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능력만큼 대출’…부동산 영향은?

입력 2021.10.26 (23:35) 수정 2021.10.26 (23: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대출해주고, 조금씩 나눠 갚도록 하겠다는 게 이번 추가 대책의 핵심입니다.

당초 내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이를 반 년 앞당긴 셈인데요.

강화된 가계대출 규제,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시행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추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현재의 가계부채 상황이 그만큼 위험하다는 겁니까?

[앵커]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드는 셈이니, 당장 대출이 필요한 수요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질 텐데요.

내년 1월 전에 대출을 미리 받으려는 움직임도 나타나지 않겠습니까?

[앵커]

앞서 보셨지만, 풍선 효과를 막기 위해서 제 2금융권이나 카드론도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죠.

그런데 이렇게 되면, 소득이 적은 서민들, 또 청년들부터 타격을 받게 되는 것 아닙니까?

[앵커]

그런데 이 대책만으로는 부족한 취약계층도 있지 않겠습니까?

혹여 불법 사금융 쪽으로 내몰리지는 않을지 걱정인데요?

[앵커]

어쨌든 내년 1월부터는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셈인데요.

만약 대출 받아서 집을 사려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앵커]

반대로 말하면, 대출 문턱이 높아져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만큼 부동산 매수 심리도 둔화될 가능성이 있는 거죠.

그럼 집값도 좀 떨어질까요?

[앵커]

어쨌든 정부의 목표는, 가계부채의 급증을 막고, 그 위험성을 줄이겠다는 건데요.

그래서 오늘 이례적으로 ‘플랜B’까지 언급했죠.

어떤 내용입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능력만큼 대출’…부동산 영향은?
    • 입력 2021-10-26 23:35:46
    • 수정2021-10-26 23:48:32
    뉴스라인 W
[앵커]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대출해주고, 조금씩 나눠 갚도록 하겠다는 게 이번 추가 대책의 핵심입니다.

당초 내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이를 반 년 앞당긴 셈인데요.

강화된 가계대출 규제,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시행한 지 불과 3개월 만에 추가 대책을 내놨습니다.

현재의 가계부채 상황이 그만큼 위험하다는 겁니까?

[앵커]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드는 셈이니, 당장 대출이 필요한 수요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질 텐데요.

내년 1월 전에 대출을 미리 받으려는 움직임도 나타나지 않겠습니까?

[앵커]

앞서 보셨지만, 풍선 효과를 막기 위해서 제 2금융권이나 카드론도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죠.

그런데 이렇게 되면, 소득이 적은 서민들, 또 청년들부터 타격을 받게 되는 것 아닙니까?

[앵커]

그런데 이 대책만으로는 부족한 취약계층도 있지 않겠습니까?

혹여 불법 사금융 쪽으로 내몰리지는 않을지 걱정인데요?

[앵커]

어쨌든 내년 1월부터는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셈인데요.

만약 대출 받아서 집을 사려는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앵커]

반대로 말하면, 대출 문턱이 높아져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 만큼 부동산 매수 심리도 둔화될 가능성이 있는 거죠.

그럼 집값도 좀 떨어질까요?

[앵커]

어쨌든 정부의 목표는, 가계부채의 급증을 막고, 그 위험성을 줄이겠다는 건데요.

그래서 오늘 이례적으로 ‘플랜B’까지 언급했죠.

어떤 내용입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