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세계 최대 석불 ‘러산대불’ 보수 작업 한창

입력 2022.01.20 (12:45) 수정 2022.01.20 (12: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높이 71m, 폭 28m의 세계 최대 석조 불상인 중국 쓰촨성 러산 대불에 대한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리포트]

중국 쓰촨성 장강 지류인 다두허와 칭이강 그리고 민강 줄기가 만나는 지점에서 거대한 미륵불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적색 사암 절벽에 조각된 유네스코 문화유산 러산대불입니다.

천 년 전 당나라 때 당시 빈번했던 수해를 막기 위해 해통이라는 승려가 석상을 조각하면서 러산 대불의 역사는 시작됐습니다.

재작년 여름 불상의 발이 불어난 강물에 한때 잠겨 학계의 큰 우려를 낳았고 이를 계기로 지난해 말부터 대대적인 보수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현재는 진동과 균열 탐지기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해 석불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는 상황.

[펑쉐이/러산대불 석굴 연구원 책임자 : “잔도를 따라 새겨진 수십 개의 작은 불상에 대해서도 고고학 조사를 하고 풍화 속도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석질이 무른 적색 사암에 불상이 조각돼 있는 만큼 풍화작용과 수해 등에 취약한데요.

이 때문에 지난 1914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7차례나 보수 작업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세계 최대 석불 ‘러산대불’ 보수 작업 한창
    • 입력 2022-01-20 12:45:01
    • 수정2022-01-20 12:54:32
    뉴스 12
[앵커]

높이 71m, 폭 28m의 세계 최대 석조 불상인 중국 쓰촨성 러산 대불에 대한 보수 작업이 한창입니다.

[리포트]

중국 쓰촨성 장강 지류인 다두허와 칭이강 그리고 민강 줄기가 만나는 지점에서 거대한 미륵불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적색 사암 절벽에 조각된 유네스코 문화유산 러산대불입니다.

천 년 전 당나라 때 당시 빈번했던 수해를 막기 위해 해통이라는 승려가 석상을 조각하면서 러산 대불의 역사는 시작됐습니다.

재작년 여름 불상의 발이 불어난 강물에 한때 잠겨 학계의 큰 우려를 낳았고 이를 계기로 지난해 말부터 대대적인 보수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현재는 진동과 균열 탐지기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해 석불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는 상황.

[펑쉐이/러산대불 석굴 연구원 책임자 : “잔도를 따라 새겨진 수십 개의 작은 불상에 대해서도 고고학 조사를 하고 풍화 속도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석질이 무른 적색 사암에 불상이 조각돼 있는 만큼 풍화작용과 수해 등에 취약한데요.

이 때문에 지난 1914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7차례나 보수 작업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