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이달 말쯤 13~17만 명 신규 확진 전망”
입력 2022.02.08 (07:03)
수정 2022.02.08 (07: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또다시 3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실한 우세종이 되면서 정부는 이달 말 확진자 규모가 최대 17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휴일 검사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흘째 3만 명대를 이어갔습니다.
신규 확진자는 3만 5,286명입니다.
2주 전보다(7,511명) 4배 이상, 한 주 전보다(17,079명) 2배 이상, 확진자 수가 두 배씩 불어나고 있습니다.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6입니다.
앞으로 확산세가 계속된다는 얘깁니다.
오미크론 비중은 92%로 확실한 지배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검사 양성률도 26%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보시다시피 지난 1일부터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PCR 검사자 4명 중 1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는다는 의밉니다.
특히 수도권(75% 증가)보다 수도권 외(119% 증가)에서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1주일간 인구 10만 명당 발생 수 순위를 보면 서울, 인천 다음이 대구와 광주광역시로 경기도보다 많았습니다.
정부는 이런 추세라면 이달 말쯤 하루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 명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놨습니다.
다소 긍정적인 부분은 확진자 증가세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건데요.
주간 추이를 살펴보면 위중증 환자 수는 1월 첫째 주 900명대에서 지난주 272명으로 2백 명대를 유지하고 있죠.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3백 명대에서 146명으로 감소세를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 방심하긴 이릅니다.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 평균 발생률이 1.5배 이상 증가했고요.
특히 그동안 낮았던 60살 이상 확진자 증가율도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택 치료자 수도 14만 6천여 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 당국은 다음 달 초쯤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고석훈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또다시 3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실한 우세종이 되면서 정부는 이달 말 확진자 규모가 최대 17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휴일 검사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흘째 3만 명대를 이어갔습니다.
신규 확진자는 3만 5,286명입니다.
2주 전보다(7,511명) 4배 이상, 한 주 전보다(17,079명) 2배 이상, 확진자 수가 두 배씩 불어나고 있습니다.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6입니다.
앞으로 확산세가 계속된다는 얘깁니다.
오미크론 비중은 92%로 확실한 지배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검사 양성률도 26%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보시다시피 지난 1일부터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PCR 검사자 4명 중 1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는다는 의밉니다.
특히 수도권(75% 증가)보다 수도권 외(119% 증가)에서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1주일간 인구 10만 명당 발생 수 순위를 보면 서울, 인천 다음이 대구와 광주광역시로 경기도보다 많았습니다.
정부는 이런 추세라면 이달 말쯤 하루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 명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놨습니다.
다소 긍정적인 부분은 확진자 증가세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건데요.
주간 추이를 살펴보면 위중증 환자 수는 1월 첫째 주 900명대에서 지난주 272명으로 2백 명대를 유지하고 있죠.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3백 명대에서 146명으로 감소세를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 방심하긴 이릅니다.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 평균 발생률이 1.5배 이상 증가했고요.
특히 그동안 낮았던 60살 이상 확진자 증가율도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택 치료자 수도 14만 6천여 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 당국은 다음 달 초쯤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미크론 이달 말쯤 13~17만 명 신규 확진 전망”
-
- 입력 2022-02-08 07:03:40
- 수정2022-02-08 07:12:24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plaza/2022/02/08/40_5389391.jpg)
[앵커]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또다시 3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실한 우세종이 되면서 정부는 이달 말 확진자 규모가 최대 17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휴일 검사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흘째 3만 명대를 이어갔습니다.
신규 확진자는 3만 5,286명입니다.
2주 전보다(7,511명) 4배 이상, 한 주 전보다(17,079명) 2배 이상, 확진자 수가 두 배씩 불어나고 있습니다.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6입니다.
앞으로 확산세가 계속된다는 얘깁니다.
오미크론 비중은 92%로 확실한 지배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검사 양성률도 26%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보시다시피 지난 1일부터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PCR 검사자 4명 중 1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는다는 의밉니다.
특히 수도권(75% 증가)보다 수도권 외(119% 증가)에서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1주일간 인구 10만 명당 발생 수 순위를 보면 서울, 인천 다음이 대구와 광주광역시로 경기도보다 많았습니다.
정부는 이런 추세라면 이달 말쯤 하루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 명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놨습니다.
다소 긍정적인 부분은 확진자 증가세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건데요.
주간 추이를 살펴보면 위중증 환자 수는 1월 첫째 주 900명대에서 지난주 272명으로 2백 명대를 유지하고 있죠.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3백 명대에서 146명으로 감소세를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 방심하긴 이릅니다.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 평균 발생률이 1.5배 이상 증가했고요.
특히 그동안 낮았던 60살 이상 확진자 증가율도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택 치료자 수도 14만 6천여 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 당국은 다음 달 초쯤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고석훈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또다시 3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실한 우세종이 되면서 정부는 이달 말 확진자 규모가 최대 17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휴일 검사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사흘째 3만 명대를 이어갔습니다.
신규 확진자는 3만 5,286명입니다.
2주 전보다(7,511명) 4배 이상, 한 주 전보다(17,079명) 2배 이상, 확진자 수가 두 배씩 불어나고 있습니다.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1.6입니다.
앞으로 확산세가 계속된다는 얘깁니다.
오미크론 비중은 92%로 확실한 지배종이 되었고 이에 따라 검사 양성률도 26%로 크게 높아졌습니다.
보시다시피 지난 1일부터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PCR 검사자 4명 중 1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는다는 의밉니다.
특히 수도권(75% 증가)보다 수도권 외(119% 증가)에서 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 1주일간 인구 10만 명당 발생 수 순위를 보면 서울, 인천 다음이 대구와 광주광역시로 경기도보다 많았습니다.
정부는 이런 추세라면 이달 말쯤 하루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 명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놨습니다.
다소 긍정적인 부분은 확진자 증가세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건데요.
주간 추이를 살펴보면 위중증 환자 수는 1월 첫째 주 900명대에서 지난주 272명으로 2백 명대를 유지하고 있죠.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3백 명대에서 146명으로 감소세를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 방심하긴 이릅니다.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 평균 발생률이 1.5배 이상 증가했고요.
특히 그동안 낮았던 60살 이상 확진자 증가율도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재택 치료자 수도 14만 6천여 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 당국은 다음 달 초쯤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영상편집:김선영/그래픽:고석훈
-
-
김혜주 기자 khj@kbs.co.kr
김혜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