랐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사실일 수는 없고요."]

공수처는 임 검사가 제출한 기록과 함께 법무부와 대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윤 전 총장 감찰 자료 등도 들여다보며 직권남용 혐의 유무를 검토 중입니다.

지난 7월 법무부가 윤 전 총장이 해당 사건을 대검 감찰부가 아닌 인권부에 배당하라고 지시하고, 수사 배제 등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는 합동 감찰 결과를 내놓은 상황.

반면 이에 대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추진한 윤 전 총장 징계에서도 이미 일부 의혹에 대해 무혐의 결정이 났고, 업무 배제 역시 조남관 전 대검 차장검사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는 등 주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앞서 김진욱 공수처장이 윤 전 총장 사건 수사가 선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처분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관련자 소환을 시작으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촬영기자:윤성욱/영상편집:차정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