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대출부담에…작년 서울 아파트 거래 60㎡ 이하 최대
입력 2022.02.02 (10:09)
수정 2022.02.02 (1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절반가량이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중대형 아파트 거래는 최근 5년 새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올라온 지난해 서울아파트 면적별 거래량(1월 27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4만2천242건 가운데 전용면적 60㎡의 비중이 47%(1만9천851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0년 42.4%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며, 2017년 36.1%에 비해서는 11%포인트가량 증가하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중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60∼85㎡ 이하 거래량은 총 1만5천976건으로 전체의 37.8%를 차지했습니다.
현 정부가 시작된 2017년에는 전용 60∼85㎡ 이하가 43.4%, 전용 60㎡ 이하가 36.1%로 중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나 2020년에 처음으로 소형(42.4%)이 중형(40.9%) 거래량을 근소하게 넘어서기 시작해 지난해는 소형과 중형 거래 비중 격차가 10%포인트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소재 아파트 가구 수는 총 177만230가구로, 전용 60∼85㎡ 이하가 42.2%(74만7천442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용 60㎡는 37.6%(66만5천249가구) 수준인데 실제 거래는 전용 60㎡ 이하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비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2017년 20.5%, 2018년 20.7%로 각각 20%를 넘었으나 2020년 16.7%로 줄고 지난해는 15.2%로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가 많아진 것은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올라온 지난해 서울아파트 면적별 거래량(1월 27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4만2천242건 가운데 전용면적 60㎡의 비중이 47%(1만9천851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0년 42.4%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며, 2017년 36.1%에 비해서는 11%포인트가량 증가하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중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60∼85㎡ 이하 거래량은 총 1만5천976건으로 전체의 37.8%를 차지했습니다.
현 정부가 시작된 2017년에는 전용 60∼85㎡ 이하가 43.4%, 전용 60㎡ 이하가 36.1%로 중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나 2020년에 처음으로 소형(42.4%)이 중형(40.9%) 거래량을 근소하게 넘어서기 시작해 지난해는 소형과 중형 거래 비중 격차가 10%포인트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소재 아파트 가구 수는 총 177만230가구로, 전용 60∼85㎡ 이하가 42.2%(74만7천442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용 60㎡는 37.6%(66만5천249가구) 수준인데 실제 거래는 전용 60㎡ 이하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비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2017년 20.5%, 2018년 20.7%로 각각 20%를 넘었으나 2020년 16.7%로 줄고 지난해는 15.2%로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가 많아진 것은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값 급등·대출부담에…작년 서울 아파트 거래 60㎡ 이하 최대
-
- 입력 2022-02-02 10:09:09
- 수정2022-02-02 10:30:50

지난해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절반가량이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중대형 아파트 거래는 최근 5년 새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올라온 지난해 서울아파트 면적별 거래량(1월 27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4만2천242건 가운데 전용면적 60㎡의 비중이 47%(1만9천851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0년 42.4%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며, 2017년 36.1%에 비해서는 11%포인트가량 증가하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중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60∼85㎡ 이하 거래량은 총 1만5천976건으로 전체의 37.8%를 차지했습니다.
현 정부가 시작된 2017년에는 전용 60∼85㎡ 이하가 43.4%, 전용 60㎡ 이하가 36.1%로 중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나 2020년에 처음으로 소형(42.4%)이 중형(40.9%) 거래량을 근소하게 넘어서기 시작해 지난해는 소형과 중형 거래 비중 격차가 10%포인트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소재 아파트 가구 수는 총 177만230가구로, 전용 60∼85㎡ 이하가 42.2%(74만7천442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용 60㎡는 37.6%(66만5천249가구) 수준인데 실제 거래는 전용 60㎡ 이하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비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2017년 20.5%, 2018년 20.7%로 각각 20%를 넘었으나 2020년 16.7%로 줄고 지난해는 15.2%로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가 많아진 것은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올라온 지난해 서울아파트 면적별 거래량(1월 27일 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4만2천242건 가운데 전용면적 60㎡의 비중이 47%(1만9천851건)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0년 42.4%보다 4.6%포인트 늘어난 것이며, 2017년 36.1%에 비해서는 11%포인트가량 증가하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중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60∼85㎡ 이하 거래량은 총 1만5천976건으로 전체의 37.8%를 차지했습니다.
현 정부가 시작된 2017년에는 전용 60∼85㎡ 이하가 43.4%, 전용 60㎡ 이하가 36.1%로 중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나 2020년에 처음으로 소형(42.4%)이 중형(40.9%) 거래량을 근소하게 넘어서기 시작해 지난해는 소형과 중형 거래 비중 격차가 10%포인트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소재 아파트 가구 수는 총 177만230가구로, 전용 60∼85㎡ 이하가 42.2%(74만7천442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용 60㎡는 37.6%(66만5천249가구) 수준인데 실제 거래는 전용 60㎡ 이하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비해 전용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 거래 비중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2017년 20.5%, 2018년 20.7%로 각각 20%를 넘었으나 2020년 16.7%로 줄고 지난해는 15.2%로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전용 60㎡ 이하 소형 거래가 많아진 것은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형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
-
김영민 기자 public@kbs.co.kr
김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