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IN] 미국 노숙인 ‘묻지마 범죄’ 잇따라
입력 2022.01.20 (10:52)
수정 2022.01.20 (1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미국 LA와 뉴욕 등에서 노숙인에 의한 묻지마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에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지구촌인에서 살펴 보시죠.
[리포트]
미국 로스앤젤레스 거리에 꽃다발이 놓였습니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한 여학생을 추모하는 꽃입니다.
디자인을 전공하는 24살 대학원생 브리아나 쿠퍼는 대낮에 일터에서 희생됐습니다.
지난 13일 상담원으로 일하던 가구점에서 무차별 흉기 공격을 당한 겁니다.
[토드 쿠퍼/아버지 : "믿기지 않습니다. 슬픔이 너무 크고,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경찰은 폐쇄회로TV에 포착된 용의자를 공개 수배했습니다.
키 182cm 정도에 마른 체형의 흑인 남성으로, 지역 노숙자인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용의자는 아직 잡히지 않았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사악한 묻지마 범죄의 범인이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걸어 다니고 있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엔 40년 가까이 환자를 돌본 70살 간호사가 숨졌습니다.
지난주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중, 한 노숙인의 공격을 받았는데요.
두개골이 골절돼 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흘 만에 숨졌습니다.
경찰은 비극의 재발을 막겠다며, 아무런 이유 없이 죽어간 묻지마 공격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불행히도 모두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코로나19 대응 일선에서 일하던 70세 간호사가 출근길에 버스 정류장에서 살해됐습니다."]
'묻지마 공격'은 지난 주말 뉴욕에서도 발생했습니다.
지하철 플랫폼에 서 있던 한 여성이 떠밀려 추락하면서 열차에 치여 숨졌는데요.
마흔 살의 아시아계 미국인 미셸 고씨가 희생됐습니다.
가해자는 20년 가까이 노숙 생활을 해 온 흑인 남성이었습니다.
정신 이상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과자로, 승객들에게 시비를 거는 등 이미 악명이 높았다고 전해졌는데요.
며칠째 타임스퀘어에서는 피해자를 애도하는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권 단체는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증오범죄라며, 늘어나는 피해 상황을 규탄했습니다.
[벤자민 웨이/아시아계 인권단체 :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범죄는 2020년 800%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는 최소 350%가 늘어났습니다."]
뉴욕에선 올해 들어 묻지마 공격 등 중대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에서 19살 직원이 강도에 의해 살해당했고, 차에서 잠든 경찰이 총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도시의 중대 범죄 사건이 5% 늘어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성 범죄 관련 신고가 15%, 강도는 25%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아차야/뉴욕 주민 : "의식하지 못한 채 이런 사건들이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 충격적인 일입니다. 더는 이렇게 살 수 없습니다."]
최근 잇따라 벌어진 노숙인 묻지마 범죄와 강력 범죄들, 정부가 다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LA 카운티는 매년 해오던 노숙자 수 확인 작업을 코로나19 확산으로 미루기도 했는데요.
반복된 비극을 끊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대응책으로 시민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LA와 뉴욕 등에서 노숙인에 의한 묻지마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에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지구촌인에서 살펴 보시죠.
[리포트]
미국 로스앤젤레스 거리에 꽃다발이 놓였습니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한 여학생을 추모하는 꽃입니다.
디자인을 전공하는 24살 대학원생 브리아나 쿠퍼는 대낮에 일터에서 희생됐습니다.
지난 13일 상담원으로 일하던 가구점에서 무차별 흉기 공격을 당한 겁니다.
[토드 쿠퍼/아버지 : "믿기지 않습니다. 슬픔이 너무 크고,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경찰은 폐쇄회로TV에 포착된 용의자를 공개 수배했습니다.
키 182cm 정도에 마른 체형의 흑인 남성으로, 지역 노숙자인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용의자는 아직 잡히지 않았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사악한 묻지마 범죄의 범인이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걸어 다니고 있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엔 40년 가까이 환자를 돌본 70살 간호사가 숨졌습니다.
지난주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중, 한 노숙인의 공격을 받았는데요.
두개골이 골절돼 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흘 만에 숨졌습니다.
경찰은 비극의 재발을 막겠다며, 아무런 이유 없이 죽어간 묻지마 공격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불행히도 모두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코로나19 대응 일선에서 일하던 70세 간호사가 출근길에 버스 정류장에서 살해됐습니다."]
'묻지마 공격'은 지난 주말 뉴욕에서도 발생했습니다.
지하철 플랫폼에 서 있던 한 여성이 떠밀려 추락하면서 열차에 치여 숨졌는데요.
마흔 살의 아시아계 미국인 미셸 고씨가 희생됐습니다.
가해자는 20년 가까이 노숙 생활을 해 온 흑인 남성이었습니다.
정신 이상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과자로, 승객들에게 시비를 거는 등 이미 악명이 높았다고 전해졌는데요.
며칠째 타임스퀘어에서는 피해자를 애도하는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권 단체는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증오범죄라며, 늘어나는 피해 상황을 규탄했습니다.
[벤자민 웨이/아시아계 인권단체 :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범죄는 2020년 800%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는 최소 350%가 늘어났습니다."]
뉴욕에선 올해 들어 묻지마 공격 등 중대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에서 19살 직원이 강도에 의해 살해당했고, 차에서 잠든 경찰이 총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도시의 중대 범죄 사건이 5% 늘어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성 범죄 관련 신고가 15%, 강도는 25%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아차야/뉴욕 주민 : "의식하지 못한 채 이런 사건들이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 충격적인 일입니다. 더는 이렇게 살 수 없습니다."]
최근 잇따라 벌어진 노숙인 묻지마 범죄와 강력 범죄들, 정부가 다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LA 카운티는 매년 해오던 노숙자 수 확인 작업을 코로나19 확산으로 미루기도 했는데요.
반복된 비극을 끊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대응책으로 시민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IN] 미국 노숙인 ‘묻지마 범죄’ 잇따라
-
- 입력 2022-01-20 10:52:53
- 수정2022-01-20 10:59:33

[앵커]
최근 미국 LA와 뉴욕 등에서 노숙인에 의한 묻지마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에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지구촌인에서 살펴 보시죠.
[리포트]
미국 로스앤젤레스 거리에 꽃다발이 놓였습니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한 여학생을 추모하는 꽃입니다.
디자인을 전공하는 24살 대학원생 브리아나 쿠퍼는 대낮에 일터에서 희생됐습니다.
지난 13일 상담원으로 일하던 가구점에서 무차별 흉기 공격을 당한 겁니다.
[토드 쿠퍼/아버지 : "믿기지 않습니다. 슬픔이 너무 크고,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경찰은 폐쇄회로TV에 포착된 용의자를 공개 수배했습니다.
키 182cm 정도에 마른 체형의 흑인 남성으로, 지역 노숙자인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용의자는 아직 잡히지 않았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사악한 묻지마 범죄의 범인이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걸어 다니고 있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엔 40년 가까이 환자를 돌본 70살 간호사가 숨졌습니다.
지난주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중, 한 노숙인의 공격을 받았는데요.
두개골이 골절돼 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흘 만에 숨졌습니다.
경찰은 비극의 재발을 막겠다며, 아무런 이유 없이 죽어간 묻지마 공격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불행히도 모두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코로나19 대응 일선에서 일하던 70세 간호사가 출근길에 버스 정류장에서 살해됐습니다."]
'묻지마 공격'은 지난 주말 뉴욕에서도 발생했습니다.
지하철 플랫폼에 서 있던 한 여성이 떠밀려 추락하면서 열차에 치여 숨졌는데요.
마흔 살의 아시아계 미국인 미셸 고씨가 희생됐습니다.
가해자는 20년 가까이 노숙 생활을 해 온 흑인 남성이었습니다.
정신 이상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과자로, 승객들에게 시비를 거는 등 이미 악명이 높았다고 전해졌는데요.
며칠째 타임스퀘어에서는 피해자를 애도하는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권 단체는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증오범죄라며, 늘어나는 피해 상황을 규탄했습니다.
[벤자민 웨이/아시아계 인권단체 :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범죄는 2020년 800%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는 최소 350%가 늘어났습니다."]
뉴욕에선 올해 들어 묻지마 공격 등 중대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에서 19살 직원이 강도에 의해 살해당했고, 차에서 잠든 경찰이 총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도시의 중대 범죄 사건이 5% 늘어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성 범죄 관련 신고가 15%, 강도는 25%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아차야/뉴욕 주민 : "의식하지 못한 채 이런 사건들이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 충격적인 일입니다. 더는 이렇게 살 수 없습니다."]
최근 잇따라 벌어진 노숙인 묻지마 범죄와 강력 범죄들, 정부가 다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LA 카운티는 매년 해오던 노숙자 수 확인 작업을 코로나19 확산으로 미루기도 했는데요.
반복된 비극을 끊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대응책으로 시민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LA와 뉴욕 등에서 노숙인에 의한 묻지마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에 안전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지구촌인에서 살펴 보시죠.
[리포트]
미국 로스앤젤레스 거리에 꽃다발이 놓였습니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한 여학생을 추모하는 꽃입니다.
디자인을 전공하는 24살 대학원생 브리아나 쿠퍼는 대낮에 일터에서 희생됐습니다.
지난 13일 상담원으로 일하던 가구점에서 무차별 흉기 공격을 당한 겁니다.
[토드 쿠퍼/아버지 : "믿기지 않습니다. 슬픔이 너무 크고,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경찰은 폐쇄회로TV에 포착된 용의자를 공개 수배했습니다.
키 182cm 정도에 마른 체형의 흑인 남성으로, 지역 노숙자인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용의자는 아직 잡히지 않았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사악한 묻지마 범죄의 범인이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걸어 다니고 있습니다."]
묻지마 범죄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엔 40년 가까이 환자를 돌본 70살 간호사가 숨졌습니다.
지난주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던 중, 한 노숙인의 공격을 받았는데요.
두개골이 골절돼 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흘 만에 숨졌습니다.
경찰은 비극의 재발을 막겠다며, 아무런 이유 없이 죽어간 묻지마 공격 희생자들을 애도했습니다.
[미셸 무어/LA 경찰 : "불행히도 모두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코로나19 대응 일선에서 일하던 70세 간호사가 출근길에 버스 정류장에서 살해됐습니다."]
'묻지마 공격'은 지난 주말 뉴욕에서도 발생했습니다.
지하철 플랫폼에 서 있던 한 여성이 떠밀려 추락하면서 열차에 치여 숨졌는데요.
마흔 살의 아시아계 미국인 미셸 고씨가 희생됐습니다.
가해자는 20년 가까이 노숙 생활을 해 온 흑인 남성이었습니다.
정신 이상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과자로, 승객들에게 시비를 거는 등 이미 악명이 높았다고 전해졌는데요.
며칠째 타임스퀘어에서는 피해자를 애도하는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시아계 인권 단체는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증오범죄라며, 늘어나는 피해 상황을 규탄했습니다.
[벤자민 웨이/아시아계 인권단체 :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범죄는 2020년 800%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는 최소 350%가 늘어났습니다."]
뉴욕에선 올해 들어 묻지마 공격 등 중대 범죄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패스트푸드점에서 19살 직원이 강도에 의해 살해당했고, 차에서 잠든 경찰이 총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도시의 중대 범죄 사건이 5% 늘어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성 범죄 관련 신고가 15%, 강도는 25%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
[아차야/뉴욕 주민 : "의식하지 못한 채 이런 사건들이 끊임없이 있어 왔습니다. 충격적인 일입니다. 더는 이렇게 살 수 없습니다."]
최근 잇따라 벌어진 노숙인 묻지마 범죄와 강력 범죄들, 정부가 다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LA 카운티는 매년 해오던 노숙자 수 확인 작업을 코로나19 확산으로 미루기도 했는데요.
반복된 비극을 끊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대응책으로 시민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