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분석] ‘9부 능선’ 넘은 대전의료원…향후 계획은?

입력 2021.11.03 (19:11) 수정 2021.11.03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대전의료원과 관련해 조정아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 대전시 숙원사업인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 통과로 탄력을 받게 됐어요,

이렇게 결정되기까지 25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는데, 쉽지 않은 과정이었죠?

[기자]

네, 대부분의 지역 숙원사업이 그렇지만 대전의료원 건립 역시 추진과정에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대전의료원 건립에 대한 논의는 지난 1992년, '시립병원 설립 추진 건의안'이 대전시의회에 처음 제출되면서부터였습니다.

이후 진행 과정이 10년이 훨씬 넘게 지지부진 하다가 2007년 공공병원설립시민대책준비위가 발족되고, 대전시의회에 설립추진특위가 본격 구성되면서 그 뒤 수십 차례에 걸쳐 시의회 토론회와 대정부 건의,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이 활발하게 진행됐는데요,

결정적으로 공공의료의 필요성이 제기됐던 건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였습니다.

다들 기억하시겠지만 처음 겪는 대규모 감염병 사태인 데다, 이를 대응할 만한 공공의료기관이 마땅치 않아서 많은 혼란을 야기했었는데요.

메르스 사태를 겪은 뒤 대전시민 수십 만명이 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었고요,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추진 사업으로 선정돼 사업이 급물살을 타는가 싶었는데 정부는 늘 설립비용이나 운영 적자 등을 감당하기 어렵다.. 이런 경제성 논리를 앞세워서 대전시의 요구를 외면해 왔습니다.

[앵커]

대전시가 오늘 최종 사업계획서는 발표했지만, 행정 절차가 모두 끝난 게 아니잖아요,

앞으로 한 가지 더 남아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어떤 절차가 남아있는거죠?

[기자]

네, 말씀하신 것처럼 대전의료원 건립을 위한 행정 절차가 모두 끝난 것은 아니고요,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했다는 것은 쉽게 말해 '9부 능선을 넘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달부터 두 달여 동안 행정안전부가 진행할 중앙투자심사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인데요,

중앙투자심사에서는 대전시가 제출한 최종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사업비 적성성 등을 심의하는건데요,

일각에서는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이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인 데다, 이미 KDI나 기획재정부 등 여러 기관의 행정 절차를 마친 사안인데 굳이 한번 더 심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냐, 비효율적인 행정절차 아니냐,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긴 합니다.

일단 대전시는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를 무사히 통과한 만큼 중앙투자심사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중앙투자심사까지 마치면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은 본격 추진됩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대전의료원이 설립되면 지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고, 또,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 지 한번 짚어 주실까요?

[기자]

네, 공공의료원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민간 병원과 달리, 장애인이나 취약계층 등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시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특히, 응급출산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 치료, 재활치료, 임종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까지.

보통 민간병원들이 수익성이 낮아 기피하는 각종 보건 의료를 담당하게 되는데요,

그러다가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발생했다, 이렇게 되면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서 역할이 전환되고요,

예방 대책 수립부터 역학조사반 구성, 격리병동 운영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되는겁니다.

한국개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대전의료원이 설립되면 전체 생산유발효과는 천7백52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천2백87명, 취업유발효과는 천4백30명으로 분석됐는데요,

이에 따라 대전시는 대전의료원 건립을 통해 지역경제 파급과 대규모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분석] ‘9부 능선’ 넘은 대전의료원…향후 계획은?
    • 입력 2021-11-03 19:11:56
    • 수정2021-11-03 19:49:34
    뉴스7(대전)
[앵커]

그럼 대전의료원과 관련해 조정아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 대전시 숙원사업인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 통과로 탄력을 받게 됐어요,

이렇게 결정되기까지 25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는데, 쉽지 않은 과정이었죠?

[기자]

네, 대부분의 지역 숙원사업이 그렇지만 대전의료원 건립 역시 추진과정에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대전의료원 건립에 대한 논의는 지난 1992년, '시립병원 설립 추진 건의안'이 대전시의회에 처음 제출되면서부터였습니다.

이후 진행 과정이 10년이 훨씬 넘게 지지부진 하다가 2007년 공공병원설립시민대책준비위가 발족되고, 대전시의회에 설립추진특위가 본격 구성되면서 그 뒤 수십 차례에 걸쳐 시의회 토론회와 대정부 건의,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이 활발하게 진행됐는데요,

결정적으로 공공의료의 필요성이 제기됐던 건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였습니다.

다들 기억하시겠지만 처음 겪는 대규모 감염병 사태인 데다, 이를 대응할 만한 공공의료기관이 마땅치 않아서 많은 혼란을 야기했었는데요.

메르스 사태를 겪은 뒤 대전시민 수십 만명이 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었고요,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추진 사업으로 선정돼 사업이 급물살을 타는가 싶었는데 정부는 늘 설립비용이나 운영 적자 등을 감당하기 어렵다.. 이런 경제성 논리를 앞세워서 대전시의 요구를 외면해 왔습니다.

[앵커]

대전시가 오늘 최종 사업계획서는 발표했지만, 행정 절차가 모두 끝난 게 아니잖아요,

앞으로 한 가지 더 남아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어떤 절차가 남아있는거죠?

[기자]

네, 말씀하신 것처럼 대전의료원 건립을 위한 행정 절차가 모두 끝난 것은 아니고요,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했다는 것은 쉽게 말해 '9부 능선을 넘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달부터 두 달여 동안 행정안전부가 진행할 중앙투자심사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인데요,

중앙투자심사에서는 대전시가 제출한 최종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사업비 적성성 등을 심의하는건데요,

일각에서는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이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인 데다, 이미 KDI나 기획재정부 등 여러 기관의 행정 절차를 마친 사안인데 굳이 한번 더 심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냐, 비효율적인 행정절차 아니냐,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긴 합니다.

일단 대전시는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검토를 무사히 통과한 만큼 중앙투자심사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중앙투자심사까지 마치면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대전의료원 건립 사업은 본격 추진됩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대전의료원이 설립되면 지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고, 또,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 지 한번 짚어 주실까요?

[기자]

네, 공공의료원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민간 병원과 달리, 장애인이나 취약계층 등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시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특히, 응급출산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 치료, 재활치료, 임종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까지.

보통 민간병원들이 수익성이 낮아 기피하는 각종 보건 의료를 담당하게 되는데요,

그러다가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발생했다, 이렇게 되면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서 역할이 전환되고요,

예방 대책 수립부터 역학조사반 구성, 격리병동 운영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되는겁니다.

한국개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대전의료원이 설립되면 전체 생산유발효과는 천7백52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천2백87명, 취업유발효과는 천4백30명으로 분석됐는데요,

이에 따라 대전시는 대전의료원 건립을 통해 지역경제 파급과 대규모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