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학교 감염 확산…청소년 접종률 다양화 가닥
입력 2021.12.01 (08:03)
수정 2021.12.01 (08: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교육부가 초중고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이 늘어나면서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경남지역 학부모들도 백신 접종이 효과적인 것은 알지만, 저학년일수록 반대 의견이 많은데요,
학생과 학부모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천현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제지역의 한 학교에서 최근 닷새 동안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30명입니다.
이 학교는 일주일 동안 전교생 원격수업으로 전환했지만 확진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전면 또는 부분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남지역 초중고 학교는 모두 9곳입니다.
경남지역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3까지 접종 대상인 22만 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30%대.
고등학교 3학년은 96%이지만 저학년일수록 낮아져 중학생은 20%입니다.
접종률의 차이는 지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생 가운데 확진자는 2명에 그친 반면, 중학교에서는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현상으로 대비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는 이유입니다.
[유은혜/교육부 장관 : "(백신 접종) 위탁기관 지정이나 학교 직접 방문 등의 다양한 접종 방식이 지역별 상황에 맞게 선택 운영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부는 학생이 의료기관을 직접 찾아가는 현행 방식에서 의료진이 학교를 방문하는 방법 등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접종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학부모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임경아/경남 여성모임 '줌마렐라' 대표 : "우리 학부형에게 조사했더니 591명이 응답을 했고 그 중에 86% 정도가 (접종) 반대하셨고 찬성은 14% 정도였습니다."]
경남의 청소년 백신 접종은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2주 뒤에나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번 달 겨울방학을 앞두고 있어 실효성이 있을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교육부가 초중고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이 늘어나면서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경남지역 학부모들도 백신 접종이 효과적인 것은 알지만, 저학년일수록 반대 의견이 많은데요,
학생과 학부모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천현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제지역의 한 학교에서 최근 닷새 동안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30명입니다.
이 학교는 일주일 동안 전교생 원격수업으로 전환했지만 확진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전면 또는 부분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남지역 초중고 학교는 모두 9곳입니다.
경남지역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3까지 접종 대상인 22만 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30%대.
고등학교 3학년은 96%이지만 저학년일수록 낮아져 중학생은 20%입니다.
접종률의 차이는 지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생 가운데 확진자는 2명에 그친 반면, 중학교에서는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현상으로 대비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는 이유입니다.
[유은혜/교육부 장관 : "(백신 접종) 위탁기관 지정이나 학교 직접 방문 등의 다양한 접종 방식이 지역별 상황에 맞게 선택 운영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부는 학생이 의료기관을 직접 찾아가는 현행 방식에서 의료진이 학교를 방문하는 방법 등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접종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학부모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임경아/경남 여성모임 '줌마렐라' 대표 : "우리 학부형에게 조사했더니 591명이 응답을 했고 그 중에 86% 정도가 (접종) 반대하셨고 찬성은 14% 정도였습니다."]
경남의 청소년 백신 접종은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2주 뒤에나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번 달 겨울방학을 앞두고 있어 실효성이 있을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학교 감염 확산…청소년 접종률 다양화 가닥
-
- 입력 2021-12-01 08:03:41
- 수정2021-12-01 08:34:01

[앵커]
교육부가 초중고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이 늘어나면서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경남지역 학부모들도 백신 접종이 효과적인 것은 알지만, 저학년일수록 반대 의견이 많은데요,
학생과 학부모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천현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제지역의 한 학교에서 최근 닷새 동안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30명입니다.
이 학교는 일주일 동안 전교생 원격수업으로 전환했지만 확진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전면 또는 부분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남지역 초중고 학교는 모두 9곳입니다.
경남지역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3까지 접종 대상인 22만 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30%대.
고등학교 3학년은 96%이지만 저학년일수록 낮아져 중학생은 20%입니다.
접종률의 차이는 지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생 가운데 확진자는 2명에 그친 반면, 중학교에서는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현상으로 대비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는 이유입니다.
[유은혜/교육부 장관 : "(백신 접종) 위탁기관 지정이나 학교 직접 방문 등의 다양한 접종 방식이 지역별 상황에 맞게 선택 운영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부는 학생이 의료기관을 직접 찾아가는 현행 방식에서 의료진이 학교를 방문하는 방법 등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접종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학부모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임경아/경남 여성모임 '줌마렐라' 대표 : "우리 학부형에게 조사했더니 591명이 응답을 했고 그 중에 86% 정도가 (접종) 반대하셨고 찬성은 14% 정도였습니다."]
경남의 청소년 백신 접종은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2주 뒤에나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번 달 겨울방학을 앞두고 있어 실효성이 있을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교육부가 초중고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이 늘어나면서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경남지역 학부모들도 백신 접종이 효과적인 것은 알지만, 저학년일수록 반대 의견이 많은데요,
학생과 학부모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천현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제지역의 한 학교에서 최근 닷새 동안 나온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30명입니다.
이 학교는 일주일 동안 전교생 원격수업으로 전환했지만 확진자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전면 또는 부분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남지역 초중고 학교는 모두 9곳입니다.
경남지역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3까지 접종 대상인 22만 명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30%대.
고등학교 3학년은 96%이지만 저학년일수록 낮아져 중학생은 20%입니다.
접종률의 차이는 지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생 가운데 확진자는 2명에 그친 반면, 중학교에서는 집단감염이 잇따르는 현상으로 대비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려는 이유입니다.
[유은혜/교육부 장관 : "(백신 접종) 위탁기관 지정이나 학교 직접 방문 등의 다양한 접종 방식이 지역별 상황에 맞게 선택 운영되도록 하겠습니다."]
교육부는 학생이 의료기관을 직접 찾아가는 현행 방식에서 의료진이 학교를 방문하는 방법 등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접종을 시도할 계획입니다.
문제는 학부모와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임경아/경남 여성모임 '줌마렐라' 대표 : "우리 학부형에게 조사했더니 591명이 응답을 했고 그 중에 86% 정도가 (접종) 반대하셨고 찬성은 14% 정도였습니다."]
경남의 청소년 백신 접종은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2주 뒤에나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번 달 겨울방학을 앞두고 있어 실효성이 있을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천현수입니다.
-
-
천현수 기자 skypro@kbs.co.kr
천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