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분석] 오차범위 내 역전…대전·세종·충남 여론조사 의미는?

입력 2022.01.03 (19:11) 수정 2022.01.03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어서 보도국 정치팀장과 함께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이번 여론조사에 앞서 지난 1월 1일, 많은 언론사가 전국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이재명 후보가 10%p 정도 격차를 벌리며 윤석열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우리 조사에서 충청 민심은 오차범위 안에서 두 후보가 엇비슷하게 나왔네요.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네, 지난 1일, KBS 본사에서 전국 천 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했는데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12%p 정도 앞서며, 격차가 두 자릿수로 벌어지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불과 열흘 전인 12월 20일 시행한 조사만 해도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였는데, 그 사이 이 후보는 5%p 정도 오르고, 윤 후보는 7%p 정도 떨어지면서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역별로 봐도 충청과 영남을 제외한 전국에서 이재명 후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직전 조사에서 윤 후보가 우세하거나 오차범위에서 접전을 벌였던 서울과 경기, 강원, 제주 등에서 이 후보가 역전을 하면서 지지율 격차를 벌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렇게 다른 지역이 격차를 벌리는 동안 유독 충청지역에서는 두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본사와 같은 기간, 대전방송총국이 별도로 표본을 대전·세종·충남인 2천4백 명으로 늘려 여론조사를 했는데 여기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앵커]

사실, 본사 여론조사에서는 충청권은 표본이 백 명 정도에 불과해 세세한 흐름을 살피긴 어려웠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충청인의 세대별, 지역별 표심을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겠군요.

[기자]

네, KBS 대전총국이 의뢰한 이번 조사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35.8%,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33%로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였습니다.

전국 격차는 벌어졌어도 충청 민심은 아직 두 후보에게 비슷한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해 11월, KBS 대전총국이 실시한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이 후보는 1.8%p 올라 상승세를, 윤 후보는 3%p 떨어져 하락세를 그리며 이번 조사에서 두 후보간에 역전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좀더 자세히 지역별로 보면, 대전에서는 이 후보 35%대, 윤 후보 31%대로 불과 4%p 차이로 이 후보가 앞섰고, 충남에서는 두 후보 지지도가 35%로 같았습니다.

세종에서는 이 후보 40%대, 윤 후보 27%대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지만 세종시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보니 인구 비례를 적용한 재분석 결과에서는 크게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세대별로 보면, 지난해 11월 조사에서 윤 후보가 20대와 60대 이상에서 앞섰는데 이번 조사에서 20대 지지율이 22%에서 11%로 반 토막 나며 이 후보 우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지만 그 외 연령대에서는 이 후보가 소폭 상승, 윤 후보가 소폭 하락하면서 결과적으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윤 후보에게서 이탈한 20대 표심이 어디로 갔는지 살폈더니 같은 기간, 이재명 후보는 2%p 오르는 데 그쳤지만,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5%p 정도 오르면서 안 후보의 지지도가 직전 조사 3.9%에서 5.5%로 끌어올리는 데 청년 층이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최근, 이재명, 윤석열 후보 모두 이른바 '가족 리스크'로 곤욕을 치렀잖아요.

이 부분이 지지율 변동에 영향을 준 걸까요?

[기자]

네, KBS 대전총국의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해 말 마지막 주에 했는데요.

당시, 정치권에서 정말 많은 이슈가 쏟아졌었습니다.

그래서 두 후보 모두에게 적용되는 '가족 리스크'로 한정해 유권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는데요.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과 미치지 않을 것이란 응답이 49%대 48%로 사실상 반반으로 나왔습니다.

20, 30대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60%를 넘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요.

이 후보 지지층은 51%, 윤 후보 지지층은 26%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해 지지층에 따라 가족 논란을 보는 시각 차도 드러났습니다.

한 가지 특이한 건, 지난해 11월 KBS 대전총국 조사에서는 가족 논란이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이 56%에 달했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49%로 오히려 떨어졌다는 점입니다.

그 한 달 사이 가족 관련 이슈가 정말 많이 쏟아졌잖아요.

하지만 동시에 선거가 점점 임박하면서 이미 마음을 정한 충청권 유권자에게는 가족 논란이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이렇게 분석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대선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를 추려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에 가려져 관심도가 많이 떨어지지만, 올해 6월 예정된 지방선거 관련한 여론조사도 함께 진행했거든요.

차기 시도지사 후보군을 바라보는 충청 민심은 내일 정리해 전해드리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분석] 오차범위 내 역전…대전·세종·충남 여론조사 의미는?
    • 입력 2022-01-03 19:11:58
    • 수정2022-01-03 20:04:15
    뉴스7(대전)
[앵커]

이어서 보도국 정치팀장과 함께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이번 여론조사에 앞서 지난 1월 1일, 많은 언론사가 전국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이재명 후보가 10%p 정도 격차를 벌리며 윤석열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우리 조사에서 충청 민심은 오차범위 안에서 두 후보가 엇비슷하게 나왔네요.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네, 지난 1일, KBS 본사에서 전국 천 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했는데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12%p 정도 앞서며, 격차가 두 자릿수로 벌어지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불과 열흘 전인 12월 20일 시행한 조사만 해도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였는데, 그 사이 이 후보는 5%p 정도 오르고, 윤 후보는 7%p 정도 떨어지면서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역별로 봐도 충청과 영남을 제외한 전국에서 이재명 후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직전 조사에서 윤 후보가 우세하거나 오차범위에서 접전을 벌였던 서울과 경기, 강원, 제주 등에서 이 후보가 역전을 하면서 지지율 격차를 벌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렇게 다른 지역이 격차를 벌리는 동안 유독 충청지역에서는 두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본사와 같은 기간, 대전방송총국이 별도로 표본을 대전·세종·충남인 2천4백 명으로 늘려 여론조사를 했는데 여기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앵커]

사실, 본사 여론조사에서는 충청권은 표본이 백 명 정도에 불과해 세세한 흐름을 살피긴 어려웠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충청인의 세대별, 지역별 표심을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겠군요.

[기자]

네, KBS 대전총국이 의뢰한 이번 조사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35.8%,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33%로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였습니다.

전국 격차는 벌어졌어도 충청 민심은 아직 두 후보에게 비슷한 지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해 11월, KBS 대전총국이 실시한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이 후보는 1.8%p 올라 상승세를, 윤 후보는 3%p 떨어져 하락세를 그리며 이번 조사에서 두 후보간에 역전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좀더 자세히 지역별로 보면, 대전에서는 이 후보 35%대, 윤 후보 31%대로 불과 4%p 차이로 이 후보가 앞섰고, 충남에서는 두 후보 지지도가 35%로 같았습니다.

세종에서는 이 후보 40%대, 윤 후보 27%대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지만 세종시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보니 인구 비례를 적용한 재분석 결과에서는 크게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세대별로 보면, 지난해 11월 조사에서 윤 후보가 20대와 60대 이상에서 앞섰는데 이번 조사에서 20대 지지율이 22%에서 11%로 반 토막 나며 이 후보 우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지만 그 외 연령대에서는 이 후보가 소폭 상승, 윤 후보가 소폭 하락하면서 결과적으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윤 후보에게서 이탈한 20대 표심이 어디로 갔는지 살폈더니 같은 기간, 이재명 후보는 2%p 오르는 데 그쳤지만,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5%p 정도 오르면서 안 후보의 지지도가 직전 조사 3.9%에서 5.5%로 끌어올리는 데 청년 층이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최근, 이재명, 윤석열 후보 모두 이른바 '가족 리스크'로 곤욕을 치렀잖아요.

이 부분이 지지율 변동에 영향을 준 걸까요?

[기자]

네, KBS 대전총국의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해 말 마지막 주에 했는데요.

당시, 정치권에서 정말 많은 이슈가 쏟아졌었습니다.

그래서 두 후보 모두에게 적용되는 '가족 리스크'로 한정해 유권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봤는데요.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과 미치지 않을 것이란 응답이 49%대 48%로 사실상 반반으로 나왔습니다.

20, 30대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60%를 넘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요.

이 후보 지지층은 51%, 윤 후보 지지층은 26%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해 지지층에 따라 가족 논란을 보는 시각 차도 드러났습니다.

한 가지 특이한 건, 지난해 11월 KBS 대전총국 조사에서는 가족 논란이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이 56%에 달했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49%로 오히려 떨어졌다는 점입니다.

그 한 달 사이 가족 관련 이슈가 정말 많이 쏟아졌잖아요.

하지만 동시에 선거가 점점 임박하면서 이미 마음을 정한 충청권 유권자에게는 가족 논란이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이렇게 분석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대선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를 추려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에 가려져 관심도가 많이 떨어지지만, 올해 6월 예정된 지방선거 관련한 여론조사도 함께 진행했거든요.

차기 시도지사 후보군을 바라보는 충청 민심은 내일 정리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