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하루평균 확진자 40만 육박…‘격리 해제 전 음성 확인’ 추가 검토

입력 2022.01.03 (06:05) 수정 2022.01.03 (07: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은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가 4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오미크론 폭증세가 거센데요.

최근 확진자 격리 기간을 5일로 단축한 것과 관련해 논란이 일자, 격리 해제 전에 '음성 확인' 요건을 추가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백악관측이 밝혔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의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이제 40만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 최고치의 두 배 가까운 수준입니다.

감염자 폭증으로 당장 미국에서 불거진 문제는 일할 사람이 부족해진 겁니다.

미국 ABC 방송은 '비즈니스인사이더'를 인용해 오미크론 급증으로 응급 의료 종사자의 30%와 소방관의 17%가 병가를 냈다고 보도했습니다.

[제시 코너/미국 샌디에이고 145소방대 소장 : "말 그대로 소방관이 부족해 운영중인 응급 시스템에 제대로 투입을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아직까지는 오미크론 감염 증세가 비교적 경미한데다 기업들도 아우성을 치자,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는 무증상자의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5일로 단축했는데, 또 다른 논란이 일었습니다.

CDC가 격리기간을 절반으로 줄이면서 '격리 해제 전 검사 의무화'는 지침에 포함하지 않아섭니다.

논란이 가열되자,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의료고문이 지침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앤서니 파우치/미국 백악관 수석의료고문 : "왜 (격리 해제 전에) 코로나19 검사를 요구하지 않는지에 대해 수많은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면서 CDC도 격리기간 단축 지침과 관련한 여러 논란을 알고 있다면서, CDC 가 곧 새 지침을 내놓을 거라고 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정재숙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하루평균 확진자 40만 육박…‘격리 해제 전 음성 확인’ 추가 검토
    • 입력 2022-01-03 06:05:06
    • 수정2022-01-03 07:22:06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은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가 4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 오미크론 폭증세가 거센데요.

최근 확진자 격리 기간을 5일로 단축한 것과 관련해 논란이 일자, 격리 해제 전에 '음성 확인' 요건을 추가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백악관측이 밝혔습니다.

뉴욕 한보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의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이제 40만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 최고치의 두 배 가까운 수준입니다.

감염자 폭증으로 당장 미국에서 불거진 문제는 일할 사람이 부족해진 겁니다.

미국 ABC 방송은 '비즈니스인사이더'를 인용해 오미크론 급증으로 응급 의료 종사자의 30%와 소방관의 17%가 병가를 냈다고 보도했습니다.

[제시 코너/미국 샌디에이고 145소방대 소장 : "말 그대로 소방관이 부족해 운영중인 응급 시스템에 제대로 투입을 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아직까지는 오미크론 감염 증세가 비교적 경미한데다 기업들도 아우성을 치자,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는 무증상자의 격리 기간을 10일에서 5일로 단축했는데, 또 다른 논란이 일었습니다.

CDC가 격리기간을 절반으로 줄이면서 '격리 해제 전 검사 의무화'는 지침에 포함하지 않아섭니다.

논란이 가열되자,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의료고문이 지침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앤서니 파우치/미국 백악관 수석의료고문 : "왜 (격리 해제 전에) 코로나19 검사를 요구하지 않는지에 대해 수많은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그러면서 CDC도 격리기간 단축 지침과 관련한 여러 논란을 알고 있다면서, CDC 가 곧 새 지침을 내놓을 거라고 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영상편집:정재숙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