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영업해 왔는데…“도시 개발에 밀려날 판”
입력 2022.01.20 (08:08)
수정 2022.01.20 (08: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시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진행중인 천안에서 민간도시개발 지구지정을 놓고 한 택시업체와 장애인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택시업체는 25년간 멀쩡히 영업을 해왔는데 도시개발로 인해 폐업이 우려된다며 지구지정 제외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임홍열 기자입니다.
[리포트]
택시기사들과 장애인들이 천안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입니다.
자신들의 일터를 민간도시개발 사업 지구에서 빼달라는 겁니다.
해당 지구에는 11만여㎡에 아파트 천6백여 가구 등이 2026년까지 들어설 예정인데 두 곳 모두 이곳에 포함된 상탭니다.
문제는 기존 땅을 개발된 땅으로 바꾸는 환지방식이다보니 택시업체의 경우 사업부지가 절반 이상 줄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차고지 부족 등 감차 요인으로 대량 해고가 불가피하고 주변 땅값이 올라 이전도 어려워 수백명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주장입니다.
[김주돈/○○택시 전무 : "130~140명이 거기서 영업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야될 일인데 이것을 40%만 땅을 잘라주면 우리는 거기서 살수가 없죠."]
장애인 단체 역시 임대한 건물과 땅에서 쫒겨나면 각종 사업이 불가능하다는 하소연입니다.
천안시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법적요건을 갖출 경우 승인할수 밖에 없다며 추후 논의할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조창영/천안시 도시계획과장 : "나중에 지구지정단계에서 정 해결이 안 되면 그때 주민 요구사항이나 택시회사 그런 부분에 대해서 제외도 검토가 돼야겠죠."]
택시업체는 민간개발로 수십년된 토지주가 밀려나고 사업시행자만 수익을 얻어서는 안된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도시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진행중인 천안에서 민간도시개발 지구지정을 놓고 한 택시업체와 장애인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택시업체는 25년간 멀쩡히 영업을 해왔는데 도시개발로 인해 폐업이 우려된다며 지구지정 제외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임홍열 기자입니다.
[리포트]
택시기사들과 장애인들이 천안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입니다.
자신들의 일터를 민간도시개발 사업 지구에서 빼달라는 겁니다.
해당 지구에는 11만여㎡에 아파트 천6백여 가구 등이 2026년까지 들어설 예정인데 두 곳 모두 이곳에 포함된 상탭니다.
문제는 기존 땅을 개발된 땅으로 바꾸는 환지방식이다보니 택시업체의 경우 사업부지가 절반 이상 줄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차고지 부족 등 감차 요인으로 대량 해고가 불가피하고 주변 땅값이 올라 이전도 어려워 수백명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주장입니다.
[김주돈/○○택시 전무 : "130~140명이 거기서 영업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야될 일인데 이것을 40%만 땅을 잘라주면 우리는 거기서 살수가 없죠."]
장애인 단체 역시 임대한 건물과 땅에서 쫒겨나면 각종 사업이 불가능하다는 하소연입니다.
천안시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법적요건을 갖출 경우 승인할수 밖에 없다며 추후 논의할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조창영/천안시 도시계획과장 : "나중에 지구지정단계에서 정 해결이 안 되면 그때 주민 요구사항이나 택시회사 그런 부분에 대해서 제외도 검토가 돼야겠죠."]
택시업체는 민간개발로 수십년된 토지주가 밀려나고 사업시행자만 수익을 얻어서는 안된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5년 영업해 왔는데…“도시 개발에 밀려날 판”
-
- 입력 2022-01-20 08:08:01
- 수정2022-01-20 08:23:21

[앵커]
도시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진행중인 천안에서 민간도시개발 지구지정을 놓고 한 택시업체와 장애인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택시업체는 25년간 멀쩡히 영업을 해왔는데 도시개발로 인해 폐업이 우려된다며 지구지정 제외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임홍열 기자입니다.
[리포트]
택시기사들과 장애인들이 천안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입니다.
자신들의 일터를 민간도시개발 사업 지구에서 빼달라는 겁니다.
해당 지구에는 11만여㎡에 아파트 천6백여 가구 등이 2026년까지 들어설 예정인데 두 곳 모두 이곳에 포함된 상탭니다.
문제는 기존 땅을 개발된 땅으로 바꾸는 환지방식이다보니 택시업체의 경우 사업부지가 절반 이상 줄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차고지 부족 등 감차 요인으로 대량 해고가 불가피하고 주변 땅값이 올라 이전도 어려워 수백명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주장입니다.
[김주돈/○○택시 전무 : "130~140명이 거기서 영업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야될 일인데 이것을 40%만 땅을 잘라주면 우리는 거기서 살수가 없죠."]
장애인 단체 역시 임대한 건물과 땅에서 쫒겨나면 각종 사업이 불가능하다는 하소연입니다.
천안시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법적요건을 갖출 경우 승인할수 밖에 없다며 추후 논의할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조창영/천안시 도시계획과장 : "나중에 지구지정단계에서 정 해결이 안 되면 그때 주민 요구사항이나 택시회사 그런 부분에 대해서 제외도 검토가 돼야겠죠."]
택시업체는 민간개발로 수십년된 토지주가 밀려나고 사업시행자만 수익을 얻어서는 안된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도시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진행중인 천안에서 민간도시개발 지구지정을 놓고 한 택시업체와 장애인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택시업체는 25년간 멀쩡히 영업을 해왔는데 도시개발로 인해 폐업이 우려된다며 지구지정 제외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보도에 임홍열 기자입니다.
[리포트]
택시기사들과 장애인들이 천안시청 앞에서 집회를 벌입니다.
자신들의 일터를 민간도시개발 사업 지구에서 빼달라는 겁니다.
해당 지구에는 11만여㎡에 아파트 천6백여 가구 등이 2026년까지 들어설 예정인데 두 곳 모두 이곳에 포함된 상탭니다.
문제는 기존 땅을 개발된 땅으로 바꾸는 환지방식이다보니 택시업체의 경우 사업부지가 절반 이상 줄게 됩니다.
이로 인해 차고지 부족 등 감차 요인으로 대량 해고가 불가피하고 주변 땅값이 올라 이전도 어려워 수백명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주장입니다.
[김주돈/○○택시 전무 : "130~140명이 거기서 영업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해야될 일인데 이것을 40%만 땅을 잘라주면 우리는 거기서 살수가 없죠."]
장애인 단체 역시 임대한 건물과 땅에서 쫒겨나면 각종 사업이 불가능하다는 하소연입니다.
천안시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법적요건을 갖출 경우 승인할수 밖에 없다며 추후 논의할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조창영/천안시 도시계획과장 : "나중에 지구지정단계에서 정 해결이 안 되면 그때 주민 요구사항이나 택시회사 그런 부분에 대해서 제외도 검토가 돼야겠죠."]
택시업체는 민간개발로 수십년된 토지주가 밀려나고 사업시행자만 수익을 얻어서는 안된다며 법적 대응도 검토해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임홍열입니다.
촬영기자:홍순용
-
-
임홍열 기자 himan@kbs.co.kr
임홍열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