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호구역 주정차 전면금지 단속 첫날…“과도해”·“몰랐다”
입력 2021.10.21 (21:43)
수정 2021.10.21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오늘(21일)부터 전국의 어린이 보호구역 만 6천여 곳에서 주차, 정차를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단속 첫날, 현장에선 '법이 시행된 지 몰랐다' '과태료 부과는 너무하다', 이런 불만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하교 시간.
교문 앞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학원 차량 앞으로 단속반이 다가갑니다.
[마포구청 단속반 :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정차도 안 됩니다, 이제."]
평소처럼 차를 댔던 운전자들은 과도한 조치라며 반발합니다.
[학원 차량 운전기사 : "우리 같이 애들 여기서 태워서 바로 떠나는데 그것도 못 하게 하면 뭐 어떻게 와서 애들 태우고 위험하게 그렇게 하라는 건지 난 도대체 이해를 못 하겠어요."]
단속 사실을 아예 몰랐던 학부모도 많습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지금 단속도 하고 있었는데 혹시 전혀 모르셨어요?) 못 봤어요. 네네. 진짜 죄송한데 학원이 늦어서..."]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에서 오늘부터 주정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서울시와 경찰, 각 자치구는 등하교 시간대 집중단속에 나섰습니다.
이 같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잠깐만 차를 세워도 일반 도로보다 3배 많은 과태료 최소 12만 원이 부과됩니다.
학부모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조금 불편한 점은 있을 거 같은데, 아이들 안전을 생각하면 올바른 시행이 아닐까 싶어요."]
[초등학생 학부모 : "아이가 길을 건너서 차량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다 보니까, 학부모님들이 걱정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부 보호구역에서는 통학차량이 5분간 차를 정차할 수 있는 '안심 승하차 존'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시·도경찰청장이 안전 표지로 허용하는 구역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한해 어린이 승하차를 위한 주정차는 가능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 황종원/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김영희
오늘(21일)부터 전국의 어린이 보호구역 만 6천여 곳에서 주차, 정차를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단속 첫날, 현장에선 '법이 시행된 지 몰랐다' '과태료 부과는 너무하다', 이런 불만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하교 시간.
교문 앞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학원 차량 앞으로 단속반이 다가갑니다.
[마포구청 단속반 :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정차도 안 됩니다, 이제."]
평소처럼 차를 댔던 운전자들은 과도한 조치라며 반발합니다.
[학원 차량 운전기사 : "우리 같이 애들 여기서 태워서 바로 떠나는데 그것도 못 하게 하면 뭐 어떻게 와서 애들 태우고 위험하게 그렇게 하라는 건지 난 도대체 이해를 못 하겠어요."]
단속 사실을 아예 몰랐던 학부모도 많습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지금 단속도 하고 있었는데 혹시 전혀 모르셨어요?) 못 봤어요. 네네. 진짜 죄송한데 학원이 늦어서..."]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에서 오늘부터 주정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서울시와 경찰, 각 자치구는 등하교 시간대 집중단속에 나섰습니다.
이 같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잠깐만 차를 세워도 일반 도로보다 3배 많은 과태료 최소 12만 원이 부과됩니다.
학부모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조금 불편한 점은 있을 거 같은데, 아이들 안전을 생각하면 올바른 시행이 아닐까 싶어요."]
[초등학생 학부모 : "아이가 길을 건너서 차량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다 보니까, 학부모님들이 걱정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부 보호구역에서는 통학차량이 5분간 차를 정차할 수 있는 '안심 승하차 존'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시·도경찰청장이 안전 표지로 허용하는 구역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한해 어린이 승하차를 위한 주정차는 가능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 황종원/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김영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보호구역 주정차 전면금지 단속 첫날…“과도해”·“몰랐다”
-
- 입력 2021-10-21 21:43:19
- 수정2021-10-21 22:05:31

[앵커]
오늘(21일)부터 전국의 어린이 보호구역 만 6천여 곳에서 주차, 정차를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단속 첫날, 현장에선 '법이 시행된 지 몰랐다' '과태료 부과는 너무하다', 이런 불만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하교 시간.
교문 앞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학원 차량 앞으로 단속반이 다가갑니다.
[마포구청 단속반 :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정차도 안 됩니다, 이제."]
평소처럼 차를 댔던 운전자들은 과도한 조치라며 반발합니다.
[학원 차량 운전기사 : "우리 같이 애들 여기서 태워서 바로 떠나는데 그것도 못 하게 하면 뭐 어떻게 와서 애들 태우고 위험하게 그렇게 하라는 건지 난 도대체 이해를 못 하겠어요."]
단속 사실을 아예 몰랐던 학부모도 많습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지금 단속도 하고 있었는데 혹시 전혀 모르셨어요?) 못 봤어요. 네네. 진짜 죄송한데 학원이 늦어서..."]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에서 오늘부터 주정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서울시와 경찰, 각 자치구는 등하교 시간대 집중단속에 나섰습니다.
이 같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잠깐만 차를 세워도 일반 도로보다 3배 많은 과태료 최소 12만 원이 부과됩니다.
학부모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조금 불편한 점은 있을 거 같은데, 아이들 안전을 생각하면 올바른 시행이 아닐까 싶어요."]
[초등학생 학부모 : "아이가 길을 건너서 차량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다 보니까, 학부모님들이 걱정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부 보호구역에서는 통학차량이 5분간 차를 정차할 수 있는 '안심 승하차 존'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시·도경찰청장이 안전 표지로 허용하는 구역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한해 어린이 승하차를 위한 주정차는 가능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 황종원/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김영희
오늘(21일)부터 전국의 어린이 보호구역 만 6천여 곳에서 주차, 정차를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단속 첫날, 현장에선 '법이 시행된 지 몰랐다' '과태료 부과는 너무하다', 이런 불만이 나오기도 했는데요.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하교 시간.
교문 앞에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학원 차량 앞으로 단속반이 다가갑니다.
[마포구청 단속반 :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정차도 안 됩니다, 이제."]
평소처럼 차를 댔던 운전자들은 과도한 조치라며 반발합니다.
[학원 차량 운전기사 : "우리 같이 애들 여기서 태워서 바로 떠나는데 그것도 못 하게 하면 뭐 어떻게 와서 애들 태우고 위험하게 그렇게 하라는 건지 난 도대체 이해를 못 하겠어요."]
단속 사실을 아예 몰랐던 학부모도 많습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지금 단속도 하고 있었는데 혹시 전혀 모르셨어요?) 못 봤어요. 네네. 진짜 죄송한데 학원이 늦어서..."]
도로교통법이 바뀌면서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에서 오늘부터 주정차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서울시와 경찰, 각 자치구는 등하교 시간대 집중단속에 나섰습니다.
이 같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잠깐만 차를 세워도 일반 도로보다 3배 많은 과태료 최소 12만 원이 부과됩니다.
학부모들 반응은 엇갈립니다.
[초등학생 학부모 : "조금 불편한 점은 있을 거 같은데, 아이들 안전을 생각하면 올바른 시행이 아닐까 싶어요."]
[초등학생 학부모 : "아이가 길을 건너서 차량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기다 보니까, 학부모님들이 걱정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부 보호구역에서는 통학차량이 5분간 차를 정차할 수 있는 '안심 승하차 존'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시·도경찰청장이 안전 표지로 허용하는 구역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한해 어린이 승하차를 위한 주정차는 가능합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 황종원/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김영희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