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오미크론 출현 후 10주간 세계 감염자 9천만 명 증가”
입력 2022.02.02 (09:14)
수정 2022.02.02 (1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한 후 10주 만에 전 세계에서 확진자가 9천만 명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현지 시각 1일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10주 전 아프리카 남부에서 처음 보고된 후 약 9천만 건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WHO에 보고됐다며, 이는 2020년 전체 감염 사례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거나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일부 국가에서 백신과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염을 막는 게 더는 불가능하다거나 필요하지 않다는 등 이야기가 널리 퍼지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무총장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망자가 매우 우려할 만큼 늘어났다”며 “이 바이러스는 위험하고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각국에 백신을 포함한 모든 방역 조처를 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을 포함한 새로운 변이를 계속 추적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현지 시각 1일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10주 전 아프리카 남부에서 처음 보고된 후 약 9천만 건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WHO에 보고됐다며, 이는 2020년 전체 감염 사례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거나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일부 국가에서 백신과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염을 막는 게 더는 불가능하다거나 필요하지 않다는 등 이야기가 널리 퍼지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무총장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망자가 매우 우려할 만큼 늘어났다”며 “이 바이러스는 위험하고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각국에 백신을 포함한 모든 방역 조처를 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을 포함한 새로운 변이를 계속 추적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HO “오미크론 출현 후 10주간 세계 감염자 9천만 명 증가”
-
- 입력 2022-02-02 09:14:34
- 수정2022-02-02 10:18:54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한 후 10주 만에 전 세계에서 확진자가 9천만 명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현지 시각 1일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10주 전 아프리카 남부에서 처음 보고된 후 약 9천만 건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WHO에 보고됐다며, 이는 2020년 전체 감염 사례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거나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일부 국가에서 백신과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염을 막는 게 더는 불가능하다거나 필요하지 않다는 등 이야기가 널리 퍼지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무총장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망자가 매우 우려할 만큼 늘어났다”며 “이 바이러스는 위험하고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각국에 백신을 포함한 모든 방역 조처를 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을 포함한 새로운 변이를 계속 추적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현지 시각 1일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10주 전 아프리카 남부에서 처음 보고된 후 약 9천만 건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WHO에 보고됐다며, 이는 2020년 전체 감염 사례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에 대해 승리를 선언하거나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일부 국가에서 백신과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덜 심각하다는 이유로 전염을 막는 게 더는 불가능하다거나 필요하지 않다는 등 이야기가 널리 퍼지는 데 대해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무총장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사망자가 매우 우려할 만큼 늘어났다”며 “이 바이러스는 위험하고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각국에 백신을 포함한 모든 방역 조처를 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BA.2)을 포함한 새로운 변이를 계속 추적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심연희 기자 simony@kbs.co.kr
심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