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경제] 인플레이션, 언제까지 계속될까?
입력 2021.12.09 (19:19)
수정 2021.12.09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 속 경제 뉴스를 함께 풀어보는 시간, 같이 경제입니다.
치킨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기사를 보면 치킨 시장 선두업체가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는데 사실, 먹거리뿐만이 아니죠.
휘발유 가격, 공공 요금, 뭐 하나 안 오른 게 없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3.7% 상승했는데 정부가 1.5%에서 2% 정도를 목표치로 삼은 것을 보면 지금은 두 배 수준으로, 정부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가리켜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더 자세히 설명해 보면, 어느 날 정부가 엄청난 양의 화폐를 발행해 공급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시중에는 화폐가 넘쳐나겠죠.
화폐를 가진 사람들이 늘면서 구매력은 훨씬 높아질 텐데요.
하지만 살 수 있는 상품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웃돈을 줘가며 구매 경쟁을 할 것이고, 그 결과 제품 가격은 더 비싸지겠죠.
이 상황을 우리는 초과 수요로 물가가 올랐다.
즉, '수요 인플레이션'이 생겼다고 표현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면서 화폐가치는 낮아지고, 직장인들은 똑같은 월급을 받고도 살 수 있는 상품의 수가 줄어 실질 소득은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 현상이 됐는데요.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국은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었고,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정책으로 시중 통화량을 늘려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의 단초를 제공했죠.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됐습니다.
이번에는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동남아 반도체 공장들이 가동을 멈추고, 컨테이너 운반선은 항구에서 짐을 내리지 못해 해운 물류가 꽉 막혀버렸죠.
원자재와 부품을 제때 받지 못한 제조 공장들은 하나 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다양한 제품군에서 물건이 없어 못 파는 일이 생겨나면서 재고 상품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초과 수요가 생겨났다기보다,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늘면서 물가 상승이 일어난 겁니다.
그래서 '비용 인플레이션'인거죠.
그 밖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도 한몫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코로나로 불안해진 해외 공급망에 의존하기보다, 비교적 예측 가능한 자국 내 생산을 유도했는데요.
무역에서만큼은 트럼프 정부처럼 반세계화 정책을 펴는 건데, 임금이 싼 국가에 생산을 맡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유 무역의 효과를 뒤로하고, 지금은 높은 무역 장벽을 쌓아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 거죠.
역시 '비용 인플레이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인플레이션에 더 취약한데요.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입 물가는 원자재에 이은 2차, 3차 제품의 생산 단가까지 올려 국내 물가를 들썩이게 만들었죠.
더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긴 터널을 언제 빠져나올 수 있을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는 건데요.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순히 금리를 조정해 해결했던 기존 방식은 통하지 않게 된 겁니다.
오미크론이라는 변수까지 생겨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국내 수출 실적이 좋은 데다 소비 심리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어 아직은 내년 세계 경제의 변화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입니다.
같이 경제였습니다.
치킨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기사를 보면 치킨 시장 선두업체가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는데 사실, 먹거리뿐만이 아니죠.
휘발유 가격, 공공 요금, 뭐 하나 안 오른 게 없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3.7% 상승했는데 정부가 1.5%에서 2% 정도를 목표치로 삼은 것을 보면 지금은 두 배 수준으로, 정부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가리켜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더 자세히 설명해 보면, 어느 날 정부가 엄청난 양의 화폐를 발행해 공급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시중에는 화폐가 넘쳐나겠죠.
화폐를 가진 사람들이 늘면서 구매력은 훨씬 높아질 텐데요.
하지만 살 수 있는 상품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웃돈을 줘가며 구매 경쟁을 할 것이고, 그 결과 제품 가격은 더 비싸지겠죠.
이 상황을 우리는 초과 수요로 물가가 올랐다.
즉, '수요 인플레이션'이 생겼다고 표현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면서 화폐가치는 낮아지고, 직장인들은 똑같은 월급을 받고도 살 수 있는 상품의 수가 줄어 실질 소득은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 현상이 됐는데요.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국은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었고,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정책으로 시중 통화량을 늘려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의 단초를 제공했죠.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됐습니다.
이번에는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동남아 반도체 공장들이 가동을 멈추고, 컨테이너 운반선은 항구에서 짐을 내리지 못해 해운 물류가 꽉 막혀버렸죠.
원자재와 부품을 제때 받지 못한 제조 공장들은 하나 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다양한 제품군에서 물건이 없어 못 파는 일이 생겨나면서 재고 상품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초과 수요가 생겨났다기보다,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늘면서 물가 상승이 일어난 겁니다.
그래서 '비용 인플레이션'인거죠.
그 밖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도 한몫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코로나로 불안해진 해외 공급망에 의존하기보다, 비교적 예측 가능한 자국 내 생산을 유도했는데요.
무역에서만큼은 트럼프 정부처럼 반세계화 정책을 펴는 건데, 임금이 싼 국가에 생산을 맡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유 무역의 효과를 뒤로하고, 지금은 높은 무역 장벽을 쌓아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 거죠.
역시 '비용 인플레이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인플레이션에 더 취약한데요.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입 물가는 원자재에 이은 2차, 3차 제품의 생산 단가까지 올려 국내 물가를 들썩이게 만들었죠.
더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긴 터널을 언제 빠져나올 수 있을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는 건데요.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순히 금리를 조정해 해결했던 기존 방식은 통하지 않게 된 겁니다.
오미크론이라는 변수까지 생겨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국내 수출 실적이 좋은 데다 소비 심리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어 아직은 내년 세계 경제의 변화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입니다.
같이 경제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이경제] 인플레이션, 언제까지 계속될까?
-
- 입력 2021-12-09 19:19:07
- 수정2021-12-09 19:43:41
생활 속 경제 뉴스를 함께 풀어보는 시간, 같이 경제입니다.
치킨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기사를 보면 치킨 시장 선두업체가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는데 사실, 먹거리뿐만이 아니죠.
휘발유 가격, 공공 요금, 뭐 하나 안 오른 게 없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3.7% 상승했는데 정부가 1.5%에서 2% 정도를 목표치로 삼은 것을 보면 지금은 두 배 수준으로, 정부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가리켜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더 자세히 설명해 보면, 어느 날 정부가 엄청난 양의 화폐를 발행해 공급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시중에는 화폐가 넘쳐나겠죠.
화폐를 가진 사람들이 늘면서 구매력은 훨씬 높아질 텐데요.
하지만 살 수 있는 상품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웃돈을 줘가며 구매 경쟁을 할 것이고, 그 결과 제품 가격은 더 비싸지겠죠.
이 상황을 우리는 초과 수요로 물가가 올랐다.
즉, '수요 인플레이션'이 생겼다고 표현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면서 화폐가치는 낮아지고, 직장인들은 똑같은 월급을 받고도 살 수 있는 상품의 수가 줄어 실질 소득은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 현상이 됐는데요.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국은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었고,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정책으로 시중 통화량을 늘려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의 단초를 제공했죠.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됐습니다.
이번에는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동남아 반도체 공장들이 가동을 멈추고, 컨테이너 운반선은 항구에서 짐을 내리지 못해 해운 물류가 꽉 막혀버렸죠.
원자재와 부품을 제때 받지 못한 제조 공장들은 하나 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다양한 제품군에서 물건이 없어 못 파는 일이 생겨나면서 재고 상품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초과 수요가 생겨났다기보다,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늘면서 물가 상승이 일어난 겁니다.
그래서 '비용 인플레이션'인거죠.
그 밖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도 한몫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코로나로 불안해진 해외 공급망에 의존하기보다, 비교적 예측 가능한 자국 내 생산을 유도했는데요.
무역에서만큼은 트럼프 정부처럼 반세계화 정책을 펴는 건데, 임금이 싼 국가에 생산을 맡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유 무역의 효과를 뒤로하고, 지금은 높은 무역 장벽을 쌓아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 거죠.
역시 '비용 인플레이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인플레이션에 더 취약한데요.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입 물가는 원자재에 이은 2차, 3차 제품의 생산 단가까지 올려 국내 물가를 들썩이게 만들었죠.
더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긴 터널을 언제 빠져나올 수 있을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는 건데요.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순히 금리를 조정해 해결했던 기존 방식은 통하지 않게 된 겁니다.
오미크론이라는 변수까지 생겨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국내 수출 실적이 좋은 데다 소비 심리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어 아직은 내년 세계 경제의 변화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입니다.
같이 경제였습니다.
치킨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기사를 보면 치킨 시장 선두업체가 메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는데 사실, 먹거리뿐만이 아니죠.
휘발유 가격, 공공 요금, 뭐 하나 안 오른 게 없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3.7% 상승했는데 정부가 1.5%에서 2% 정도를 목표치로 삼은 것을 보면 지금은 두 배 수준으로, 정부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가리켜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요.
더 자세히 설명해 보면, 어느 날 정부가 엄청난 양의 화폐를 발행해 공급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시중에는 화폐가 넘쳐나겠죠.
화폐를 가진 사람들이 늘면서 구매력은 훨씬 높아질 텐데요.
하지만 살 수 있는 상품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웃돈을 줘가며 구매 경쟁을 할 것이고, 그 결과 제품 가격은 더 비싸지겠죠.
이 상황을 우리는 초과 수요로 물가가 올랐다.
즉, '수요 인플레이션'이 생겼다고 표현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중 통화량이 많아지면서 화폐가치는 낮아지고, 직장인들은 똑같은 월급을 받고도 살 수 있는 상품의 수가 줄어 실질 소득은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합니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 현상이 됐는데요.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각국은 엄청난 재정을 쏟아부었고,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정책으로 시중 통화량을 늘려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의 단초를 제공했죠.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됐습니다.
이번에는 '비용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동남아 반도체 공장들이 가동을 멈추고, 컨테이너 운반선은 항구에서 짐을 내리지 못해 해운 물류가 꽉 막혀버렸죠.
원자재와 부품을 제때 받지 못한 제조 공장들은 하나 둘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는데요.
다양한 제품군에서 물건이 없어 못 파는 일이 생겨나면서 재고 상품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초과 수요가 생겨났다기보다,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늘면서 물가 상승이 일어난 겁니다.
그래서 '비용 인플레이션'인거죠.
그 밖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도 한몫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코로나로 불안해진 해외 공급망에 의존하기보다, 비교적 예측 가능한 자국 내 생산을 유도했는데요.
무역에서만큼은 트럼프 정부처럼 반세계화 정책을 펴는 건데, 임금이 싼 국가에 생산을 맡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유 무역의 효과를 뒤로하고, 지금은 높은 무역 장벽을 쌓아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 거죠.
역시 '비용 인플레이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인플레이션에 더 취약한데요.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입 물가는 원자재에 이은 2차, 3차 제품의 생산 단가까지 올려 국내 물가를 들썩이게 만들었죠.
더 큰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긴 터널을 언제 빠져나올 수 있을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다는 건데요.
수요 인플레이션과 비용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단순히 금리를 조정해 해결했던 기존 방식은 통하지 않게 된 겁니다.
오미크론이라는 변수까지 생겨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국내 수출 실적이 좋은 데다 소비 심리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어 아직은 내년 세계 경제의 변화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입니다.
같이 경제였습니다.
-
-
류재현 기자 jae@kbs.co.kr
류재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