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다 죽는다’ 지역소멸·지방대 붕괴 근본대책 촉구

입력 2021.11.30 (07:54) 수정 2021.11.30 (0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구 절반 이상이 서울과 수도권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지방대는 그야말로 정원을 채우기가 힘든 실정입니다.

지방대가 붕괴되면 인구감소는 더 가속화 돼 지역사회 역시 소멸될 것이란 예상된 전망에도, 뚜렷한 해법이 없습니다.

부·울·경 대학 노조가 정부와 대선 후보들에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대학 신입생 미충원 인원은 4만 명.

이 가운데 75%인 3만 명이 지방대에서 나왔습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입학정원이 유지될 경우, 올해 4만 명인 미충원 인원은 3년 뒤 10만 명까지 늘어납니다.

일자리와 생활 기반 시설이 유리한 수도권 대학에 비해, 지방대의 신입생 채우기는 더욱 힘들어 질 게 뻔하지만 이렇다 할 대책은 없는 실정입니다.

[어제/부산시청 앞 : "지방소멸을 멈춰라! 지방소멸을 멈춰라!"]

결국, 지역 대학교 직원 노조가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지방대가 사라질 위기는 지역이 사라질 위기라며 지역 사회의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소영수/신라대 노조 지부장 : "청년들이 지역의 대학에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 지역에 뿌리내리고 싶도록 만들어야 한다."]

지방대 붕괴 대책을 요구하는 이번 집회는 학령인구 감소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은 부산, 울산, 경남 사립대 노조가 주축이 돼 마련됐습니다.

연구 용역비 등 정부 재정지원마저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

노조는 현재 GDP 0.7% 수준인 고등교육 예산을 OECD 평균으로 올려 지방대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넝쿨/전국대학노조 부산·경남지역 본부장 : "OECD국가 평균 정도 재정을 투입하면 약 9조원 정도 되는데 이 돈을 투입하면 대학교육 무상화까지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재정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을 만들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어 노조원들은 교육부에 항의 서한을 전달했습니다.

또, 대선후보들에게도 지방대 육성을 포함한 국토균형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라고 호소했습니다.

2000년 이후 문을 닫은 대학 18곳 중, 지방대는 무려 17곳.

대학 스스로의 위기 극복 노력을 넘어, 경쟁력 있는 지방대 육성 정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김창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방대 다 죽는다’ 지역소멸·지방대 붕괴 근본대책 촉구
    • 입력 2021-11-30 07:54:04
    • 수정2021-11-30 08:29:43
    뉴스광장(부산)
[앵커]

인구 절반 이상이 서울과 수도권에 살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지방대는 그야말로 정원을 채우기가 힘든 실정입니다.

지방대가 붕괴되면 인구감소는 더 가속화 돼 지역사회 역시 소멸될 것이란 예상된 전망에도, 뚜렷한 해법이 없습니다.

부·울·경 대학 노조가 정부와 대선 후보들에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대학 신입생 미충원 인원은 4만 명.

이 가운데 75%인 3만 명이 지방대에서 나왔습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같은 현상이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입학정원이 유지될 경우, 올해 4만 명인 미충원 인원은 3년 뒤 10만 명까지 늘어납니다.

일자리와 생활 기반 시설이 유리한 수도권 대학에 비해, 지방대의 신입생 채우기는 더욱 힘들어 질 게 뻔하지만 이렇다 할 대책은 없는 실정입니다.

[어제/부산시청 앞 : "지방소멸을 멈춰라! 지방소멸을 멈춰라!"]

결국, 지역 대학교 직원 노조가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지방대가 사라질 위기는 지역이 사라질 위기라며 지역 사회의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소영수/신라대 노조 지부장 : "청년들이 지역의 대학에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 지역에 뿌리내리고 싶도록 만들어야 한다."]

지방대 붕괴 대책을 요구하는 이번 집회는 학령인구 감소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은 부산, 울산, 경남 사립대 노조가 주축이 돼 마련됐습니다.

연구 용역비 등 정부 재정지원마저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

노조는 현재 GDP 0.7% 수준인 고등교육 예산을 OECD 평균으로 올려 지방대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넝쿨/전국대학노조 부산·경남지역 본부장 : "OECD국가 평균 정도 재정을 투입하면 약 9조원 정도 되는데 이 돈을 투입하면 대학교육 무상화까지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재정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을 만들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어 노조원들은 교육부에 항의 서한을 전달했습니다.

또, 대선후보들에게도 지방대 육성을 포함한 국토균형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라고 호소했습니다.

2000년 이후 문을 닫은 대학 18곳 중, 지방대는 무려 17곳.

대학 스스로의 위기 극복 노력을 넘어, 경쟁력 있는 지방대 육성 정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김창한/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