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이틀 연속 700명대…신규확진, 닷새째 3천명 대
입력 2022.01.11 (14:03)
수정 2022.01.11 (14: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확산세, 위중증 환자 규모, 어느 정도 잡혀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방역 성패, 앞으로 오미크로 확산을 어떻게 막아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먼저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오늘 나온 현황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박영민 기자, 먼저 오늘 신규 확진자 현황부터 볼까요?
[기자]
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97명입니다.
닷새 연속 3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해외유입, 284명입니다.
역대 두번째로 많은 수치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780명으로, 이틀째 7백 명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망자는 하루 동안 43명 늘어서 치명률, 0.9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규확진자나 위중증 환자 모두 감소세가 뚜렷한데요.
실제로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보면 전국과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매우 높음 수준을 유지하다가, '중간'으로 떨어졌습니다.
비수도권도 한 달 사이 매우 높음에서 낮음 수준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국내 발생도 지난달보다는 줄었는데요.
지역별로 보면 서울 670명, 경기 1,055명 인천이 140명으로 전체의 66.3%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에서만 3천 명대 확진자가 나오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확연합니다.
비수도권에선 광주가 175명, 부산이 108명으로 세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앵커]
어제 방역당국이 오미크론 변이가 한, 두 달 안에 국내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확산세는 꺾였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거죠?
[기자]
네, 오미크론 심상치 않습니다.
방역 당국이 지난주 신규 확진자 가운데 표본을 추출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인데요.
국내에선 12월 셋째 주엔 1.7%였는데, 지난주에는 12.5%까지 올라왔습니다.
특히 지난 한 주 해외 유입 사례만 놓고 보면 10명 가운데 9명이 오미크론 확진자입니다.
정부는 이달 안에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거로 보고 있는데, 특히 다가오는 설 연휴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렇게 고령층 접종률이 올라가고, 전체 확진자 규모도 줄면서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44.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황이 안 좋았던 수도권 중환자 병상은 가동률은 서울 51.5% 인천 39.0% 경기 46.1%로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집계된 백신 접종 현황입니다.
3차 추가 접종의 경우 어제 하루 44만 명 가까이 접종해서 인구 대비 접종률은 41.8%까지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재난 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래픽:이주혁/진행:박경민
코로나19 확산세, 위중증 환자 규모, 어느 정도 잡혀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방역 성패, 앞으로 오미크로 확산을 어떻게 막아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먼저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오늘 나온 현황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박영민 기자, 먼저 오늘 신규 확진자 현황부터 볼까요?
[기자]
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97명입니다.
닷새 연속 3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해외유입, 284명입니다.
역대 두번째로 많은 수치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780명으로, 이틀째 7백 명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망자는 하루 동안 43명 늘어서 치명률, 0.9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규확진자나 위중증 환자 모두 감소세가 뚜렷한데요.
실제로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보면 전국과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매우 높음 수준을 유지하다가, '중간'으로 떨어졌습니다.
비수도권도 한 달 사이 매우 높음에서 낮음 수준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국내 발생도 지난달보다는 줄었는데요.
지역별로 보면 서울 670명, 경기 1,055명 인천이 140명으로 전체의 66.3%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에서만 3천 명대 확진자가 나오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확연합니다.
비수도권에선 광주가 175명, 부산이 108명으로 세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앵커]
어제 방역당국이 오미크론 변이가 한, 두 달 안에 국내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확산세는 꺾였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거죠?
[기자]
네, 오미크론 심상치 않습니다.
방역 당국이 지난주 신규 확진자 가운데 표본을 추출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인데요.
국내에선 12월 셋째 주엔 1.7%였는데, 지난주에는 12.5%까지 올라왔습니다.
특히 지난 한 주 해외 유입 사례만 놓고 보면 10명 가운데 9명이 오미크론 확진자입니다.
정부는 이달 안에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거로 보고 있는데, 특히 다가오는 설 연휴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렇게 고령층 접종률이 올라가고, 전체 확진자 규모도 줄면서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44.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황이 안 좋았던 수도권 중환자 병상은 가동률은 서울 51.5% 인천 39.0% 경기 46.1%로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집계된 백신 접종 현황입니다.
3차 추가 접종의 경우 어제 하루 44만 명 가까이 접종해서 인구 대비 접종률은 41.8%까지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재난 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래픽:이주혁/진행:박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중증 이틀 연속 700명대…신규확진, 닷새째 3천명 대
-
- 입력 2022-01-11 14:03:22
- 수정2022-01-11 14:17:43
[앵커]
코로나19 확산세, 위중증 환자 규모, 어느 정도 잡혀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방역 성패, 앞으로 오미크로 확산을 어떻게 막아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먼저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오늘 나온 현황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박영민 기자, 먼저 오늘 신규 확진자 현황부터 볼까요?
[기자]
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97명입니다.
닷새 연속 3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해외유입, 284명입니다.
역대 두번째로 많은 수치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780명으로, 이틀째 7백 명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망자는 하루 동안 43명 늘어서 치명률, 0.9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규확진자나 위중증 환자 모두 감소세가 뚜렷한데요.
실제로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보면 전국과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매우 높음 수준을 유지하다가, '중간'으로 떨어졌습니다.
비수도권도 한 달 사이 매우 높음에서 낮음 수준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국내 발생도 지난달보다는 줄었는데요.
지역별로 보면 서울 670명, 경기 1,055명 인천이 140명으로 전체의 66.3%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에서만 3천 명대 확진자가 나오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확연합니다.
비수도권에선 광주가 175명, 부산이 108명으로 세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앵커]
어제 방역당국이 오미크론 변이가 한, 두 달 안에 국내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확산세는 꺾였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거죠?
[기자]
네, 오미크론 심상치 않습니다.
방역 당국이 지난주 신규 확진자 가운데 표본을 추출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인데요.
국내에선 12월 셋째 주엔 1.7%였는데, 지난주에는 12.5%까지 올라왔습니다.
특히 지난 한 주 해외 유입 사례만 놓고 보면 10명 가운데 9명이 오미크론 확진자입니다.
정부는 이달 안에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거로 보고 있는데, 특히 다가오는 설 연휴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렇게 고령층 접종률이 올라가고, 전체 확진자 규모도 줄면서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44.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황이 안 좋았던 수도권 중환자 병상은 가동률은 서울 51.5% 인천 39.0% 경기 46.1%로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집계된 백신 접종 현황입니다.
3차 추가 접종의 경우 어제 하루 44만 명 가까이 접종해서 인구 대비 접종률은 41.8%까지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재난 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래픽:이주혁/진행:박경민
코로나19 확산세, 위중증 환자 규모, 어느 정도 잡혀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방역 성패, 앞으로 오미크로 확산을 어떻게 막아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먼저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 오늘 나온 현황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
박영민 기자, 먼저 오늘 신규 확진자 현황부터 볼까요?
[기자]
네,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97명입니다.
닷새 연속 3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해외유입, 284명입니다.
역대 두번째로 많은 수치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780명으로, 이틀째 7백 명 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망자는 하루 동안 43명 늘어서 치명률, 0.9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규확진자나 위중증 환자 모두 감소세가 뚜렷한데요.
실제로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보면 전국과 수도권은 지난해 11월 마지막 주부터 6주 연속 매우 높음 수준을 유지하다가, '중간'으로 떨어졌습니다.
비수도권도 한 달 사이 매우 높음에서 낮음 수준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국내 발생도 지난달보다는 줄었는데요.
지역별로 보면 서울 670명, 경기 1,055명 인천이 140명으로 전체의 66.3%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에서만 3천 명대 확진자가 나오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세가 확연합니다.
비수도권에선 광주가 175명, 부산이 108명으로 세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앵커]
어제 방역당국이 오미크론 변이가 한, 두 달 안에 국내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확산세는 꺾였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거죠?
[기자]
네, 오미크론 심상치 않습니다.
방역 당국이 지난주 신규 확진자 가운데 표본을 추출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인데요.
국내에선 12월 셋째 주엔 1.7%였는데, 지난주에는 12.5%까지 올라왔습니다.
특히 지난 한 주 해외 유입 사례만 놓고 보면 10명 가운데 9명이 오미크론 확진자입니다.
정부는 이달 안에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거로 보고 있는데, 특히 다가오는 설 연휴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렇게 고령층 접종률이 올라가고, 전체 확진자 규모도 줄면서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44.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황이 안 좋았던 수도권 중환자 병상은 가동률은 서울 51.5% 인천 39.0% 경기 46.1%로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 집계된 백신 접종 현황입니다.
3차 추가 접종의 경우 어제 하루 44만 명 가까이 접종해서 인구 대비 접종률은 41.8%까지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재난 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그래픽:이주혁/진행:박경민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