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권 침해” vs “시대역행”…개 식용 사회적 논의 시작
입력 2021.11.25 (21:40)
수정 2021.11.25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얼마전 문재인 대통령이 화두를 던진 '개 식용 금지'를 두고 정부가 오늘(25일)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찬/반 단체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4월까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한산한 시장 골목.
개고기를 팔던 가게와 식당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손님들의 발길도 뜸해졌습니다.
[시장 관계자/음성변조 : “옛날에는 많았죠. 지금은 다 없어졌어요.”]
88올림픽 때부터 30년 넘게 논란이 되고 있는 개 식용 문제.
[이연주/경기도 화성시 : “(개들이) 도살장에 팔려가기까지의 그 과정이 너무 잔인하게 키우고 있으니까.”]
[박겸덕/경기도 고양시 : “제가 안 먹는다고 남한테 먹지 말라고 할 수 있는 권한은 없는 거고요.”]
약 630만 가구, 1,500만 명이 반려동물과 사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정부가 개 식용문제를 공식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개 사육 농장과 도살장, 식당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국민 인식조사도 진행합니다.
생산과 유통으로 나눠 종식 방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오래된 식습관 문화로만 보기에는 어렵지 않겠나’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한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관련 제도도 함께 개선해나가고자 합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며 신속하고 구체적인 결론을, 관련 업계에서는 일방적 금지는 기본권 침해라며 생계 차원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 “이 기간 동안에 정말 실행할 수 있는 것, 정책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 그 다음에 구체화된 내용들이 마무리됐으면 좋겠습니다.”]
[주영봉/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종사자들 나이 때문에) 전업한다는 것이 어렵고 또 하나는 시설 자체가 다른 종으로 바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요. 20년만 식용개와 애완견을 분리하고….”]
정부는 내년 4월까지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김성현
얼마전 문재인 대통령이 화두를 던진 '개 식용 금지'를 두고 정부가 오늘(25일)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찬/반 단체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4월까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한산한 시장 골목.
개고기를 팔던 가게와 식당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손님들의 발길도 뜸해졌습니다.
[시장 관계자/음성변조 : “옛날에는 많았죠. 지금은 다 없어졌어요.”]
88올림픽 때부터 30년 넘게 논란이 되고 있는 개 식용 문제.
[이연주/경기도 화성시 : “(개들이) 도살장에 팔려가기까지의 그 과정이 너무 잔인하게 키우고 있으니까.”]
[박겸덕/경기도 고양시 : “제가 안 먹는다고 남한테 먹지 말라고 할 수 있는 권한은 없는 거고요.”]
약 630만 가구, 1,500만 명이 반려동물과 사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정부가 개 식용문제를 공식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개 사육 농장과 도살장, 식당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국민 인식조사도 진행합니다.
생산과 유통으로 나눠 종식 방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오래된 식습관 문화로만 보기에는 어렵지 않겠나’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한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관련 제도도 함께 개선해나가고자 합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며 신속하고 구체적인 결론을, 관련 업계에서는 일방적 금지는 기본권 침해라며 생계 차원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 “이 기간 동안에 정말 실행할 수 있는 것, 정책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 그 다음에 구체화된 내용들이 마무리됐으면 좋겠습니다.”]
[주영봉/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종사자들 나이 때문에) 전업한다는 것이 어렵고 또 하나는 시설 자체가 다른 종으로 바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요. 20년만 식용개와 애완견을 분리하고….”]
정부는 내년 4월까지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김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본권 침해” vs “시대역행”…개 식용 사회적 논의 시작
-
- 입력 2021-11-25 21:40:47
- 수정2021-11-25 21:49:29

[앵커]
얼마전 문재인 대통령이 화두를 던진 '개 식용 금지'를 두고 정부가 오늘(25일)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찬/반 단체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4월까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한산한 시장 골목.
개고기를 팔던 가게와 식당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손님들의 발길도 뜸해졌습니다.
[시장 관계자/음성변조 : “옛날에는 많았죠. 지금은 다 없어졌어요.”]
88올림픽 때부터 30년 넘게 논란이 되고 있는 개 식용 문제.
[이연주/경기도 화성시 : “(개들이) 도살장에 팔려가기까지의 그 과정이 너무 잔인하게 키우고 있으니까.”]
[박겸덕/경기도 고양시 : “제가 안 먹는다고 남한테 먹지 말라고 할 수 있는 권한은 없는 거고요.”]
약 630만 가구, 1,500만 명이 반려동물과 사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정부가 개 식용문제를 공식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개 사육 농장과 도살장, 식당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국민 인식조사도 진행합니다.
생산과 유통으로 나눠 종식 방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오래된 식습관 문화로만 보기에는 어렵지 않겠나’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한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관련 제도도 함께 개선해나가고자 합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며 신속하고 구체적인 결론을, 관련 업계에서는 일방적 금지는 기본권 침해라며 생계 차원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 “이 기간 동안에 정말 실행할 수 있는 것, 정책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 그 다음에 구체화된 내용들이 마무리됐으면 좋겠습니다.”]
[주영봉/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종사자들 나이 때문에) 전업한다는 것이 어렵고 또 하나는 시설 자체가 다른 종으로 바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요. 20년만 식용개와 애완견을 분리하고….”]
정부는 내년 4월까지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김성현
얼마전 문재인 대통령이 화두를 던진 '개 식용 금지'를 두고 정부가 오늘(25일)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찬/반 단체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는 내년 4월까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입니다.
박민경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한산한 시장 골목.
개고기를 팔던 가게와 식당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손님들의 발길도 뜸해졌습니다.
[시장 관계자/음성변조 : “옛날에는 많았죠. 지금은 다 없어졌어요.”]
88올림픽 때부터 30년 넘게 논란이 되고 있는 개 식용 문제.
[이연주/경기도 화성시 : “(개들이) 도살장에 팔려가기까지의 그 과정이 너무 잔인하게 키우고 있으니까.”]
[박겸덕/경기도 고양시 : “제가 안 먹는다고 남한테 먹지 말라고 할 수 있는 권한은 없는 거고요.”]
약 630만 가구, 1,500만 명이 반려동물과 사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정부가 개 식용문제를 공식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개 사육 농장과 도살장, 식당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국민 인식조사도 진행합니다.
생산과 유통으로 나눠 종식 방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오래된 식습관 문화로만 보기에는 어렵지 않겠나’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합의안을 도출하는 한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관련 제도도 함께 개선해나가고자 합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시대에 역행하는 문제라며 신속하고 구체적인 결론을, 관련 업계에서는 일방적 금지는 기본권 침해라며 생계 차원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 “이 기간 동안에 정말 실행할 수 있는 것, 정책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 그 다음에 구체화된 내용들이 마무리됐으면 좋겠습니다.”]
[주영봉/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 : “(종사자들 나이 때문에) 전업한다는 것이 어렵고 또 하나는 시설 자체가 다른 종으로 바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요. 20년만 식용개와 애완견을 분리하고….”]
정부는 내년 4월까지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 김성현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