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 특별법 시행 임박…과제는?
입력 2022.01.20 (07:49)
수정 2022.01.20 (08: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건 발생 73년 만에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이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진상조사를 위한 첫 단추를 꿰기 앞서 조사위원회 운영 방식과 과제를 짚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정아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발의 20년 만에 지난해 7월 제정된 10.19 여순사건 특별법.
역사 속에 묻혀있던 억울한 죽음을 세상에 드러내고, 남은 이들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내일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여순사건보다 20여년 앞서 진상규명을 시작한 제주4.3 사건과 여순을 함께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장 전문가보다 행정 기관 중심으로 운영돼 12년 동안 재조사를 반복했던 제주 4.3 진상조사기구의 한계점을 짚었습니다.
[주철희/여순사건 연구자 : "전문가 조직이 참여해서 사실조사가 이뤄질 수 있게끔 이런 일들이 이뤄져야만 제주 4.3에서 겪었던 그런 어떤 오류들을 범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차원의 진상조사에 기대기보다 현장 전문가들의 명확한 사실조사에 무게를 둬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최경필/여순10·19연대 범국민연대 사무처장 : "전체적인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그 다음에 어떤 형태로 희생이 됐는가…. 전체적으로 진상규명이 돼야만 다음에 명예회복이나 배보상 문제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여순위원회 중앙위원회가 내일 서울에서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특별법 시행이 실질적인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KBS 뉴스 정아람입니다.
촬영기자:김종윤
사건 발생 73년 만에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이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진상조사를 위한 첫 단추를 꿰기 앞서 조사위원회 운영 방식과 과제를 짚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정아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발의 20년 만에 지난해 7월 제정된 10.19 여순사건 특별법.
역사 속에 묻혀있던 억울한 죽음을 세상에 드러내고, 남은 이들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내일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여순사건보다 20여년 앞서 진상규명을 시작한 제주4.3 사건과 여순을 함께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장 전문가보다 행정 기관 중심으로 운영돼 12년 동안 재조사를 반복했던 제주 4.3 진상조사기구의 한계점을 짚었습니다.
[주철희/여순사건 연구자 : "전문가 조직이 참여해서 사실조사가 이뤄질 수 있게끔 이런 일들이 이뤄져야만 제주 4.3에서 겪었던 그런 어떤 오류들을 범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차원의 진상조사에 기대기보다 현장 전문가들의 명확한 사실조사에 무게를 둬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최경필/여순10·19연대 범국민연대 사무처장 : "전체적인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그 다음에 어떤 형태로 희생이 됐는가…. 전체적으로 진상규명이 돼야만 다음에 명예회복이나 배보상 문제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여순위원회 중앙위원회가 내일 서울에서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특별법 시행이 실질적인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KBS 뉴스 정아람입니다.
촬영기자:김종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 임박…과제는?
-
- 입력 2022-01-20 07:49:57
- 수정2022-01-20 08:11:39

[앵커]
사건 발생 73년 만에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이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진상조사를 위한 첫 단추를 꿰기 앞서 조사위원회 운영 방식과 과제를 짚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정아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발의 20년 만에 지난해 7월 제정된 10.19 여순사건 특별법.
역사 속에 묻혀있던 억울한 죽음을 세상에 드러내고, 남은 이들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내일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여순사건보다 20여년 앞서 진상규명을 시작한 제주4.3 사건과 여순을 함께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장 전문가보다 행정 기관 중심으로 운영돼 12년 동안 재조사를 반복했던 제주 4.3 진상조사기구의 한계점을 짚었습니다.
[주철희/여순사건 연구자 : "전문가 조직이 참여해서 사실조사가 이뤄질 수 있게끔 이런 일들이 이뤄져야만 제주 4.3에서 겪었던 그런 어떤 오류들을 범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차원의 진상조사에 기대기보다 현장 전문가들의 명확한 사실조사에 무게를 둬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최경필/여순10·19연대 범국민연대 사무처장 : "전체적인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그 다음에 어떤 형태로 희생이 됐는가…. 전체적으로 진상규명이 돼야만 다음에 명예회복이나 배보상 문제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여순위원회 중앙위원회가 내일 서울에서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특별법 시행이 실질적인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KBS 뉴스 정아람입니다.
촬영기자:김종윤
사건 발생 73년 만에 제정된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이 내일로 다가왔습니다.
진상조사를 위한 첫 단추를 꿰기 앞서 조사위원회 운영 방식과 과제를 짚는 포럼이 열렸습니다.
정아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발의 20년 만에 지난해 7월 제정된 10.19 여순사건 특별법.
역사 속에 묻혀있던 억울한 죽음을 세상에 드러내고, 남은 이들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내일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여순사건보다 20여년 앞서 진상규명을 시작한 제주4.3 사건과 여순을 함께 다루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장 전문가보다 행정 기관 중심으로 운영돼 12년 동안 재조사를 반복했던 제주 4.3 진상조사기구의 한계점을 짚었습니다.
[주철희/여순사건 연구자 : "전문가 조직이 참여해서 사실조사가 이뤄질 수 있게끔 이런 일들이 이뤄져야만 제주 4.3에서 겪었던 그런 어떤 오류들을 범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차원의 진상조사에 기대기보다 현장 전문가들의 명확한 사실조사에 무게를 둬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최경필/여순10·19연대 범국민연대 사무처장 : "전체적인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 되고, 그 다음에 어떤 형태로 희생이 됐는가…. 전체적으로 진상규명이 돼야만 다음에 명예회복이나 배보상 문제가 나올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여순위원회 중앙위원회가 내일 서울에서 출범할 예정인 가운데 특별법 시행이 실질적인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KBS 뉴스 정아람입니다.
촬영기자:김종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