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로 바뀌는 산업 환경…지역 기업은?
입력 2022.02.08 (09:54)
수정 2022.02.08 (11: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업 환경 변화로 부산의 기업들도 디지털 혁신을 미룰 수 없게 됐습니다.
발빠르게 대응한 업체들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성장하고 있는데요,
지역 경제가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각종 채소와 과일을 유통하는 농산물 도매시장.
한 상인이 태블릿 PC로 주문량을 확인합니다.
시장에 디지털을 도입한 건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입니다.
식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한 식자재를 배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빅데이터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전국 산지의 생산량과 경매가 등 정보를 수집, 분석해 농산물에 적정한 가격을 매깁니다.
식당 주인들이 발품을 파는 일을 대신해주자 매출이 크게 늘었고, 100억 원 이상의 투자도 유치했습니다.
[공경율/업체 대표이사 : "도매시장에 있는 상품, 가격 정보를 데이터화해서 고객들이 간편하게 주문해서 받아볼 수 있도록…."]
원통 모양의 기기에 비상 버튼을 누르니 경고음이 뜹니다.
화재나 범죄 등 위급한 상황을 관제실로 바로 알립니다.
센서에 의존하는 기존 장비와 달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했습니다.
열과 온도 등 수많은 정보를 분석해 재난 대처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제조업을 하던 부산의 기업인이 4년이 넘는 연구 끝에 개발한 시스템으로, 공공기관 등 460여 곳에 납품 중입니다.
[권익환/업체 대표이사 : "오작동은 최소화하고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재난 안전시스템이나 스마트 시티(첨단 도시) 서비스에 맞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부산지역 IT 관련 기업의 매출은 최근 3년 사이 3조 원 넘게 느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산업 환경 변화로 디지털 혁신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경은/부산정보산업진흥원 단장 :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이 아니더라도 융합을 해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가도록 많이 기획하고…."]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성장 동력인 디지털 경제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부산의 중소기업 100여 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6% 정도가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기업들이 디지털 혁신의 걸림돌로 인력과 투자금을 꼽는 만큼 산업 전환을 이끌 부산시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최유리
산업 환경 변화로 부산의 기업들도 디지털 혁신을 미룰 수 없게 됐습니다.
발빠르게 대응한 업체들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성장하고 있는데요,
지역 경제가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각종 채소와 과일을 유통하는 농산물 도매시장.
한 상인이 태블릿 PC로 주문량을 확인합니다.
시장에 디지털을 도입한 건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입니다.
식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한 식자재를 배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빅데이터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전국 산지의 생산량과 경매가 등 정보를 수집, 분석해 농산물에 적정한 가격을 매깁니다.
식당 주인들이 발품을 파는 일을 대신해주자 매출이 크게 늘었고, 100억 원 이상의 투자도 유치했습니다.
[공경율/업체 대표이사 : "도매시장에 있는 상품, 가격 정보를 데이터화해서 고객들이 간편하게 주문해서 받아볼 수 있도록…."]
원통 모양의 기기에 비상 버튼을 누르니 경고음이 뜹니다.
화재나 범죄 등 위급한 상황을 관제실로 바로 알립니다.
센서에 의존하는 기존 장비와 달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했습니다.
열과 온도 등 수많은 정보를 분석해 재난 대처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제조업을 하던 부산의 기업인이 4년이 넘는 연구 끝에 개발한 시스템으로, 공공기관 등 460여 곳에 납품 중입니다.
[권익환/업체 대표이사 : "오작동은 최소화하고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재난 안전시스템이나 스마트 시티(첨단 도시) 서비스에 맞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부산지역 IT 관련 기업의 매출은 최근 3년 사이 3조 원 넘게 느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산업 환경 변화로 디지털 혁신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경은/부산정보산업진흥원 단장 :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이 아니더라도 융합을 해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가도록 많이 기획하고…."]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성장 동력인 디지털 경제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부산의 중소기업 100여 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6% 정도가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기업들이 디지털 혁신의 걸림돌로 인력과 투자금을 꼽는 만큼 산업 전환을 이끌 부산시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최유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지털로 바뀌는 산업 환경…지역 기업은?
-
- 입력 2022-02-08 09:54:39
- 수정2022-02-08 11:05:48
[앵커]
산업 환경 변화로 부산의 기업들도 디지털 혁신을 미룰 수 없게 됐습니다.
발빠르게 대응한 업체들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성장하고 있는데요,
지역 경제가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각종 채소와 과일을 유통하는 농산물 도매시장.
한 상인이 태블릿 PC로 주문량을 확인합니다.
시장에 디지털을 도입한 건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입니다.
식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한 식자재를 배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빅데이터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전국 산지의 생산량과 경매가 등 정보를 수집, 분석해 농산물에 적정한 가격을 매깁니다.
식당 주인들이 발품을 파는 일을 대신해주자 매출이 크게 늘었고, 100억 원 이상의 투자도 유치했습니다.
[공경율/업체 대표이사 : "도매시장에 있는 상품, 가격 정보를 데이터화해서 고객들이 간편하게 주문해서 받아볼 수 있도록…."]
원통 모양의 기기에 비상 버튼을 누르니 경고음이 뜹니다.
화재나 범죄 등 위급한 상황을 관제실로 바로 알립니다.
센서에 의존하는 기존 장비와 달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했습니다.
열과 온도 등 수많은 정보를 분석해 재난 대처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제조업을 하던 부산의 기업인이 4년이 넘는 연구 끝에 개발한 시스템으로, 공공기관 등 460여 곳에 납품 중입니다.
[권익환/업체 대표이사 : "오작동은 최소화하고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재난 안전시스템이나 스마트 시티(첨단 도시) 서비스에 맞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부산지역 IT 관련 기업의 매출은 최근 3년 사이 3조 원 넘게 느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산업 환경 변화로 디지털 혁신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경은/부산정보산업진흥원 단장 :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이 아니더라도 융합을 해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가도록 많이 기획하고…."]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성장 동력인 디지털 경제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부산의 중소기업 100여 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6% 정도가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기업들이 디지털 혁신의 걸림돌로 인력과 투자금을 꼽는 만큼 산업 전환을 이끌 부산시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최유리
산업 환경 변화로 부산의 기업들도 디지털 혁신을 미룰 수 없게 됐습니다.
발빠르게 대응한 업체들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성장하고 있는데요,
지역 경제가 디지털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각종 채소와 과일을 유통하는 농산물 도매시장.
한 상인이 태블릿 PC로 주문량을 확인합니다.
시장에 디지털을 도입한 건 부산에서 창업한 기업입니다.
식당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한 식자재를 배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빅데이터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전국 산지의 생산량과 경매가 등 정보를 수집, 분석해 농산물에 적정한 가격을 매깁니다.
식당 주인들이 발품을 파는 일을 대신해주자 매출이 크게 늘었고, 100억 원 이상의 투자도 유치했습니다.
[공경율/업체 대표이사 : "도매시장에 있는 상품, 가격 정보를 데이터화해서 고객들이 간편하게 주문해서 받아볼 수 있도록…."]
원통 모양의 기기에 비상 버튼을 누르니 경고음이 뜹니다.
화재나 범죄 등 위급한 상황을 관제실로 바로 알립니다.
센서에 의존하는 기존 장비와 달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했습니다.
열과 온도 등 수많은 정보를 분석해 재난 대처의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제조업을 하던 부산의 기업인이 4년이 넘는 연구 끝에 개발한 시스템으로, 공공기관 등 460여 곳에 납품 중입니다.
[권익환/업체 대표이사 : "오작동은 최소화하고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재난 안전시스템이나 스마트 시티(첨단 도시) 서비스에 맞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부산지역 IT 관련 기업의 매출은 최근 3년 사이 3조 원 넘게 느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산업 환경 변화로 디지털 혁신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경은/부산정보산업진흥원 단장 : "ICT(정보통신기술) 기업이 아니더라도 융합을 해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가도록 많이 기획하고…."]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성장 동력인 디지털 경제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부산의 중소기업 100여 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6% 정도가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기업들이 디지털 혁신의 걸림돌로 인력과 투자금을 꼽는 만큼 산업 전환을 이끌 부산시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최유리
-
-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