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 페이스북 청문회…“대중 기만 대가 치러야”

입력 2021.10.06 (19:12) 수정 2021.10.06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업체 페이스북이 사회적 이익보다는 돈벌이에 급급했다는 내부 폭로가 제기됐었죠.

미 의회가 관련 청문회를 개최했는 데 페이스북이 대가를 치러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보도에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페이스북에서 근무했던 내부 고발자가 미 상원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페이스북 자체 우려를 무시하고 관련 플랫폼 개발에 나선 이유 등을 증언하기 위해섭니다.

[프랜시스 하우겐/전 페이스북 직원 : "저는 페이스북 제품들이 어린이에게 해롭고 분열을 조장하며 민주주의를 약화시킨다고 믿습니다. 회사 지도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알지만 필요한 개선은 없을 겁니다."]

내부 고발자는 페이스북이 사회적 이익보다 돈벌이가 우선이었으며 의사결정 과정은 언제나 불투명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증언을 청취한 상원에선 여야 할 것 없이 페이스북 측의 책임을 강력히 물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리처드 블루먼솔/미 상원의원/민주당 : "페이스북은 대중과 투자자들을 현혹한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오도와 기만적 진술의 결과로 실질적인 처벌을 받아야합니다."]

[마샤 블랙번/미 상원의원/공화당 : "(페이스북은) 자신들이 저지른 일은 물론 무엇이 불법인 지를 알았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죄가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측은 청문회 개최 직후 트위터에 입장문을 공개했습니다.

내부 고발자가 실제 증언했던 분야에서 일하지 않았다고 여러차례 밝혔다면서 자사에 대한 많은 부분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습니다.

이같은 반박에도 불구하고 세계 인구 절반 가까운 이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양의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상원, 페이스북 청문회…“대중 기만 대가 치러야”
    • 입력 2021-10-06 19:12:11
    • 수정2021-10-06 19:26:07
    뉴스7(광주)
[앵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업체 페이스북이 사회적 이익보다는 돈벌이에 급급했다는 내부 폭로가 제기됐었죠.

미 의회가 관련 청문회를 개최했는 데 페이스북이 대가를 치러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보도에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페이스북에서 근무했던 내부 고발자가 미 상원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페이스북 자체 우려를 무시하고 관련 플랫폼 개발에 나선 이유 등을 증언하기 위해섭니다.

[프랜시스 하우겐/전 페이스북 직원 : "저는 페이스북 제품들이 어린이에게 해롭고 분열을 조장하며 민주주의를 약화시킨다고 믿습니다. 회사 지도부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알지만 필요한 개선은 없을 겁니다."]

내부 고발자는 페이스북이 사회적 이익보다 돈벌이가 우선이었으며 의사결정 과정은 언제나 불투명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증언을 청취한 상원에선 여야 할 것 없이 페이스북 측의 책임을 강력히 물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리처드 블루먼솔/미 상원의원/민주당 : "페이스북은 대중과 투자자들을 현혹한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오도와 기만적 진술의 결과로 실질적인 처벌을 받아야합니다."]

[마샤 블랙번/미 상원의원/공화당 : "(페이스북은) 자신들이 저지른 일은 물론 무엇이 불법인 지를 알았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죄가 있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측은 청문회 개최 직후 트위터에 입장문을 공개했습니다.

내부 고발자가 실제 증언했던 분야에서 일하지 않았다고 여러차례 밝혔다면서 자사에 대한 많은 부분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습니다.

이같은 반박에도 불구하고 세계 인구 절반 가까운 이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양의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