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모집 오늘부터 시작…입시 전략은?
입력 2021.09.10 (07:44)
수정 2021.09.10 (0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22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모집이 오늘(10일)부터 시작됩니다.
수험생도 교사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수시 지원 때 주의사항을 하초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교무실입니다.
대입 진학 상담이 한창입니다.
["실제로 수능에서도 등급이 이렇게 나올 거라고는 예측하기 조금 힘들 수도 있어."]
수시모집 응시원서 접수를 앞두고 자기소개서를 보완하고, 합격 가능성도 가늠해봅니다.
[모수민/춘천여자고등학교 3학년 : "앉아서 시간을 들이는 만큼 그 시간이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수시 모집에선 4년제 대학의 경우, 수험생 한 명이 6개 대학에까지 원서를 낼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은 2차례로 나눠 수시원서를 접수합니다.
또, 지원대학 개수 제한도 없습니다.
특히 올해는 문·이과 통합 선택형 수능으로 바뀌는 첫해인 만큼 수시전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대입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대학마다 원서 접수 시작일과 마감일이 다르고 원서 접수와 자기소개서 마감기한도 달라 각별히 주의해야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졸업연도와 고교유형에 따라 지원자격 제한이 있는 학교도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면접이나 논술, 적성, 실기 등 대학별 고사가 있는 경우 날짜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역인재부터 농어촌, 사회자배려자 전형까지 다양한 전형 방법이 있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골라야 합니다.
[한재현/춘천여자고등학교 교사 : "수도권에 있는 많은 대학들이 교과전형으로 지역균형전형이라는게 신설이 돼요. 그리고 약대의 학부선발 등 큰 변화들이 있거든요."]
전문가들은 이밖에 수시를 지원할 땐 자신의 성적보다 상향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2022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모집이 오늘(10일)부터 시작됩니다.
수험생도 교사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수시 지원 때 주의사항을 하초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교무실입니다.
대입 진학 상담이 한창입니다.
["실제로 수능에서도 등급이 이렇게 나올 거라고는 예측하기 조금 힘들 수도 있어."]
수시모집 응시원서 접수를 앞두고 자기소개서를 보완하고, 합격 가능성도 가늠해봅니다.
[모수민/춘천여자고등학교 3학년 : "앉아서 시간을 들이는 만큼 그 시간이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수시 모집에선 4년제 대학의 경우, 수험생 한 명이 6개 대학에까지 원서를 낼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은 2차례로 나눠 수시원서를 접수합니다.
또, 지원대학 개수 제한도 없습니다.
특히 올해는 문·이과 통합 선택형 수능으로 바뀌는 첫해인 만큼 수시전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대입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대학마다 원서 접수 시작일과 마감일이 다르고 원서 접수와 자기소개서 마감기한도 달라 각별히 주의해야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졸업연도와 고교유형에 따라 지원자격 제한이 있는 학교도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면접이나 논술, 적성, 실기 등 대학별 고사가 있는 경우 날짜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역인재부터 농어촌, 사회자배려자 전형까지 다양한 전형 방법이 있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골라야 합니다.
[한재현/춘천여자고등학교 교사 : "수도권에 있는 많은 대학들이 교과전형으로 지역균형전형이라는게 신설이 돼요. 그리고 약대의 학부선발 등 큰 변화들이 있거든요."]
전문가들은 이밖에 수시를 지원할 땐 자신의 성적보다 상향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시모집 오늘부터 시작…입시 전략은?
-
- 입력 2021-09-10 07:44:32
- 수정2021-09-10 08:05:56

[앵커]
2022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모집이 오늘(10일)부터 시작됩니다.
수험생도 교사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수시 지원 때 주의사항을 하초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교무실입니다.
대입 진학 상담이 한창입니다.
["실제로 수능에서도 등급이 이렇게 나올 거라고는 예측하기 조금 힘들 수도 있어."]
수시모집 응시원서 접수를 앞두고 자기소개서를 보완하고, 합격 가능성도 가늠해봅니다.
[모수민/춘천여자고등학교 3학년 : "앉아서 시간을 들이는 만큼 그 시간이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수시 모집에선 4년제 대학의 경우, 수험생 한 명이 6개 대학에까지 원서를 낼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은 2차례로 나눠 수시원서를 접수합니다.
또, 지원대학 개수 제한도 없습니다.
특히 올해는 문·이과 통합 선택형 수능으로 바뀌는 첫해인 만큼 수시전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대입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대학마다 원서 접수 시작일과 마감일이 다르고 원서 접수와 자기소개서 마감기한도 달라 각별히 주의해야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졸업연도와 고교유형에 따라 지원자격 제한이 있는 학교도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면접이나 논술, 적성, 실기 등 대학별 고사가 있는 경우 날짜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역인재부터 농어촌, 사회자배려자 전형까지 다양한 전형 방법이 있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골라야 합니다.
[한재현/춘천여자고등학교 교사 : "수도권에 있는 많은 대학들이 교과전형으로 지역균형전형이라는게 신설이 돼요. 그리고 약대의 학부선발 등 큰 변화들이 있거든요."]
전문가들은 이밖에 수시를 지원할 땐 자신의 성적보다 상향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2022학년도 대학 입시 수시모집이 오늘(10일)부터 시작됩니다.
수험생도 교사도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수시 지원 때 주의사항을 하초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고등학교 교무실입니다.
대입 진학 상담이 한창입니다.
["실제로 수능에서도 등급이 이렇게 나올 거라고는 예측하기 조금 힘들 수도 있어."]
수시모집 응시원서 접수를 앞두고 자기소개서를 보완하고, 합격 가능성도 가늠해봅니다.
[모수민/춘천여자고등학교 3학년 : "앉아서 시간을 들이는 만큼 그 시간이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쓰게 되는 것 같아요.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수시 모집에선 4년제 대학의 경우, 수험생 한 명이 6개 대학에까지 원서를 낼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은 2차례로 나눠 수시원서를 접수합니다.
또, 지원대학 개수 제한도 없습니다.
특히 올해는 문·이과 통합 선택형 수능으로 바뀌는 첫해인 만큼 수시전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대입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대학마다 원서 접수 시작일과 마감일이 다르고 원서 접수와 자기소개서 마감기한도 달라 각별히 주의해야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졸업연도와 고교유형에 따라 지원자격 제한이 있는 학교도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면접이나 논술, 적성, 실기 등 대학별 고사가 있는 경우 날짜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지역인재부터 농어촌, 사회자배려자 전형까지 다양한 전형 방법이 있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골라야 합니다.
[한재현/춘천여자고등학교 교사 : "수도권에 있는 많은 대학들이 교과전형으로 지역균형전형이라는게 신설이 돼요. 그리고 약대의 학부선발 등 큰 변화들이 있거든요."]
전문가들은 이밖에 수시를 지원할 땐 자신의 성적보다 상향 지원하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고명기
-
-
하초희 기자 chohee25@kbs.co.kr
하초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