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휠체어 몰고 보건소로”…코로나 검사도 어려운 중증장애인들
입력 2022.01.19 (21:48)
수정 2022.01.19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에겐 코로나 검사의 문턱마저도 높습니다.
장애인 콜택시같은 이동 수단마저 감염 우려로 거부당하면서 선별진료소 가기조차 쉽지 않다고 합니다.
양창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박대왕 씨.
최근 복지 시설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장애인 콜택시를 불러 보건소로 가야 하지만 차량 매개로 감염될 수 있다며 태울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하는 수 없이 박 씨는 찬바람을 맞으며 전동휠체어를 몰고 보건소를 오가야 했습니다.
왕복 1시간 반이 걸렸습니다.
[박대왕/중증 장애인 : "(가면서) 넘어질 뻔했고, 안 그래도 몸이 불편한데 코로나 검사까지 받으려니까, 콜택시도 배차도 안 시켜주고..."]
확진자와 접촉한 최송아 씨 역시 장애인 콜택시 요청을 거절당했습니다.
[최송아/중증 장애인 : "(보건소) 앞에까지 가려고 하는데 (장애인 콜택시가) 못 간대요. (심정이 어떠셨어요?) 힘들었어요. 힘들었어요."]
복지부의 장애인 지원 매뉴얼엔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을 우선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김유진/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 : "(매뉴얼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을 했었지만 만들어지지 못한 채, 아니면 어영부영 형태만 갖춘 채 2~3년이 지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싶어도 쉽지 않은 장애인들.
장애인 콜택시의 선별진료소 운행 제한은 엄연한 차별 행위라며 결국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냈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에겐 코로나 검사의 문턱마저도 높습니다.
장애인 콜택시같은 이동 수단마저 감염 우려로 거부당하면서 선별진료소 가기조차 쉽지 않다고 합니다.
양창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박대왕 씨.
최근 복지 시설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장애인 콜택시를 불러 보건소로 가야 하지만 차량 매개로 감염될 수 있다며 태울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하는 수 없이 박 씨는 찬바람을 맞으며 전동휠체어를 몰고 보건소를 오가야 했습니다.
왕복 1시간 반이 걸렸습니다.
[박대왕/중증 장애인 : "(가면서) 넘어질 뻔했고, 안 그래도 몸이 불편한데 코로나 검사까지 받으려니까, 콜택시도 배차도 안 시켜주고..."]
확진자와 접촉한 최송아 씨 역시 장애인 콜택시 요청을 거절당했습니다.
[최송아/중증 장애인 : "(보건소) 앞에까지 가려고 하는데 (장애인 콜택시가) 못 간대요. (심정이 어떠셨어요?) 힘들었어요. 힘들었어요."]
복지부의 장애인 지원 매뉴얼엔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을 우선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김유진/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 : "(매뉴얼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을 했었지만 만들어지지 못한 채, 아니면 어영부영 형태만 갖춘 채 2~3년이 지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싶어도 쉽지 않은 장애인들.
장애인 콜택시의 선별진료소 운행 제한은 엄연한 차별 행위라며 결국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냈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동휠체어 몰고 보건소로”…코로나 검사도 어려운 중증장애인들
-
- 입력 2022-01-19 21:48:09
- 수정2022-01-19 22:07:27

[앵커]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에겐 코로나 검사의 문턱마저도 높습니다.
장애인 콜택시같은 이동 수단마저 감염 우려로 거부당하면서 선별진료소 가기조차 쉽지 않다고 합니다.
양창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박대왕 씨.
최근 복지 시설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장애인 콜택시를 불러 보건소로 가야 하지만 차량 매개로 감염될 수 있다며 태울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하는 수 없이 박 씨는 찬바람을 맞으며 전동휠체어를 몰고 보건소를 오가야 했습니다.
왕복 1시간 반이 걸렸습니다.
[박대왕/중증 장애인 : "(가면서) 넘어질 뻔했고, 안 그래도 몸이 불편한데 코로나 검사까지 받으려니까, 콜택시도 배차도 안 시켜주고..."]
확진자와 접촉한 최송아 씨 역시 장애인 콜택시 요청을 거절당했습니다.
[최송아/중증 장애인 : "(보건소) 앞에까지 가려고 하는데 (장애인 콜택시가) 못 간대요. (심정이 어떠셨어요?) 힘들었어요. 힘들었어요."]
복지부의 장애인 지원 매뉴얼엔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을 우선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김유진/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 : "(매뉴얼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을 했었지만 만들어지지 못한 채, 아니면 어영부영 형태만 갖춘 채 2~3년이 지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싶어도 쉽지 않은 장애인들.
장애인 콜택시의 선별진료소 운행 제한은 엄연한 차별 행위라며 결국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냈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에겐 코로나 검사의 문턱마저도 높습니다.
장애인 콜택시같은 이동 수단마저 감염 우려로 거부당하면서 선별진료소 가기조차 쉽지 않다고 합니다.
양창희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박대왕 씨.
최근 복지 시설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했습니다.
장애인 콜택시를 불러 보건소로 가야 하지만 차량 매개로 감염될 수 있다며 태울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하는 수 없이 박 씨는 찬바람을 맞으며 전동휠체어를 몰고 보건소를 오가야 했습니다.
왕복 1시간 반이 걸렸습니다.
[박대왕/중증 장애인 : "(가면서) 넘어질 뻔했고, 안 그래도 몸이 불편한데 코로나 검사까지 받으려니까, 콜택시도 배차도 안 시켜주고..."]
확진자와 접촉한 최송아 씨 역시 장애인 콜택시 요청을 거절당했습니다.
[최송아/중증 장애인 : "(보건소) 앞에까지 가려고 하는데 (장애인 콜택시가) 못 간대요. (심정이 어떠셨어요?) 힘들었어요. 힘들었어요."]
복지부의 장애인 지원 매뉴얼엔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을 우선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김유진/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 : "(매뉴얼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을 했었지만 만들어지지 못한 채, 아니면 어영부영 형태만 갖춘 채 2~3년이 지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싶어도 쉽지 않은 장애인들.
장애인 콜택시의 선별진료소 운행 제한은 엄연한 차별 행위라며 결국 국가인권위에 진정서를 냈습니다.
KBS 뉴스 양창희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
-
양창희 기자 share@kbs.co.kr
양창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