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한인들의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칭창총 소나타’
입력 2021.09.14 (06:49)
수정 2021.09.14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가 지구촌을 휩쓸면서 서구 사회에서 동양인에 대한 혐오, 폭력적 행위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이 뿌리 깊은 병폐가 다시금 서구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베를린에서 한인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를 담은 실험극이 올려졌습니다.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의 두 청년.
한국과 독일 태생의 두 사람은 다른 문화의 악기로 공연을 준비하는데 갑자기 큰 소리와 함께, 몸이 바뀝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바뀐 몸으로 서로의 악기를 다룰 수 없는 두 사람.
이제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지하철 역에 나타난 '칭창총'.
하나의 몸에 머리는 세 개.
독일에서 가위바위보를 뜻하지만 이제는 동양인에 대한 멸시를 담은 단어가 돼버렸습니다.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는 서구인들의 흔한 변명, '그런 의미인 줄 몰랐다', '차별하려고 했던 게 아니다' 이런 일상 속의 차별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습니다.
[세바스티안/'칭창총 소나타' 배우 : "(연극을 하며) 여기 독일에 있는 아시아 사람들에게 (인종 차별) 경험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들은 거리에서 매우 천박하고, 나쁜 말을 들으며 모욕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지구촌을 휩쓴 코로나, 동양인들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의 희생자이기도 했습니다.
[박경란/'칭창총 소나타' 작가 : "지난해 코로나 시국에 인종차별 관련해 아시아인 인종차별이 대두됐는데요. 그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베를린에 사는 예술인들이 모여서(이 연극을 올리자고 함께 논의했습니다)."]
음악, 춤, 그리고 영상까지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칭창총 소나타', 우리 세상이 다양함을 인정할 때 더 아름다워질 것이라는 은유입니다.
[이보영/'칭창총 소나타' 연출가 : "관객들도 이렇게 다른 것들이 모였을 때 더 새롭고 신선하고 귀한 것이 나올 수 있구나 라는 걸 깨닫길 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코로나19가 지구촌을 휩쓸면서 서구 사회에서 동양인에 대한 혐오, 폭력적 행위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이 뿌리 깊은 병폐가 다시금 서구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베를린에서 한인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를 담은 실험극이 올려졌습니다.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의 두 청년.
한국과 독일 태생의 두 사람은 다른 문화의 악기로 공연을 준비하는데 갑자기 큰 소리와 함께, 몸이 바뀝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바뀐 몸으로 서로의 악기를 다룰 수 없는 두 사람.
이제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지하철 역에 나타난 '칭창총'.
하나의 몸에 머리는 세 개.
독일에서 가위바위보를 뜻하지만 이제는 동양인에 대한 멸시를 담은 단어가 돼버렸습니다.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는 서구인들의 흔한 변명, '그런 의미인 줄 몰랐다', '차별하려고 했던 게 아니다' 이런 일상 속의 차별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습니다.
[세바스티안/'칭창총 소나타' 배우 : "(연극을 하며) 여기 독일에 있는 아시아 사람들에게 (인종 차별) 경험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들은 거리에서 매우 천박하고, 나쁜 말을 들으며 모욕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지구촌을 휩쓴 코로나, 동양인들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의 희생자이기도 했습니다.
[박경란/'칭창총 소나타' 작가 : "지난해 코로나 시국에 인종차별 관련해 아시아인 인종차별이 대두됐는데요. 그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베를린에 사는 예술인들이 모여서(이 연극을 올리자고 함께 논의했습니다)."]
음악, 춤, 그리고 영상까지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칭창총 소나타', 우리 세상이 다양함을 인정할 때 더 아름다워질 것이라는 은유입니다.
[이보영/'칭창총 소나타' 연출가 : "관객들도 이렇게 다른 것들이 모였을 때 더 새롭고 신선하고 귀한 것이 나올 수 있구나 라는 걸 깨닫길 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일 한인들의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칭창총 소나타’
-
- 입력 2021-09-14 06:49:02
- 수정2021-09-14 07:59:08
[앵커]
코로나19가 지구촌을 휩쓸면서 서구 사회에서 동양인에 대한 혐오, 폭력적 행위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이 뿌리 깊은 병폐가 다시금 서구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베를린에서 한인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를 담은 실험극이 올려졌습니다.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의 두 청년.
한국과 독일 태생의 두 사람은 다른 문화의 악기로 공연을 준비하는데 갑자기 큰 소리와 함께, 몸이 바뀝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바뀐 몸으로 서로의 악기를 다룰 수 없는 두 사람.
이제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지하철 역에 나타난 '칭창총'.
하나의 몸에 머리는 세 개.
독일에서 가위바위보를 뜻하지만 이제는 동양인에 대한 멸시를 담은 단어가 돼버렸습니다.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는 서구인들의 흔한 변명, '그런 의미인 줄 몰랐다', '차별하려고 했던 게 아니다' 이런 일상 속의 차별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습니다.
[세바스티안/'칭창총 소나타' 배우 : "(연극을 하며) 여기 독일에 있는 아시아 사람들에게 (인종 차별) 경험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들은 거리에서 매우 천박하고, 나쁜 말을 들으며 모욕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지구촌을 휩쓴 코로나, 동양인들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의 희생자이기도 했습니다.
[박경란/'칭창총 소나타' 작가 : "지난해 코로나 시국에 인종차별 관련해 아시아인 인종차별이 대두됐는데요. 그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베를린에 사는 예술인들이 모여서(이 연극을 올리자고 함께 논의했습니다)."]
음악, 춤, 그리고 영상까지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칭창총 소나타', 우리 세상이 다양함을 인정할 때 더 아름다워질 것이라는 은유입니다.
[이보영/'칭창총 소나타' 연출가 : "관객들도 이렇게 다른 것들이 모였을 때 더 새롭고 신선하고 귀한 것이 나올 수 있구나 라는 걸 깨닫길 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코로나19가 지구촌을 휩쓸면서 서구 사회에서 동양인에 대한 혐오, 폭력적 행위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이 뿌리 깊은 병폐가 다시금 서구 사회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베를린에서 한인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인종차별 극복 메시지를 담은 실험극이 올려졌습니다.
베를린 김귀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하철의 두 청년.
한국과 독일 태생의 두 사람은 다른 문화의 악기로 공연을 준비하는데 갑자기 큰 소리와 함께, 몸이 바뀝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바뀐 몸으로 서로의 악기를 다룰 수 없는 두 사람.
이제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됩니다.
지하철 역에 나타난 '칭창총'.
하나의 몸에 머리는 세 개.
독일에서 가위바위보를 뜻하지만 이제는 동양인에 대한 멸시를 담은 단어가 돼버렸습니다.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는 서구인들의 흔한 변명, '그런 의미인 줄 몰랐다', '차별하려고 했던 게 아니다' 이런 일상 속의 차별을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습니다.
[세바스티안/'칭창총 소나타' 배우 : "(연극을 하며) 여기 독일에 있는 아시아 사람들에게 (인종 차별) 경험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들은 거리에서 매우 천박하고, 나쁜 말을 들으며 모욕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지구촌을 휩쓴 코로나, 동양인들은 코로나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의 희생자이기도 했습니다.
[박경란/'칭창총 소나타' 작가 : "지난해 코로나 시국에 인종차별 관련해 아시아인 인종차별이 대두됐는데요. 그 상황에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베를린에 사는 예술인들이 모여서(이 연극을 올리자고 함께 논의했습니다)."]
음악, 춤, 그리고 영상까지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칭창총 소나타', 우리 세상이 다양함을 인정할 때 더 아름다워질 것이라는 은유입니다.
[이보영/'칭창총 소나타' 연출가 : "관객들도 이렇게 다른 것들이 모였을 때 더 새롭고 신선하고 귀한 것이 나올 수 있구나 라는 걸 깨닫길 원합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