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청년주택 24만 가구 공급’ 등 주거안정 정책 추진
입력 2021.09.13 (17:00)
수정 2021.09.13 (17: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여 가구를 공급하는 등 정부가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오늘(13일)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해 신설된 ‘청년정책과’를 찾아 청년들이 “학업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애 전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주거 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국토부는 청년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무주택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12개월간 월 20만 원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 3,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 고시원과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을 위해 공공임대 주택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노형욱 장관은 “학생일 때, 취직했을 때, 아이를 키울 때 청년의 수요가 다르다”며 임대주택, 전세 대출,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 등 수요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특별공급 청약 제도 개편과 관련 “1인 가구는 기회가 없었고, 맞벌이하면 소득 기준이 초과가 된다. 2030 세대 중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사례가 3분의 1쯤 되는 것 같다”며, 기존 청약 대상 입장에선 기회가 줄었다는 불만이 나오지만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오늘(13일)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해 신설된 ‘청년정책과’를 찾아 청년들이 “학업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애 전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주거 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국토부는 청년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무주택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12개월간 월 20만 원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 3,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 고시원과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을 위해 공공임대 주택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노형욱 장관은 “학생일 때, 취직했을 때, 아이를 키울 때 청년의 수요가 다르다”며 임대주택, 전세 대출,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 등 수요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특별공급 청약 제도 개편과 관련 “1인 가구는 기회가 없었고, 맞벌이하면 소득 기준이 초과가 된다. 2030 세대 중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사례가 3분의 1쯤 되는 것 같다”며, 기존 청약 대상 입장에선 기회가 줄었다는 불만이 나오지만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토부, ‘청년주택 24만 가구 공급’ 등 주거안정 정책 추진
-
- 입력 2021-09-13 17:00:20
- 수정2021-09-13 17:16:54

오는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여 가구를 공급하는 등 정부가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합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오늘(13일)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해 신설된 ‘청년정책과’를 찾아 청년들이 “학업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애 전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주거 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국토부는 청년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무주택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12개월간 월 20만 원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 3,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 고시원과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을 위해 공공임대 주택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노형욱 장관은 “학생일 때, 취직했을 때, 아이를 키울 때 청년의 수요가 다르다”며 임대주택, 전세 대출,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 등 수요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특별공급 청약 제도 개편과 관련 “1인 가구는 기회가 없었고, 맞벌이하면 소득 기준이 초과가 된다. 2030 세대 중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사례가 3분의 1쯤 되는 것 같다”며, 기존 청약 대상 입장에선 기회가 줄었다는 불만이 나오지만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오늘(13일)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해 신설된 ‘청년정책과’를 찾아 청년들이 “학업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애 전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며 주거 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국토부는 청년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무주택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12개월간 월 20만 원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청년을 위한 공공주택 24만 3,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또 고시원과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을 위해 공공임대 주택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노형욱 장관은 “학생일 때, 취직했을 때, 아이를 키울 때 청년의 수요가 다르다”며 임대주택, 전세 대출, 내 집 마련을 위한 청약 등 수요에 따라 필요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특별공급 청약 제도 개편과 관련 “1인 가구는 기회가 없었고, 맞벌이하면 소득 기준이 초과가 된다. 2030 세대 중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사례가 3분의 1쯤 되는 것 같다”며, 기존 청약 대상 입장에선 기회가 줄었다는 불만이 나오지만 “기회 자체가 박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