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대륙서 오미크론 감염 확인…유럽, 남아공 보고보다 빨라
입력 2021.12.01 (21:04)
수정 2021.12.01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은 브라질에서도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6개 대륙에서 모두 감염 사례가 확인된 겁니다.
특히 유럽에서 확산이 빠른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첫 사례 보고 이전에 이미 유럽에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베를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귀수 특파원! 브라질까지 추가됐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브라질에서도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첫 보고 일주일만에 6개 대륙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확산세가 빠른 곳은 유럽입니다.
스위스에서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12개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됐습니다.
아프리카 3곳, 아시아·중동 4곳, 북미와 남미, 오세아니아 각각 한 곳 등 입니다.
일본에선 두번째 감염자가 확인되면서 자국민의 입국까지 제한하는 초강수를 내놨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식 보고되기 전 유럽 어디서 오미크론 감염자가 있었다는 겁니다?
[기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1월 24일 세계보건기구에 오미크론을 보고 하기 이전에 유럽 몇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네덜란드는 지난달 19일과 23일 채취된 샘플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독일과 벨기에도 각각 지난달 21일과 22일 해외 입국자에게서 변이를 확인했습니다.
심지어 해외에 나가 본 적도, 외국인과 접촉한 적도 없는 독일 남성이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도 나왔는데요,
이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전에 유럽에 유입됐거나, 오미크론의 기원이 아프리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추론도 가능합니다.
[앵커]
그럼 지금 드러난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도 있다는 거네요?
[기자]
전문가들은 유럽에선 지역감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지드 자비드/영국 보건장관 : "이미 지역감염이 시작됐냐고요? 우리는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유럽 국가처럼 현재 적극적으로 사례를 찾고 있으므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은 입국 제한, 마스크 의무화 등을 도입하고 있고, 백신 의무화를 추진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상황이 더 심각해지면 상점 문도 닫고, 국경 넘기도 어려워지는 봉쇄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은 브라질에서도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6개 대륙에서 모두 감염 사례가 확인된 겁니다.
특히 유럽에서 확산이 빠른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첫 사례 보고 이전에 이미 유럽에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베를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귀수 특파원! 브라질까지 추가됐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브라질에서도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첫 보고 일주일만에 6개 대륙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확산세가 빠른 곳은 유럽입니다.
스위스에서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12개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됐습니다.
아프리카 3곳, 아시아·중동 4곳, 북미와 남미, 오세아니아 각각 한 곳 등 입니다.
일본에선 두번째 감염자가 확인되면서 자국민의 입국까지 제한하는 초강수를 내놨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식 보고되기 전 유럽 어디서 오미크론 감염자가 있었다는 겁니다?
[기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1월 24일 세계보건기구에 오미크론을 보고 하기 이전에 유럽 몇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네덜란드는 지난달 19일과 23일 채취된 샘플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독일과 벨기에도 각각 지난달 21일과 22일 해외 입국자에게서 변이를 확인했습니다.
심지어 해외에 나가 본 적도, 외국인과 접촉한 적도 없는 독일 남성이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도 나왔는데요,
이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전에 유럽에 유입됐거나, 오미크론의 기원이 아프리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추론도 가능합니다.
[앵커]
그럼 지금 드러난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도 있다는 거네요?
[기자]
전문가들은 유럽에선 지역감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지드 자비드/영국 보건장관 : "이미 지역감염이 시작됐냐고요? 우리는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유럽 국가처럼 현재 적극적으로 사례를 찾고 있으므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은 입국 제한, 마스크 의무화 등을 도입하고 있고, 백신 의무화를 추진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상황이 더 심각해지면 상점 문도 닫고, 국경 넘기도 어려워지는 봉쇄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개 대륙서 오미크론 감염 확인…유럽, 남아공 보고보다 빨라
-
- 입력 2021-12-01 21:04:52
- 수정2021-12-01 22:04:37

[앵커]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은 브라질에서도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6개 대륙에서 모두 감염 사례가 확인된 겁니다.
특히 유럽에서 확산이 빠른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첫 사례 보고 이전에 이미 유럽에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베를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귀수 특파원! 브라질까지 추가됐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브라질에서도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첫 보고 일주일만에 6개 대륙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확산세가 빠른 곳은 유럽입니다.
스위스에서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12개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됐습니다.
아프리카 3곳, 아시아·중동 4곳, 북미와 남미, 오세아니아 각각 한 곳 등 입니다.
일본에선 두번째 감염자가 확인되면서 자국민의 입국까지 제한하는 초강수를 내놨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식 보고되기 전 유럽 어디서 오미크론 감염자가 있었다는 겁니다?
[기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1월 24일 세계보건기구에 오미크론을 보고 하기 이전에 유럽 몇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네덜란드는 지난달 19일과 23일 채취된 샘플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독일과 벨기에도 각각 지난달 21일과 22일 해외 입국자에게서 변이를 확인했습니다.
심지어 해외에 나가 본 적도, 외국인과 접촉한 적도 없는 독일 남성이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도 나왔는데요,
이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전에 유럽에 유입됐거나, 오미크론의 기원이 아프리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추론도 가능합니다.
[앵커]
그럼 지금 드러난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도 있다는 거네요?
[기자]
전문가들은 유럽에선 지역감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지드 자비드/영국 보건장관 : "이미 지역감염이 시작됐냐고요? 우리는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유럽 국가처럼 현재 적극적으로 사례를 찾고 있으므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은 입국 제한, 마스크 의무화 등을 도입하고 있고, 백신 의무화를 추진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상황이 더 심각해지면 상점 문도 닫고, 국경 넘기도 어려워지는 봉쇄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은 브라질에서도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6개 대륙에서 모두 감염 사례가 확인된 겁니다.
특히 유럽에서 확산이 빠른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첫 사례 보고 이전에 이미 유럽에 감염자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베를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귀수 특파원! 브라질까지 추가됐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브라질에서도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첫 보고 일주일만에 6개 대륙에서 모두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확산세가 빠른 곳은 유럽입니다.
스위스에서 2명의 감염 사례가 나오며 12개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확인됐습니다.
아프리카 3곳, 아시아·중동 4곳, 북미와 남미, 오세아니아 각각 한 곳 등 입니다.
일본에선 두번째 감염자가 확인되면서 자국민의 입국까지 제한하는 초강수를 내놨습니다.
[앵커]
그런데 정식 보고되기 전 유럽 어디서 오미크론 감염자가 있었다는 겁니다?
[기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1월 24일 세계보건기구에 오미크론을 보고 하기 이전에 유럽 몇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네덜란드는 지난달 19일과 23일 채취된 샘플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발견했습니다.
독일과 벨기에도 각각 지난달 21일과 22일 해외 입국자에게서 변이를 확인했습니다.
심지어 해외에 나가 본 적도, 외국인과 접촉한 적도 없는 독일 남성이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도 나왔는데요,
이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전에 유럽에 유입됐거나, 오미크론의 기원이 아프리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추론도 가능합니다.
[앵커]
그럼 지금 드러난 것보다 훨씬 심각할 수도 있다는 거네요?
[기자]
전문가들은 유럽에선 지역감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지드 자비드/영국 보건장관 : "이미 지역감염이 시작됐냐고요? 우리는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유럽 국가처럼 현재 적극적으로 사례를 찾고 있으므로 확진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은 입국 제한, 마스크 의무화 등을 도입하고 있고, 백신 의무화를 추진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상황이 더 심각해지면 상점 문도 닫고, 국경 넘기도 어려워지는 봉쇄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이태희/그래픽:김지훈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