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년 동안 더 증가한 비정규직…원인은?
입력 2021.11.04 (19:37)
수정 2021.11.04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전해드린 전북 노동 실태 조사를 총괄한 노현정 전북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정책국장과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이후 정규직은 크게 줄고 비정규직, 특히 시간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건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비정규직을 줄이겠다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지난 7년 동안 비정규직 비율이 늘어난 건데요.
가장 큰 문제,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앵커]
화물 운수종사자나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개인사업자이면서도 근로자이기도 한 특수고용 노동자들, 대표적인 고용 지원 사각지대로 꼽혔는데요.
전북에도 5만 5천 명 정도로 추정만 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죠?
[앵커]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번 조사에서도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개선할 방안이 있을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앞서 전해드린 전북 노동 실태 조사를 총괄한 노현정 전북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정책국장과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이후 정규직은 크게 줄고 비정규직, 특히 시간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건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비정규직을 줄이겠다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지난 7년 동안 비정규직 비율이 늘어난 건데요.
가장 큰 문제,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앵커]
화물 운수종사자나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개인사업자이면서도 근로자이기도 한 특수고용 노동자들, 대표적인 고용 지원 사각지대로 꼽혔는데요.
전북에도 5만 5천 명 정도로 추정만 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죠?
[앵커]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번 조사에서도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개선할 방안이 있을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 7년 동안 더 증가한 비정규직…원인은?
-
- 입력 2021-11-04 19:37:09
- 수정2021-11-04 19:44:34

[앵커]
앞서 전해드린 전북 노동 실태 조사를 총괄한 노현정 전북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정책국장과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이후 정규직은 크게 줄고 비정규직, 특히 시간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건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비정규직을 줄이겠다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지난 7년 동안 비정규직 비율이 늘어난 건데요.
가장 큰 문제,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앵커]
화물 운수종사자나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개인사업자이면서도 근로자이기도 한 특수고용 노동자들, 대표적인 고용 지원 사각지대로 꼽혔는데요.
전북에도 5만 5천 명 정도로 추정만 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죠?
[앵커]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번 조사에서도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개선할 방안이 있을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앞서 전해드린 전북 노동 실태 조사를 총괄한 노현정 전북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정책국장과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국장님 안녕하세요?
코로나19 이후 정규직은 크게 줄고 비정규직, 특히 시간제 일자리가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는 건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비정규직을 줄이겠다는 정부 정책과 반대로, 지난 7년 동안 비정규직 비율이 늘어난 건데요.
가장 큰 문제,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앵커]
화물 운수종사자나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개인사업자이면서도 근로자이기도 한 특수고용 노동자들, 대표적인 고용 지원 사각지대로 꼽혔는데요.
전북에도 5만 5천 명 정도로 추정만 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죠?
[앵커]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번 조사에서도 정규직은 물론 비정규직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개선할 방안이 있을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