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닷새째 한파특보…난방기구 화재 잇따라

입력 2022.01.20 (21:36) 수정 2022.01.20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침 최저기온이 연일 영하 10도 안팎을 밑돌면서 충북에는 닷새째 한파특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추워진 날씨 탓에, 난방기구 사용이 크게 늘면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건물 전체가 새카맣게 그을렸습니다.

바닥 한쪽에서는 타다 남은 불씨가 연기를 뿜어냅니다.

어제 음성군 맹동면의 한 양계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병아리 만 8천 마리가 폐사하고 사육장 두 동, 1,000㎡가 타 소방서 추산 1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불은 사육장에 있던 열풍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한파가 계속되면서 축사가 춥지 않도록 열풍기를 무리하게 튼 것이 화근이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피해 양계장 주인 : "(불꽃이) 세게 한 번 펑 튀고 나서 한 20초, 30초 후에 그때부터 불이 나기 시작해서 30분 만에 다 완전히…."]

앞서, 어제 오전에는 영동군 용산면의 한 주택에서 불이 났습니다.

집주인이 화목 보일러에 장작을 채워놓고 자리를 비운 사이, 불티가 날려 주변으로 옮겨 붙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충북에서는 닷새째 한파특보가 이어지는 등 연일 강추위가 몰아치는 가운데, 올해 들어 이틀에 한 번꼴로 난방 기구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김성현/음성소방서 예방안전과 :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셔야 하고요. 난방 기구 사용하실 때 주변 2m 이내에 가연물, 불에 탈 수 있는 물건 등을 적치하시면 안 되고."]

소방 당국은 난방기구 근처 인화성 물질을 치우고 초기 진화를 위해 스프링클러나 소화기 등의 소방 설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북 닷새째 한파특보…난방기구 화재 잇따라
    • 입력 2022-01-20 21:36:24
    • 수정2022-01-20 22:20:49
    뉴스9(청주)
[앵커]

아침 최저기온이 연일 영하 10도 안팎을 밑돌면서 충북에는 닷새째 한파특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추워진 날씨 탓에, 난방기구 사용이 크게 늘면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건물 전체가 새카맣게 그을렸습니다.

바닥 한쪽에서는 타다 남은 불씨가 연기를 뿜어냅니다.

어제 음성군 맹동면의 한 양계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이 불로 병아리 만 8천 마리가 폐사하고 사육장 두 동, 1,000㎡가 타 소방서 추산 1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났습니다.

불은 사육장에 있던 열풍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한파가 계속되면서 축사가 춥지 않도록 열풍기를 무리하게 튼 것이 화근이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피해 양계장 주인 : "(불꽃이) 세게 한 번 펑 튀고 나서 한 20초, 30초 후에 그때부터 불이 나기 시작해서 30분 만에 다 완전히…."]

앞서, 어제 오전에는 영동군 용산면의 한 주택에서 불이 났습니다.

집주인이 화목 보일러에 장작을 채워놓고 자리를 비운 사이, 불티가 날려 주변으로 옮겨 붙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충북에서는 닷새째 한파특보가 이어지는 등 연일 강추위가 몰아치는 가운데, 올해 들어 이틀에 한 번꼴로 난방 기구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김성현/음성소방서 예방안전과 :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셔야 하고요. 난방 기구 사용하실 때 주변 2m 이내에 가연물, 불에 탈 수 있는 물건 등을 적치하시면 안 되고."]

소방 당국은 난방기구 근처 인화성 물질을 치우고 초기 진화를 위해 스프링클러나 소화기 등의 소방 설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