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전 세계 정상에 공급망 문제 해소 촉구

입력 2021.11.01 (06:24) 수정 2021.11.01 (1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탈리아 로마를 방문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급망 회복 관련 정상 회의를 주재하고 각국 정상들에게 전 세계의 공급망 문제 해소와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초점은 중국을 견제하는 데 맞춰져 있다는 분석입니다.

보도에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조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31일 EU를 포함해 우리나라 등 14개 나라가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회복 관련 정상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전 세계의 공동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그것은 어느 나라도 일방적인 행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조율이 관건이고, 이 만남의 이유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노동 문제와 기후 변화 대응을 언급하며 공급망 회복의 당위성을 강조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우리의 공급망이 강제 노동과 아동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노동자의 존엄성과 목소리를 지지하며, 기후 목표와 일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협조를 당부하면서 추가 자금 지원과 함께 국방 비축분 방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도 공개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저는 미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파트너들이 우리 항구를 더 빨리 드나들 수 있도록 추가 자금을 배정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에 앞서 미국과 EU가 철강·알루미늄 산업 분야의 관세 분쟁을 끝내는 데 합의한 것은 일자리와 기후 문제 해결을 동시에 고려한 것임을 밝혔습니다.

[조바이든/미 대통령 : "미국과 유럽연합은 미국의 일자리와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기후 변화의 실존적 위협을 해결할 중대한 돌파구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철강 알루미늄 생산 세계 1위인 중국의 값싼 물량 공세와 이에 따른 공급 과잉에 공동으로 맞서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한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중국 철강의 낮은 가격은 탄소 배출 등 환경 기준 부족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것이 기후 변화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EU와 철강 관세 합의를 비롯해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 촉구는 모두 중국을 견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편집:김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 전 세계 정상에 공급망 문제 해소 촉구
    • 입력 2021-11-01 06:24:46
    • 수정2021-11-01 19:30:09
    뉴스광장 1부
[앵커]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탈리아 로마를 방문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급망 회복 관련 정상 회의를 주재하고 각국 정상들에게 전 세계의 공급망 문제 해소와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초점은 중국을 견제하는 데 맞춰져 있다는 분석입니다.

보도에 이영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조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31일 EU를 포함해 우리나라 등 14개 나라가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회복 관련 정상 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전 세계의 공동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그것은 어느 나라도 일방적인 행동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조율이 관건이고, 이 만남의 이유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노동 문제와 기후 변화 대응을 언급하며 공급망 회복의 당위성을 강조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우리의 공급망이 강제 노동과 아동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노동자의 존엄성과 목소리를 지지하며, 기후 목표와 일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협조를 당부하면서 추가 자금 지원과 함께 국방 비축분 방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도 공개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 : "저는 미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파트너들이 우리 항구를 더 빨리 드나들 수 있도록 추가 자금을 배정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에 앞서 미국과 EU가 철강·알루미늄 산업 분야의 관세 분쟁을 끝내는 데 합의한 것은 일자리와 기후 문제 해결을 동시에 고려한 것임을 밝혔습니다.

[조바이든/미 대통령 : "미국과 유럽연합은 미국의 일자리와 미국 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기후 변화의 실존적 위협을 해결할 중대한 돌파구에 도달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철강 알루미늄 생산 세계 1위인 중국의 값싼 물량 공세와 이에 따른 공급 과잉에 공동으로 맞서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한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중국 철강의 낮은 가격은 탄소 배출 등 환경 기준 부족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것이 기후 변화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EU와 철강 관세 합의를 비롯해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대응 촉구는 모두 중국을 견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영상편집:김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