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급락에 속 태우는 개미들
입력 2022.01.29 (06:59)
수정 2022.01.29 (07: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스피와 코스닥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새해 들어서만 10% 넘게 하락하는 등 성적표가 신통치 않습니다.
연이은 주가 급락 속에 주식에 돈을 투자했던 개인들, 특히 빚까지 내면서 시장에 뛰어들었던 투자자들의 손실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즘 인터넷 주식 카페마다 주가 하락을 걱정하는 글들이 넘쳐납니다.
특히 빚을 내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반대매매'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반대 매매는 증권사 돈을 빌려 산 주식이 강제로 처분되는 걸 말합니다.
개인이 증권사 자금으로 주식을 산 뒤 기한 내 갚지 못하거나, 가치가 일정 수준 아래로 내려가면 증권사가 빌려준 돈을 회수해 가는 겁니다.
보통 장 시작과 함께 하한가로 주식이 처분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올 들어 발생한 반대매매 금액은 3,900억 원으로, 하루 평균 200억 원이 넘습니다.
코스피가 3,300선을 넘겼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반대매매가 일어나면 투자자 개인도 손실을 보지만,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증시 하락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반대매매가 나오게 되면 주가 하락을 훨씬 더 부추기는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요. 거기서 또 다른 반대매매를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가 있거든요. 따라서 주가의 하락 폭을 더 크게 만들고..."]
전문가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긴축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만큼 부채를 활용한 주식 투자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은행도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설 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을 24시간 점검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 정현석/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혜 고석훈
코스피와 코스닥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새해 들어서만 10% 넘게 하락하는 등 성적표가 신통치 않습니다.
연이은 주가 급락 속에 주식에 돈을 투자했던 개인들, 특히 빚까지 내면서 시장에 뛰어들었던 투자자들의 손실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즘 인터넷 주식 카페마다 주가 하락을 걱정하는 글들이 넘쳐납니다.
특히 빚을 내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반대매매'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반대 매매는 증권사 돈을 빌려 산 주식이 강제로 처분되는 걸 말합니다.
개인이 증권사 자금으로 주식을 산 뒤 기한 내 갚지 못하거나, 가치가 일정 수준 아래로 내려가면 증권사가 빌려준 돈을 회수해 가는 겁니다.
보통 장 시작과 함께 하한가로 주식이 처분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올 들어 발생한 반대매매 금액은 3,900억 원으로, 하루 평균 200억 원이 넘습니다.
코스피가 3,300선을 넘겼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반대매매가 일어나면 투자자 개인도 손실을 보지만,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증시 하락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반대매매가 나오게 되면 주가 하락을 훨씬 더 부추기는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요. 거기서 또 다른 반대매매를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가 있거든요. 따라서 주가의 하락 폭을 더 크게 만들고..."]
전문가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긴축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만큼 부채를 활용한 주식 투자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은행도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설 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을 24시간 점검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 정현석/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혜 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증시 급락에 속 태우는 개미들
-
- 입력 2022-01-29 06:59:40
- 수정2022-01-29 07:05:10

[앵커]
코스피와 코스닥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새해 들어서만 10% 넘게 하락하는 등 성적표가 신통치 않습니다.
연이은 주가 급락 속에 주식에 돈을 투자했던 개인들, 특히 빚까지 내면서 시장에 뛰어들었던 투자자들의 손실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즘 인터넷 주식 카페마다 주가 하락을 걱정하는 글들이 넘쳐납니다.
특히 빚을 내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반대매매'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반대 매매는 증권사 돈을 빌려 산 주식이 강제로 처분되는 걸 말합니다.
개인이 증권사 자금으로 주식을 산 뒤 기한 내 갚지 못하거나, 가치가 일정 수준 아래로 내려가면 증권사가 빌려준 돈을 회수해 가는 겁니다.
보통 장 시작과 함께 하한가로 주식이 처분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올 들어 발생한 반대매매 금액은 3,900억 원으로, 하루 평균 200억 원이 넘습니다.
코스피가 3,300선을 넘겼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반대매매가 일어나면 투자자 개인도 손실을 보지만,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증시 하락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반대매매가 나오게 되면 주가 하락을 훨씬 더 부추기는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요. 거기서 또 다른 반대매매를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가 있거든요. 따라서 주가의 하락 폭을 더 크게 만들고..."]
전문가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긴축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만큼 부채를 활용한 주식 투자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은행도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설 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을 24시간 점검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 정현석/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혜 고석훈
코스피와 코스닥이 6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새해 들어서만 10% 넘게 하락하는 등 성적표가 신통치 않습니다.
연이은 주가 급락 속에 주식에 돈을 투자했던 개인들, 특히 빚까지 내면서 시장에 뛰어들었던 투자자들의 손실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조정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요즘 인터넷 주식 카페마다 주가 하락을 걱정하는 글들이 넘쳐납니다.
특히 빚을 내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반대매매'에 대한 우려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반대 매매는 증권사 돈을 빌려 산 주식이 강제로 처분되는 걸 말합니다.
개인이 증권사 자금으로 주식을 산 뒤 기한 내 갚지 못하거나, 가치가 일정 수준 아래로 내려가면 증권사가 빌려준 돈을 회수해 가는 겁니다.
보통 장 시작과 함께 하한가로 주식이 처분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올 들어 발생한 반대매매 금액은 3,900억 원으로, 하루 평균 200억 원이 넘습니다.
코스피가 3,300선을 넘겼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반대매매가 일어나면 투자자 개인도 손실을 보지만, 시장에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서 증시 하락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황세운/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반대매매가 나오게 되면 주가 하락을 훨씬 더 부추기는 증폭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요. 거기서 또 다른 반대매매를 불러일으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가 있거든요. 따라서 주가의 하락 폭을 더 크게 만들고..."]
전문가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긴축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만큼 부채를 활용한 주식 투자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은행도 대외 불확실성을 고려해 설 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을 24시간 점검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정인입니다.
촬영기자:김준우 정현석/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혜 고석훈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