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물류대란 뒤엔 ‘인력대란’…“트럭기사 8만 명 부족”
입력 2021.10.25 (21:37)
수정 2021.10.25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도체 부족도 문제지만 인력 부족 문제도 세계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인 세계 각국의 '물류 대란' 뒤에는 극심한 인력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인지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수입품의 40%가 몰리는 LA항과 롱비치항에는 화물선 85척이 입항을 못 하고 대기 중입니다.
이 안에 실려 있는 상품 가치액이 우리 돈 31조 원으로 추산될 정돈데, 이런 '항만 대란'이 벌어진 가장 큰 이유, '인력난'입니다.
당장 물품을 항구에 내릴 일손이 달리고, 이걸 미국 전역으로 나를 트럭 기사 역시 태부족입니다.
[트럭 기사 : "가끔은 좀 더 쉬고 싶을 때가 있지만,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때문에, 일을 계속 해야 하는 것도 이해합니다."]
특히 트럭 운송은 미국 내 상품 유통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물류망의 핵심인데, 미국 전역에서는 현재 트럭 기사 8만여 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사태와 열악한 근무 환경이 겹쳐 고령 운전자들의 은퇴가 는 데다가 국경 폐쇄로 이주 노동자가 준 게 컸습니다.
물류대란이 덮친 유럽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마이클 짐머만/컨설팅 업체 대표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서비스업, 물류업, 제조업 등의 일자리에서 불만이 많았습니다. 코로나19로 근무 환경은 더 안 좋아졌고, 일을 즐기기도 더 어렵게 됐습니다."]
지난 8월 미국에서는 자발적 퇴직자 수가 427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기업 구인건수는 석 달 연속 천만 건을 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노동자들이 더 안전하고 더 나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움직이면서 기업들의 인력난은 더 심해지고 있는 거로 풀이됩니다.
[앤드류 림/경제리서치기관 선임 연구원 : "이제 노동자들이 덜 힘들고, 급여는 더 받는 일자리를 골라서 구할 수 있는 호사스러움을 누리게 됐습니다."]
이른바 노동자들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이후 미국 내 파업 건수는 40건,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현석/자료조사:김다형
반도체 부족도 문제지만 인력 부족 문제도 세계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인 세계 각국의 '물류 대란' 뒤에는 극심한 인력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인지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수입품의 40%가 몰리는 LA항과 롱비치항에는 화물선 85척이 입항을 못 하고 대기 중입니다.
이 안에 실려 있는 상품 가치액이 우리 돈 31조 원으로 추산될 정돈데, 이런 '항만 대란'이 벌어진 가장 큰 이유, '인력난'입니다.
당장 물품을 항구에 내릴 일손이 달리고, 이걸 미국 전역으로 나를 트럭 기사 역시 태부족입니다.
[트럭 기사 : "가끔은 좀 더 쉬고 싶을 때가 있지만,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때문에, 일을 계속 해야 하는 것도 이해합니다."]
특히 트럭 운송은 미국 내 상품 유통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물류망의 핵심인데, 미국 전역에서는 현재 트럭 기사 8만여 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사태와 열악한 근무 환경이 겹쳐 고령 운전자들의 은퇴가 는 데다가 국경 폐쇄로 이주 노동자가 준 게 컸습니다.
물류대란이 덮친 유럽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마이클 짐머만/컨설팅 업체 대표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서비스업, 물류업, 제조업 등의 일자리에서 불만이 많았습니다. 코로나19로 근무 환경은 더 안 좋아졌고, 일을 즐기기도 더 어렵게 됐습니다."]
지난 8월 미국에서는 자발적 퇴직자 수가 427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기업 구인건수는 석 달 연속 천만 건을 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노동자들이 더 안전하고 더 나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움직이면서 기업들의 인력난은 더 심해지고 있는 거로 풀이됩니다.
[앤드류 림/경제리서치기관 선임 연구원 : "이제 노동자들이 덜 힘들고, 급여는 더 받는 일자리를 골라서 구할 수 있는 호사스러움을 누리게 됐습니다."]
이른바 노동자들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이후 미국 내 파업 건수는 40건,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현석/자료조사:김다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물류대란 뒤엔 ‘인력대란’…“트럭기사 8만 명 부족”
-
- 입력 2021-10-25 21:37:51
- 수정2021-10-25 22:05:39

[앵커]
반도체 부족도 문제지만 인력 부족 문제도 세계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인 세계 각국의 '물류 대란' 뒤에는 극심한 인력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인지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수입품의 40%가 몰리는 LA항과 롱비치항에는 화물선 85척이 입항을 못 하고 대기 중입니다.
이 안에 실려 있는 상품 가치액이 우리 돈 31조 원으로 추산될 정돈데, 이런 '항만 대란'이 벌어진 가장 큰 이유, '인력난'입니다.
당장 물품을 항구에 내릴 일손이 달리고, 이걸 미국 전역으로 나를 트럭 기사 역시 태부족입니다.
[트럭 기사 : "가끔은 좀 더 쉬고 싶을 때가 있지만,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때문에, 일을 계속 해야 하는 것도 이해합니다."]
특히 트럭 운송은 미국 내 상품 유통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물류망의 핵심인데, 미국 전역에서는 현재 트럭 기사 8만여 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사태와 열악한 근무 환경이 겹쳐 고령 운전자들의 은퇴가 는 데다가 국경 폐쇄로 이주 노동자가 준 게 컸습니다.
물류대란이 덮친 유럽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마이클 짐머만/컨설팅 업체 대표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서비스업, 물류업, 제조업 등의 일자리에서 불만이 많았습니다. 코로나19로 근무 환경은 더 안 좋아졌고, 일을 즐기기도 더 어렵게 됐습니다."]
지난 8월 미국에서는 자발적 퇴직자 수가 427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기업 구인건수는 석 달 연속 천만 건을 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노동자들이 더 안전하고 더 나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움직이면서 기업들의 인력난은 더 심해지고 있는 거로 풀이됩니다.
[앤드류 림/경제리서치기관 선임 연구원 : "이제 노동자들이 덜 힘들고, 급여는 더 받는 일자리를 골라서 구할 수 있는 호사스러움을 누리게 됐습니다."]
이른바 노동자들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이후 미국 내 파업 건수는 40건,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현석/자료조사:김다형
반도체 부족도 문제지만 인력 부족 문제도 세계 경제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인 세계 각국의 '물류 대란' 뒤에는 극심한 인력난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인지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미국 수입품의 40%가 몰리는 LA항과 롱비치항에는 화물선 85척이 입항을 못 하고 대기 중입니다.
이 안에 실려 있는 상품 가치액이 우리 돈 31조 원으로 추산될 정돈데, 이런 '항만 대란'이 벌어진 가장 큰 이유, '인력난'입니다.
당장 물품을 항구에 내릴 일손이 달리고, 이걸 미국 전역으로 나를 트럭 기사 역시 태부족입니다.
[트럭 기사 : "가끔은 좀 더 쉬고 싶을 때가 있지만,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기 때문에, 일을 계속 해야 하는 것도 이해합니다."]
특히 트럭 운송은 미국 내 상품 유통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물류망의 핵심인데, 미국 전역에서는 현재 트럭 기사 8만여 명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사태와 열악한 근무 환경이 겹쳐 고령 운전자들의 은퇴가 는 데다가 국경 폐쇄로 이주 노동자가 준 게 컸습니다.
물류대란이 덮친 유럽도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마이클 짐머만/컨설팅 업체 대표 :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서비스업, 물류업, 제조업 등의 일자리에서 불만이 많았습니다. 코로나19로 근무 환경은 더 안 좋아졌고, 일을 즐기기도 더 어렵게 됐습니다."]
지난 8월 미국에서는 자발적 퇴직자 수가 427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기업 구인건수는 석 달 연속 천만 건을 넘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노동자들이 더 안전하고 더 나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움직이면서 기업들의 인력난은 더 심해지고 있는 거로 풀이됩니다.
[앤드류 림/경제리서치기관 선임 연구원 : "이제 노동자들이 덜 힘들고, 급여는 더 받는 일자리를 골라서 구할 수 있는 호사스러움을 누리게 됐습니다."]
이른바 노동자들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임금 인상과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파업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이후 미국 내 파업 건수는 40건, 1년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촬영:지한샘/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현석/자료조사:김다형
-
-
한보경 기자 bkhan@kbs.co.kr
한보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