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함심사, 공정위 앞서달라”
입력 2021.09.13 (17:22)
수정 2021.09.13 (1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심사와 관련해 “우리 경쟁당국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앞서줬으면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오늘(13일) 취임 4주년 기념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생존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불가피하고 필수적인 조치”라며 “조속히 승인 절차를 밟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아마존, 구글 등 플랫폼 빅테크를 규제하려고 하면 미국 경쟁 당국이 보호하고 나서는데, 한국은 조금 기다리고 ‘다른 데 하는 거 보고 하자’는 기분이 들어서 조금 섭섭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등을 “산업재편의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이제야 정상화하고 앞길로 나아가야 하는데, 거기서 중요한 한 단계를 대한민국 정부가 전향적으로 봐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장은 또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EU로부터 대우조선해양과 기업승인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을 언급하며 이를 반대하는 노조, 정치인 등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노조와 지역사회의 극렬한 반대 행동은 EU 경쟁당국의 승인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우조선해양을 책임질 자신이 있는지, 금융지원 없이 독자생존 할 자신이 있는지, 승인이 안 됐을 경우 책임은 누가 질지 묻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HMM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타결과 관련해서는 “일진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회장은 “임단협을 매년 경신하는 노사문화로는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노사 간 자율 합의를 전제로 3년 이상의 다년 임단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은행 제공]
이 회장은 오늘(13일) 취임 4주년 기념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생존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불가피하고 필수적인 조치”라며 “조속히 승인 절차를 밟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아마존, 구글 등 플랫폼 빅테크를 규제하려고 하면 미국 경쟁 당국이 보호하고 나서는데, 한국은 조금 기다리고 ‘다른 데 하는 거 보고 하자’는 기분이 들어서 조금 섭섭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등을 “산업재편의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이제야 정상화하고 앞길로 나아가야 하는데, 거기서 중요한 한 단계를 대한민국 정부가 전향적으로 봐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장은 또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EU로부터 대우조선해양과 기업승인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을 언급하며 이를 반대하는 노조, 정치인 등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노조와 지역사회의 극렬한 반대 행동은 EU 경쟁당국의 승인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우조선해양을 책임질 자신이 있는지, 금융지원 없이 독자생존 할 자신이 있는지, 승인이 안 됐을 경우 책임은 누가 질지 묻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HMM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타결과 관련해서는 “일진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회장은 “임단협을 매년 경신하는 노사문화로는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노사 간 자율 합의를 전제로 3년 이상의 다년 임단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은행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동걸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함심사, 공정위 앞서달라”
-
- 입력 2021-09-13 17:22:17
- 수정2021-09-13 17:28:28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심사와 관련해 “우리 경쟁당국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앞서줬으면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오늘(13일) 취임 4주년 기념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생존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불가피하고 필수적인 조치”라며 “조속히 승인 절차를 밟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아마존, 구글 등 플랫폼 빅테크를 규제하려고 하면 미국 경쟁 당국이 보호하고 나서는데, 한국은 조금 기다리고 ‘다른 데 하는 거 보고 하자’는 기분이 들어서 조금 섭섭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등을 “산업재편의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이제야 정상화하고 앞길로 나아가야 하는데, 거기서 중요한 한 단계를 대한민국 정부가 전향적으로 봐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장은 또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EU로부터 대우조선해양과 기업승인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을 언급하며 이를 반대하는 노조, 정치인 등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노조와 지역사회의 극렬한 반대 행동은 EU 경쟁당국의 승인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우조선해양을 책임질 자신이 있는지, 금융지원 없이 독자생존 할 자신이 있는지, 승인이 안 됐을 경우 책임은 누가 질지 묻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HMM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타결과 관련해서는 “일진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회장은 “임단협을 매년 경신하는 노사문화로는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노사 간 자율 합의를 전제로 3년 이상의 다년 임단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은행 제공]
이 회장은 오늘(13일) 취임 4주년 기념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생존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불가피하고 필수적인 조치”라며 “조속히 승인 절차를 밟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이 아마존, 구글 등 플랫폼 빅테크를 규제하려고 하면 미국 경쟁 당국이 보호하고 나서는데, 한국은 조금 기다리고 ‘다른 데 하는 거 보고 하자’는 기분이 들어서 조금 섭섭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등을 “산업재편의 문제”라고 강조하면서 “이제야 정상화하고 앞길로 나아가야 하는데, 거기서 중요한 한 단계를 대한민국 정부가 전향적으로 봐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장은 또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EU로부터 대우조선해양과 기업승인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을 언급하며 이를 반대하는 노조, 정치인 등에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노조와 지역사회의 극렬한 반대 행동은 EU 경쟁당국의 승인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우조선해양을 책임질 자신이 있는지, 금융지원 없이 독자생존 할 자신이 있는지, 승인이 안 됐을 경우 책임은 누가 질지 묻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HMM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타결과 관련해서는 “일진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회장은 “임단협을 매년 경신하는 노사문화로는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며 “노사 간 자율 합의를 전제로 3년 이상의 다년 임단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은행 제공]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