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산에 국내 외교행사 차질…다음 주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화상’ 전환

입력 2021.12.01 (16:26) 수정 2021.12.01 (16: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다음주 서울에서 대면으로 개최 예정이던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가 화상으로 전환되는 등 국내 외교행사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1일) 기자들을 만나 "12월 7일과 8일 전면 대면회의로 개최 예정이었던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를 전면 화상회의로 전환해 예정된 날짜에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회의를 위해 서울을 찾을 예정이었던 각국 외교·국방장관 등 100여 개국 정부 관계자와 국제기구 인사 400여 명의 방한이 취소됐습니다.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는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과 관련된 최고위급 협의체로, 2016년 출범해 155개국 외교·국방장관이 참석하는 장관급 정례 회의로 자리잡았습니다. PKO에 대한 국제사회의 정치적 지지 확보, PKO 강화를 위한 각국의 새 공약 발굴과 이행 현황 점검 등을 위해 열립니다.

당초 우리나라가 의장국을 맡아 아시아 지역에선 처음으로 올 4월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12월로 연기됐는데,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대면 국제회의'라는 데 의의를 두고 준비에 공을 들여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주말을 전후로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유럽과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확인되면서, 정부는 유엔 사무국과 협의해 회의 방식과 개최 시점을 재검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올해는 우리 유엔 가입 30주년이 되는 해이고 그 일환으로 각종 국제회의를 개최해오면서 사실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를 30주년 행사의 마무리를 짓는 가장 큰 회의로 계획해 왔었다"면서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이어 "화상회의라는 형식으로 하더라도 최대 규모 회의여서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적극적으로 준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오는 9~10일 서울에서 대면으로 열릴 예정이었던 한-아프리카 포럼도 내년으로 미뤄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공동 주최기관인 아프리카연합(AU) 측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화상 전환 방식과 순연 모두 협의했는데, 개최 방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자소위와 각료회의, 정상회의 등 상당한 행정적 절차가 필요했다"면서 "일정을 순연해 다시 시작하면 좋겠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또 오는 20~22일 서울에서 3년 만에 개최할 예정이었던 재외공관장 대면회의도 내년으로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 공관장 회의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할 예정이었던 재외공관장 130여 명의 한국행도 취소됐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아프리카 포럼과 공관장 대면회의는 방역 상황을 계속 점검해가며 상황이 개선되는 대로 내년 초에 가능한 대면 회의로 개최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외교부 웹사이트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미크론 확산에 국내 외교행사 차질…다음 주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화상’ 전환
    • 입력 2021-12-01 16:26:13
    • 수정2021-12-01 16:54:12
    정치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다음주 서울에서 대면으로 개최 예정이던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가 화상으로 전환되는 등 국내 외교행사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1일) 기자들을 만나 "12월 7일과 8일 전면 대면회의로 개최 예정이었던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를 전면 화상회의로 전환해 예정된 날짜에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회의를 위해 서울을 찾을 예정이었던 각국 외교·국방장관 등 100여 개국 정부 관계자와 국제기구 인사 400여 명의 방한이 취소됐습니다.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는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과 관련된 최고위급 협의체로, 2016년 출범해 155개국 외교·국방장관이 참석하는 장관급 정례 회의로 자리잡았습니다. PKO에 대한 국제사회의 정치적 지지 확보, PKO 강화를 위한 각국의 새 공약 발굴과 이행 현황 점검 등을 위해 열립니다.

당초 우리나라가 의장국을 맡아 아시아 지역에선 처음으로 올 4월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12월로 연기됐는데,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대면 국제회의'라는 데 의의를 두고 준비에 공을 들여왔습니다.

그러나 지난 주말을 전후로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유럽과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확인되면서, 정부는 유엔 사무국과 협의해 회의 방식과 개최 시점을 재검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올해는 우리 유엔 가입 30주년이 되는 해이고 그 일환으로 각종 국제회의를 개최해오면서 사실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를 30주년 행사의 마무리를 짓는 가장 큰 회의로 계획해 왔었다"면서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이어 "화상회의라는 형식으로 하더라도 최대 규모 회의여서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적극적으로 준비해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오는 9~10일 서울에서 대면으로 열릴 예정이었던 한-아프리카 포럼도 내년으로 미뤄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공동 주최기관인 아프리카연합(AU) 측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화상 전환 방식과 순연 모두 협의했는데, 개최 방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자소위와 각료회의, 정상회의 등 상당한 행정적 절차가 필요했다"면서 "일정을 순연해 다시 시작하면 좋겠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또 오는 20~22일 서울에서 3년 만에 개최할 예정이었던 재외공관장 대면회의도 내년으로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 공관장 회의 참석을 위해 일시 귀국할 예정이었던 재외공관장 130여 명의 한국행도 취소됐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아프리카 포럼과 공관장 대면회의는 방역 상황을 계속 점검해가며 상황이 개선되는 대로 내년 초에 가능한 대면 회의로 개최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외교부 웹사이트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