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말까지 고령층 90%·성인 80% 접종 완료되면 ‘단계적 일상 회복’ 준비”

입력 2021.09.28 (07:14) 수정 2021.09.28 (0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2~17살 연령대와 임신부에 대한 접종 관련해 앵커 브리핑으로 조금 더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 연령대는 화이자 백신을 맞게 되는데요.

용량은 성인과 동일합니다.

앞서 수능을 앞둔 고3 학생들이 백신 접종을 받았었죠.

접종 결과를 보면 감염 예방 효과가 95.8%였고, 중증과 사망 예방효과는 100%로 분석됐습니다.

청소년들이 백신을 맞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성인과 유사한데요.

고3 사례를 보면 지난 12일까지 86만 명이 접종을 받았는데, 이 중 심낭염과 심근염으로 신고된 건 26건이었고, 15건이 인정됐습니다.

5명은 외래 치료로 회복됐고, 나머지 10명은 입원 치료로 회복된 뒤 모두 퇴원한 상태입니다.

방역 당국은 접종 효과와 감염 시 학습권 침해, 심리적 위축을 고려할 때 접종의 이득이 더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건강한 청소년에겐 압도적으로 크지는 않다고 밝혔습니다.

임신부도 접종의 이득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유증상 임신부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률이나 인공호흡기 치료율, 사망률 모두 비임신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의 전제조건으로 고령층 90%, 성인 80%의 접종 완료가 제시됐는데요.

목표 달성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정부도 단계적 일상 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정부는 조만간 관련 위원회를 꾸리고 10월 중으로 종합계획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역 당국이 밝힌 4분기 접종계획의 핵심은 대상을 확대하고 접종 완료율을 높이겠다는 겁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 "10월 말까지 60세 이상 고령층의 90%, 18세 이상 성인의 80% 접종 완료를 통해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의 이행을 준비하겠습니다."]

현재 60살 이상 연령층의 접종 완료율은 86.8%, 18살 이상 성인은 약 53%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령층의 높은 접종 간격 준수율과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접종 간격을 감안하면 다음 달 말쯤 고령층 90%, 성인 80% 접종 완료가 가능할 거라는 분석입니다.

이렇게 접종 목표 달성이 가시화되면서 단계적 일상 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도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김부겸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정기 회동 자리에서 "'코로나19 일상회복 위원회'를 구성해 여론을 듣고 다음 달 중에 실천 계획(로드맵)을 만들겠다"고 보고했습니다.

국민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박경미/청와대 대변인 :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달성을 위해서는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상황의 안정화가 관건이므로,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방역 당국은 또 접종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이상 반응에 대한 우려와 경증이라 괜찮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라며, 원인별로 조치 계획을 마련해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음 달 말까지 고령층 90%·성인 80% 접종 완료되면 ‘단계적 일상 회복’ 준비”
    • 입력 2021-09-28 07:14:18
    • 수정2021-09-28 07:21:17
    뉴스광장
[앵커]

12~17살 연령대와 임신부에 대한 접종 관련해 앵커 브리핑으로 조금 더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 연령대는 화이자 백신을 맞게 되는데요.

용량은 성인과 동일합니다.

앞서 수능을 앞둔 고3 학생들이 백신 접종을 받았었죠.

접종 결과를 보면 감염 예방 효과가 95.8%였고, 중증과 사망 예방효과는 100%로 분석됐습니다.

청소년들이 백신을 맞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이상 반응은 성인과 유사한데요.

고3 사례를 보면 지난 12일까지 86만 명이 접종을 받았는데, 이 중 심낭염과 심근염으로 신고된 건 26건이었고, 15건이 인정됐습니다.

5명은 외래 치료로 회복됐고, 나머지 10명은 입원 치료로 회복된 뒤 모두 퇴원한 상태입니다.

방역 당국은 접종 효과와 감염 시 학습권 침해, 심리적 위축을 고려할 때 접종의 이득이 더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건강한 청소년에겐 압도적으로 크지는 않다고 밝혔습니다.

임신부도 접종의 이득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유증상 임신부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률이나 인공호흡기 치료율, 사망률 모두 비임신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의 전제조건으로 고령층 90%, 성인 80%의 접종 완료가 제시됐는데요.

목표 달성이 점차 가시화되면서 정부도 단계적 일상 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정부는 조만간 관련 위원회를 꾸리고 10월 중으로 종합계획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역 당국이 밝힌 4분기 접종계획의 핵심은 대상을 확대하고 접종 완료율을 높이겠다는 겁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 "10월 말까지 60세 이상 고령층의 90%, 18세 이상 성인의 80% 접종 완료를 통해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의 이행을 준비하겠습니다."]

현재 60살 이상 연령층의 접종 완료율은 86.8%, 18살 이상 성인은 약 53%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령층의 높은 접종 간격 준수율과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접종 간격을 감안하면 다음 달 말쯤 고령층 90%, 성인 80% 접종 완료가 가능할 거라는 분석입니다.

이렇게 접종 목표 달성이 가시화되면서 단계적 일상 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도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김부겸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과 정기 회동 자리에서 "'코로나19 일상회복 위원회'를 구성해 여론을 듣고 다음 달 중에 실천 계획(로드맵)을 만들겠다"고 보고했습니다.

국민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박경미/청와대 대변인 :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달성을 위해서는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상황의 안정화가 관건이므로,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방역 당국은 또 접종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이상 반응에 대한 우려와 경증이라 괜찮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라며, 원인별로 조치 계획을 마련해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