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밧줄 설치 무시”…또 추락사

입력 2021.10.03 (06:59) 수정 2021.10.03 (07: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재난 안전 정보를 한 눈에 보여 드리는 재난 방송 센터 문을 열겠습니다.

15층 높이에서 유리창을 닦았지만 당연히 있어야 할 보조 안전 밧줄 하나 없었습니다.

안전 점검에서 적발돼 시정을 요구받았지만 무시됐습니다.

그 결과 또 한명의 청년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습니다.

10년간 이런 사고로 목숨을 잃은 이들이 백 30명이 넘습니다.

윤양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49층짜리 고층 아파트입니다.

지난달 27일, 유리창 청소 작업을 하던 20대 노동자가 15층 높이에서 추락해 숨졌습니다.

작업용 밧줄이 아파트 외벽 돌출된 부분 등에 쓸려 끊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고 직후 현장을 조사했더니 작업자들이 착용해야 할 안전 보조 밧줄이 없었습니다.

사고발생 사흘 전, 안전보건공단 측이 현장점검에서 보조 밧줄이 없는 것을 확인했고 시정을 요청했지만 무시된 것입니다.

[안전보건공단 인천광역본부 관계자/음성변조 : "(24일 점검에서) 전원이 다 보조 밧줄 안 차고 있었던 게 확인이 됐었고요. 월요일(27일) 사망자는 보조 밧줄이 없었기 때문에 추락 사망을 한거니까..."]

고공 작업은 추락 방지를 위해 안전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작업 속도와 불편을 이유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층에서 간이의자에 매달려 하는 일을 달비계 작업이라고 부르는데. 최근 10년간 모두 134명이 사고로 숨졌습니다.

사고의 절반 이상은 작업줄이 풀리거나 끊어져 발생했습니다.

[김종호/한국산업로프협회장 : "(보조 밧줄을) 대부분 안 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거죠. 한 1.5배는 더 든다고 봐야죠. 명확한 법적 조치가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절대 이건 개선되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산재 사고의 대부분이 안전시설물이나 보호장비만 제대로 했더라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사전점검이 필요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조밧줄 설치 무시”…또 추락사
    • 입력 2021-10-03 06:59:47
    • 수정2021-10-03 07:13:22
    KBS 재난방송센터
[앵커]

재난 안전 정보를 한 눈에 보여 드리는 재난 방송 센터 문을 열겠습니다.

15층 높이에서 유리창을 닦았지만 당연히 있어야 할 보조 안전 밧줄 하나 없었습니다.

안전 점검에서 적발돼 시정을 요구받았지만 무시됐습니다.

그 결과 또 한명의 청년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습니다.

10년간 이런 사고로 목숨을 잃은 이들이 백 30명이 넘습니다.

윤양균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49층짜리 고층 아파트입니다.

지난달 27일, 유리창 청소 작업을 하던 20대 노동자가 15층 높이에서 추락해 숨졌습니다.

작업용 밧줄이 아파트 외벽 돌출된 부분 등에 쓸려 끊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고 직후 현장을 조사했더니 작업자들이 착용해야 할 안전 보조 밧줄이 없었습니다.

사고발생 사흘 전, 안전보건공단 측이 현장점검에서 보조 밧줄이 없는 것을 확인했고 시정을 요청했지만 무시된 것입니다.

[안전보건공단 인천광역본부 관계자/음성변조 : "(24일 점검에서) 전원이 다 보조 밧줄 안 차고 있었던 게 확인이 됐었고요. 월요일(27일) 사망자는 보조 밧줄이 없었기 때문에 추락 사망을 한거니까..."]

고공 작업은 추락 방지를 위해 안전 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작업 속도와 불편을 이유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층에서 간이의자에 매달려 하는 일을 달비계 작업이라고 부르는데. 최근 10년간 모두 134명이 사고로 숨졌습니다.

사고의 절반 이상은 작업줄이 풀리거나 끊어져 발생했습니다.

[김종호/한국산업로프협회장 : "(보조 밧줄을) 대부분 안 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거죠. 한 1.5배는 더 든다고 봐야죠. 명확한 법적 조치가 만들어지지 않는 이상 절대 이건 개선되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산재 사고의 대부분이 안전시설물이나 보호장비만 제대로 했더라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사전점검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