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포항] 원전 감축 비용 보전…“영덕·울진은 혜택 없어”

입력 2021.12.08 (19:35) 수정 2021.12.08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정부가 원전 감축에 따른 비용 손실 보전 신청을 받기로 했는데요,

정작 영덕과 울진은 심한 여론 분열과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지만 이 혜택을 못 받습니다.

강전일 기자가 그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건설이 백지화된 영덕 천지 원전 예정지가 썰렁한 모습입니다.

정부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원전 감축을 위한 비용을 보전해 줍니다.

비용 보전 대상은 사업자가 원전 감축을 위해 발전 사업 등을 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행정조치까지 끝낸 사업입니다.

천지 1·2호기 사업도 대상인데 영덕군은 비용 보전을 받지 못합니다.

비용 보전을 받을 수 있는 사업자가 한수원이기 때문입니다.

[박현규/영덕군 지역경제개발국장 : "원전 대안 사업과 미보상 토지 소유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탈원전 피해 보상 관련 법안이 조속히 제정되도록..."]

비용 보전을 받지 못하는 건 울진군도 마찬가집니다.

이미 7천8백억 원을 들여 부지 매입과 주기기 사전 제작까지 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못한 겁니다.

[장유덕/울진군의회 원전특별위원장 :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우리 군민들에 대한 원전 건설 약속이 제때 진행이 안됨으로 인해서 거기에 따른 손해를 보상하기 위해정부는 책임을 지고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울진은 지역 경제가 침체됐고, 영덕은 주민 갈등이 심화된 가운데 특별지원금도 반납한 상황입니다.

경북 동해안은 원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만큼 적절한 보상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 입니다.

의사 과학자 양성·의학교육혁신 세미나 열려

경상북도와 포항시가 ‘의사 과학자 양성과 의학교육혁신 정책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 세미나는 ‘공학 기반 의학교육혁신의 필요성’이란 김무환 포스텍 총장의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의사 과학자 양성의 필요성과 역할 등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모색됐습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포스텍 같은 이공계 연구중심대학과 연계한 의과 대학 설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덕, 국립 해양생물 종 복원센터 유치 확정

영덕군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해양생물의 보존과 관리를 담당하는 국립 해양생물 종 복원센터를 유치했습니다.

종 복원센터 건립에는 373억 원이 투입되며 내년에 기본, 실시 계획을 세운 뒤 영덕군 병곡면 영리 일원에 조성하게 됩니다.

또, 앞으로 해양생물 종의 증식과 복원 연구, 해양동물 구조·치료와 함께 관련 정책을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지휘 본부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포항] 원전 감축 비용 보전…“영덕·울진은 혜택 없어”
    • 입력 2021-12-08 19:35:51
    • 수정2021-12-08 21:55:55
    뉴스7(대구)
[앵커]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정부가 원전 감축에 따른 비용 손실 보전 신청을 받기로 했는데요,

정작 영덕과 울진은 심한 여론 분열과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지만 이 혜택을 못 받습니다.

강전일 기자가 그 이유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건설이 백지화된 영덕 천지 원전 예정지가 썰렁한 모습입니다.

정부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원전 감축을 위한 비용을 보전해 줍니다.

비용 보전 대상은 사업자가 원전 감축을 위해 발전 사업 등을 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행정조치까지 끝낸 사업입니다.

천지 1·2호기 사업도 대상인데 영덕군은 비용 보전을 받지 못합니다.

비용 보전을 받을 수 있는 사업자가 한수원이기 때문입니다.

[박현규/영덕군 지역경제개발국장 : "원전 대안 사업과 미보상 토지 소유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탈원전 피해 보상 관련 법안이 조속히 제정되도록..."]

비용 보전을 받지 못하는 건 울진군도 마찬가집니다.

이미 7천8백억 원을 들여 부지 매입과 주기기 사전 제작까지 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못한 겁니다.

[장유덕/울진군의회 원전특별위원장 :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우리 군민들에 대한 원전 건설 약속이 제때 진행이 안됨으로 인해서 거기에 따른 손해를 보상하기 위해정부는 책임을 지고 대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울진은 지역 경제가 침체됐고, 영덕은 주민 갈등이 심화된 가운데 특별지원금도 반납한 상황입니다.

경북 동해안은 원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만큼 적절한 보상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전일 입니다.

의사 과학자 양성·의학교육혁신 세미나 열려

경상북도와 포항시가 ‘의사 과학자 양성과 의학교육혁신 정책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 세미나는 ‘공학 기반 의학교육혁신의 필요성’이란 김무환 포스텍 총장의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의사 과학자 양성의 필요성과 역할 등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모색됐습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포스텍 같은 이공계 연구중심대학과 연계한 의과 대학 설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덕, 국립 해양생물 종 복원센터 유치 확정

영덕군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해양생물의 보존과 관리를 담당하는 국립 해양생물 종 복원센터를 유치했습니다.

종 복원센터 건립에는 373억 원이 투입되며 내년에 기본, 실시 계획을 세운 뒤 영덕군 병곡면 영리 일원에 조성하게 됩니다.

또, 앞으로 해양생물 종의 증식과 복원 연구, 해양동물 구조·치료와 함께 관련 정책을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지휘 본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