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맥]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또 해 넘기나?
입력 2021.12.27 (19:19)
수정 2021.12.27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강물 위에 알 수 없는 물질들이 둥둥 떠다닙니다.
이 물을 마신 사람들, 구토에, 피부 발진, 신경장애까지 겪었는데요.
30년 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이야깁니다.
당시 피해자만 무려 162만 명에 달했죠.
그 이후에도 대구, 경북 지역에서 난 수질 오염 사고는 무려 10차례가 넘습니다.
대부분 구미 산업단지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들이었는데요.
우리 지역 식수 대부분이 구미 산업단지 하류 31km 지점에서 취수되고 있다보니, '먹는 물'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때문에 구미 산업단지 위, 그러니까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죠.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취수장은 구미 해평취수장과 상주, 안동 취수장 등인데, 해평취수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취수량이 워낙 적습니다.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이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해평취수장을 대구에서 공동 이용하게 되면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우선 대구 지역의 하루 수돗물 이용량은 80만 톤 정도 됩니다.
이 수돗물의 70%는 낙동강 하류에서, 나머지 30%는 인근 댐에서 끌어오고 있습니다.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이곳에서 30만톤을 끌어오고, 나머지 50만톤은 현재의 문산, 매곡 취수장에서 초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하고요.
수질 오염 사고가 날 경우 전량을 해평취수장에서 가져온다는 얘깁니다.
그러면 해평취수장의 용수가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실텐데요.
현재 해평취수장의 시설 용량은 86만 톤으로, 구미뿐만 아니라 칠곡과 김천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하루 26~27만 톤 정도 됩니다.
약 30만 톤으로 잡아도 50만 톤 이상 남는 거니, 대구에서 30만 톤을 끌어가더라도, 수량 공급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환경부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정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6월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
취수원 이전 논의가 10년 넘게 답보 상태에 머물다 드디어 물꼬를 튼 건데요.
이제 남은 과제는 구미 시민들의 절차적 동의를 얻어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협정서를 체결하는건데, 여전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구미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은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으로 수자원 이용에 피해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낙동강 수질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정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으로 구미 시민의 피해는 없다는 대원칙을 제시한 바 있죠.
물이 부족하면 해평취수장 이용을 중단하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와 재산권 침해도 없다고 명문화했습니다.
여기에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백억 원, 환경부가 낙동강수계기금으로 백억 원을 매년 지원하고, KTX 구미역 신설 등 지역 숙원 사업 해결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안전한 먹는 물 확보, 우리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 중 하나지만, 수십년 간 이루지 못한 일이기도 합니다.
내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먹는 물 문제가 자칫 지역 갈등이나 정치 수단으로 이용돼서는 안되겠죠.
지금까지 쇼맥뉴스 정혜미입니다.
그래픽:손민정
강물 위에 알 수 없는 물질들이 둥둥 떠다닙니다.
이 물을 마신 사람들, 구토에, 피부 발진, 신경장애까지 겪었는데요.
30년 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이야깁니다.
당시 피해자만 무려 162만 명에 달했죠.
그 이후에도 대구, 경북 지역에서 난 수질 오염 사고는 무려 10차례가 넘습니다.
대부분 구미 산업단지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들이었는데요.
우리 지역 식수 대부분이 구미 산업단지 하류 31km 지점에서 취수되고 있다보니, '먹는 물'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때문에 구미 산업단지 위, 그러니까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죠.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취수장은 구미 해평취수장과 상주, 안동 취수장 등인데, 해평취수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취수량이 워낙 적습니다.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이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해평취수장을 대구에서 공동 이용하게 되면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우선 대구 지역의 하루 수돗물 이용량은 80만 톤 정도 됩니다.
이 수돗물의 70%는 낙동강 하류에서, 나머지 30%는 인근 댐에서 끌어오고 있습니다.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이곳에서 30만톤을 끌어오고, 나머지 50만톤은 현재의 문산, 매곡 취수장에서 초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하고요.
수질 오염 사고가 날 경우 전량을 해평취수장에서 가져온다는 얘깁니다.
그러면 해평취수장의 용수가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실텐데요.
현재 해평취수장의 시설 용량은 86만 톤으로, 구미뿐만 아니라 칠곡과 김천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하루 26~27만 톤 정도 됩니다.
약 30만 톤으로 잡아도 50만 톤 이상 남는 거니, 대구에서 30만 톤을 끌어가더라도, 수량 공급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환경부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정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6월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
취수원 이전 논의가 10년 넘게 답보 상태에 머물다 드디어 물꼬를 튼 건데요.
이제 남은 과제는 구미 시민들의 절차적 동의를 얻어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협정서를 체결하는건데, 여전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구미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은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으로 수자원 이용에 피해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낙동강 수질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정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으로 구미 시민의 피해는 없다는 대원칙을 제시한 바 있죠.
물이 부족하면 해평취수장 이용을 중단하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와 재산권 침해도 없다고 명문화했습니다.
여기에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백억 원, 환경부가 낙동강수계기금으로 백억 원을 매년 지원하고, KTX 구미역 신설 등 지역 숙원 사업 해결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안전한 먹는 물 확보, 우리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 중 하나지만, 수십년 간 이루지 못한 일이기도 합니다.
내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먹는 물 문제가 자칫 지역 갈등이나 정치 수단으로 이용돼서는 안되겠죠.
지금까지 쇼맥뉴스 정혜미입니다.
그래픽:손민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쇼맥]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또 해 넘기나?
-
- 입력 2021-12-27 19:19:55
- 수정2021-12-27 20:00:35
뉴스의 흐름, 사안의 맥을 짚어보는 쇼맥뉴스 시간입니다.
강물 위에 알 수 없는 물질들이 둥둥 떠다닙니다.
이 물을 마신 사람들, 구토에, 피부 발진, 신경장애까지 겪었는데요.
30년 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이야깁니다.
당시 피해자만 무려 162만 명에 달했죠.
그 이후에도 대구, 경북 지역에서 난 수질 오염 사고는 무려 10차례가 넘습니다.
대부분 구미 산업단지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들이었는데요.
우리 지역 식수 대부분이 구미 산업단지 하류 31km 지점에서 취수되고 있다보니, '먹는 물'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때문에 구미 산업단지 위, 그러니까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죠.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취수장은 구미 해평취수장과 상주, 안동 취수장 등인데, 해평취수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취수량이 워낙 적습니다.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이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해평취수장을 대구에서 공동 이용하게 되면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우선 대구 지역의 하루 수돗물 이용량은 80만 톤 정도 됩니다.
이 수돗물의 70%는 낙동강 하류에서, 나머지 30%는 인근 댐에서 끌어오고 있습니다.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이곳에서 30만톤을 끌어오고, 나머지 50만톤은 현재의 문산, 매곡 취수장에서 초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하고요.
수질 오염 사고가 날 경우 전량을 해평취수장에서 가져온다는 얘깁니다.
그러면 해평취수장의 용수가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실텐데요.
현재 해평취수장의 시설 용량은 86만 톤으로, 구미뿐만 아니라 칠곡과 김천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하루 26~27만 톤 정도 됩니다.
약 30만 톤으로 잡아도 50만 톤 이상 남는 거니, 대구에서 30만 톤을 끌어가더라도, 수량 공급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환경부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정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6월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
취수원 이전 논의가 10년 넘게 답보 상태에 머물다 드디어 물꼬를 튼 건데요.
이제 남은 과제는 구미 시민들의 절차적 동의를 얻어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협정서를 체결하는건데, 여전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구미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은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으로 수자원 이용에 피해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낙동강 수질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정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으로 구미 시민의 피해는 없다는 대원칙을 제시한 바 있죠.
물이 부족하면 해평취수장 이용을 중단하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와 재산권 침해도 없다고 명문화했습니다.
여기에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백억 원, 환경부가 낙동강수계기금으로 백억 원을 매년 지원하고, KTX 구미역 신설 등 지역 숙원 사업 해결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안전한 먹는 물 확보, 우리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 중 하나지만, 수십년 간 이루지 못한 일이기도 합니다.
내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먹는 물 문제가 자칫 지역 갈등이나 정치 수단으로 이용돼서는 안되겠죠.
지금까지 쇼맥뉴스 정혜미입니다.
그래픽:손민정
강물 위에 알 수 없는 물질들이 둥둥 떠다닙니다.
이 물을 마신 사람들, 구토에, 피부 발진, 신경장애까지 겪었는데요.
30년 전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이야깁니다.
당시 피해자만 무려 162만 명에 달했죠.
그 이후에도 대구, 경북 지역에서 난 수질 오염 사고는 무려 10차례가 넘습니다.
대부분 구미 산업단지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들이었는데요.
우리 지역 식수 대부분이 구미 산업단지 하류 31km 지점에서 취수되고 있다보니, '먹는 물'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때문에 구미 산업단지 위, 그러니까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죠.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취수장은 구미 해평취수장과 상주, 안동 취수장 등인데, 해평취수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취수량이 워낙 적습니다.
'취수원 다변화' 방안으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이 유일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해평취수장을 대구에서 공동 이용하게 되면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우선 대구 지역의 하루 수돗물 이용량은 80만 톤 정도 됩니다.
이 수돗물의 70%는 낙동강 하류에서, 나머지 30%는 인근 댐에서 끌어오고 있습니다.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게 되면 평상시에는 이곳에서 30만톤을 끌어오고, 나머지 50만톤은 현재의 문산, 매곡 취수장에서 초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하고요.
수질 오염 사고가 날 경우 전량을 해평취수장에서 가져온다는 얘깁니다.
그러면 해평취수장의 용수가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실텐데요.
현재 해평취수장의 시설 용량은 86만 톤으로, 구미뿐만 아니라 칠곡과 김천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데, 하루 26~27만 톤 정도 됩니다.
약 30만 톤으로 잡아도 50만 톤 이상 남는 거니, 대구에서 30만 톤을 끌어가더라도, 수량 공급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환경부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정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 6월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의결했습니다.
취수원 이전 논의가 10년 넘게 답보 상태에 머물다 드디어 물꼬를 튼 건데요.
이제 남은 과제는 구미 시민들의 절차적 동의를 얻어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협정서를 체결하는건데, 여전히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구미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은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으로 수자원 이용에 피해가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데요.
게다가 낙동강 수질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정부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으로 구미 시민의 피해는 없다는 대원칙을 제시한 바 있죠.
물이 부족하면 해평취수장 이용을 중단하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와 재산권 침해도 없다고 명문화했습니다.
여기에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백억 원, 환경부가 낙동강수계기금으로 백억 원을 매년 지원하고, KTX 구미역 신설 등 지역 숙원 사업 해결에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안전한 먹는 물 확보, 우리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권리 중 하나지만, 수십년 간 이루지 못한 일이기도 합니다.
내년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앞두고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먹는 물 문제가 자칫 지역 갈등이나 정치 수단으로 이용돼서는 안되겠죠.
지금까지 쇼맥뉴스 정혜미입니다.
그래픽:손민정
-
-
정혜미 기자 with@kbs.co.kr
정혜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