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상계획구역 도심까지 확대…부산시민 230만 명 포함

입력 2022.01.11 (19:08) 수정 2022.01.11 (2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어느 지역까지 주민을 대피시켜야 할까요?

이 범위를 정한 게 바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입니다.

이 구역이 고리원전 반경 30km로 확대됐는데요,

구역 확대 논의를 촉발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지 꼬박 10년 만입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일본 정부는 원전 반경 30km 안에 있는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습니다.

이를 계기로 우리 정부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확대하는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구역을 2단계로 나누고, 범위를 최대 30km까지 설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전에서 방사선 누출 사고가 났을 때 피해 거리를 예측해 미리 주민 보호 대책을 마련하는 곳을 말합니다.

인근 울산 등과 달리 부산시는 그동안 20~21km 범위를 고수해왔습니다.

하지만 설문조사에서 부산 시민 80% 이상이 구역 확대에 찬성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28일 부산시가 낸 28~30km 확대안을 승인했습니다.

기존 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에다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 전 지역과 남구, 부산진구, 동구, 북구 일부 지역이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됐습니다.

구역 안에 포함된 인구도 230만여 명으로 5배 넘게 늘었는데, 부산 인구의 70% 수준입니다.

[김갑용/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물자라든지 그 다음에 소요 인력, 또 거기에 드는 예산, 또 훈련도 해야 하고, 비상시 행동 매뉴얼도 만들어야 하죠. 그 다음에 방재 계획도 따로 수립을 해야 합니다."]

전 세계에서 원전 주변 인구 밀집도가 가장 높은 부산.

최우선 과제는 많은 인원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보호할 체계를 마련하는 일입니다.

[정수희/탈핵부산운동본부 활동가 : "조금 더 긴장감을 가지고 이 계획이 좀 빨리 다듬어지고 적용이 돼서 시민들이 좀 체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최대한 좀 빨리 마련을 해야겠죠."]

부산시는 정부에도 예산 등 각종 지원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도심까지 확대…부산시민 230만 명 포함
    • 입력 2022-01-11 19:08:48
    • 수정2022-01-11 20:02:13
    뉴스7(부산)
[앵커]

원전 사고가 났을 때 어느 지역까지 주민을 대피시켜야 할까요?

이 범위를 정한 게 바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입니다.

이 구역이 고리원전 반경 30km로 확대됐는데요,

구역 확대 논의를 촉발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지 꼬박 10년 만입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일본 정부는 원전 반경 30km 안에 있는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습니다.

이를 계기로 우리 정부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확대하는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구역을 2단계로 나누고, 범위를 최대 30km까지 설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전에서 방사선 누출 사고가 났을 때 피해 거리를 예측해 미리 주민 보호 대책을 마련하는 곳을 말합니다.

인근 울산 등과 달리 부산시는 그동안 20~21km 범위를 고수해왔습니다.

하지만 설문조사에서 부산 시민 80% 이상이 구역 확대에 찬성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28일 부산시가 낸 28~30km 확대안을 승인했습니다.

기존 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에다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 전 지역과 남구, 부산진구, 동구, 북구 일부 지역이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됐습니다.

구역 안에 포함된 인구도 230만여 명으로 5배 넘게 늘었는데, 부산 인구의 70% 수준입니다.

[김갑용/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물자라든지 그 다음에 소요 인력, 또 거기에 드는 예산, 또 훈련도 해야 하고, 비상시 행동 매뉴얼도 만들어야 하죠. 그 다음에 방재 계획도 따로 수립을 해야 합니다."]

전 세계에서 원전 주변 인구 밀집도가 가장 높은 부산.

최우선 과제는 많은 인원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보호할 체계를 마련하는 일입니다.

[정수희/탈핵부산운동본부 활동가 : "조금 더 긴장감을 가지고 이 계획이 좀 빨리 다듬어지고 적용이 돼서 시민들이 좀 체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최대한 좀 빨리 마련을 해야겠죠."]

부산시는 정부에도 예산 등 각종 지원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