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망 사용료’ 거부 되풀이?…입법화 추진

입력 2021.11.03 (23:59) 수정 2021.11.04 (00: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징어게임’이 공개된 지 50여 일이 지났지만, 그 인기는 여전히 뜨겁죠.

그런데 이 오징어게임의 인기가 오랜 논쟁의 불씨를 다시 지폈습니다.

바로 망 사용료 논란입니다.

급기야 넷플릭스 부사장이 갑자기 한국을 방문해, 정부와 국회 관계자들을 잇따라 면담 했는데요.

김덕진 한국인사이트연구소 부소장과 이 문제,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문 대통령이 직접, 망 사용료 부과 문제를 언급한 지 보름 만에 넷플릭스 부사장이 방한한 셈이죠.

뚜렷한 답을 좀 들고 온 겁니까?

[앵커]

사실 망 사용료 논란은,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한 이후 수년간 지속돼 왔죠.

특히 ‘오징어게임’ 같은 흥행작이 나오면,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부담도 그만큼 커진다면서요?

[앵커]

그럼 넷플릭스가 다른 나라에서도 망 사용료를 안 내고 있는 겁니까?

[앵커]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국내에도 네이버나 카카오가 있고, 또 디즈니플러스 같은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도 곧 국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죠.

이들도 망 사용료를 안 냅니까?

[앵커]

그럼 왜 유독 넷플릭스만, 국내에 망 사용료를 안 내겠다는 건지 살펴보죠. 현재 방한 중인 넷플릭스 부사장이 며칠 전 이런 얘기를 했죠.

이게 무슨 의밉니까?

[앵커]

망 사용료 논란을 둘러싸고 소송도 진행 중이고, 또 ‘무임승차 방지법’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만큼, 넷플릭스도 언제까지 버티기만 할 수는 없어 보이는데요.

향후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어떤 것일까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망 사용료’ 거부 되풀이?…입법화 추진
    • 입력 2021-11-03 23:59:29
    • 수정2021-11-04 00:27:01
    뉴스라인 W
[앵커]

‘오징어게임’이 공개된 지 50여 일이 지났지만, 그 인기는 여전히 뜨겁죠.

그런데 이 오징어게임의 인기가 오랜 논쟁의 불씨를 다시 지폈습니다.

바로 망 사용료 논란입니다.

급기야 넷플릭스 부사장이 갑자기 한국을 방문해, 정부와 국회 관계자들을 잇따라 면담 했는데요.

김덕진 한국인사이트연구소 부소장과 이 문제,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문 대통령이 직접, 망 사용료 부과 문제를 언급한 지 보름 만에 넷플릭스 부사장이 방한한 셈이죠.

뚜렷한 답을 좀 들고 온 겁니까?

[앵커]

사실 망 사용료 논란은,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한 이후 수년간 지속돼 왔죠.

특히 ‘오징어게임’ 같은 흥행작이 나오면,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부담도 그만큼 커진다면서요?

[앵커]

그럼 넷플릭스가 다른 나라에서도 망 사용료를 안 내고 있는 겁니까?

[앵커]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국내에도 네이버나 카카오가 있고, 또 디즈니플러스 같은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도 곧 국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죠.

이들도 망 사용료를 안 냅니까?

[앵커]

그럼 왜 유독 넷플릭스만, 국내에 망 사용료를 안 내겠다는 건지 살펴보죠. 현재 방한 중인 넷플릭스 부사장이 며칠 전 이런 얘기를 했죠.

이게 무슨 의밉니까?

[앵커]

망 사용료 논란을 둘러싸고 소송도 진행 중이고, 또 ‘무임승차 방지법’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만큼, 넷플릭스도 언제까지 버티기만 할 수는 없어 보이는데요.

향후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은 어떤 것일까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