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도 참아야”…방역·의료 지원 한계

입력 2022.02.08 (21:42) 수정 2022.02.0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제주에서 하루에 확진자가 수백 명씩 나오고 있습니다.

재택치료자도 급증하다 보니 방역과 의료 지원에 한계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익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시에 사는 50대 김 모 씨.

지난 6일, 자녀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자녀들은 모두 재택치료 중이고, 부모는 PCR 검사 결과 음성 판정 후 자가 격리 중입니다.

하지만 고열이 있던 김 씨 자녀는 확진된 지 사흘 만에야 해열제 등이 담긴 재택치료키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시청에서 주는 구호물품은 아직도 전달받지 못해 며칠째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는 실정입니다.

확진자 명단이 늦게 넘어갔다는 건데 문의조차 쉽지 않아 답답할 따름입니다.

[김 모 씨/음성변조 : "어디에다 문의해야 하고 어디에다 도움을 청해야 하는지도 전혀 알려주지도 않고. 그래서 굉장히 어려움이 많습니다."]

확진자 급증으로 재택치료자도 크게 늘면서 의료 지원 사정이 나빠지고 있습니다.

각 보건소에서 재택치료자에게 키트를 배달하고 있지만, 현재 인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겁니다.

이처럼 한계에 다다르자, 제주도는 결국, 재택치료 관리 체계를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재택치료 모니터링은 60살 이상 등 집중관리군에 한해서만 하고, 재택치료키트도 구성품을 줄여 집중관리군에게만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임태봉/제주도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 : "집중관리군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을 배정해 모니터링을 하게 되고, 일반관리군은 정기적 모니터링 없이 확진자의 현재 증상과 기저질환 등의 건강 상태를 확인 후에 필요 시 비대면 진료를."]

현재 제주지역 재택치료자 천4백여 명 가운데 10~15% 정도인 2백 명가량이 60살 이상 등 집중관리군입니다.

일반관리군은 24시간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상담센터를 운영해 기초 의료상담을 하고, 필요할 때 의약품 처방을 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도 참아야”…방역·의료 지원 한계
    • 입력 2022-02-08 21:42:40
    • 수정2022-02-08 22:04:34
    뉴스9(제주)
[앵커]

최근 제주에서 하루에 확진자가 수백 명씩 나오고 있습니다.

재택치료자도 급증하다 보니 방역과 의료 지원에 한계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익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주시에 사는 50대 김 모 씨.

지난 6일, 자녀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자녀들은 모두 재택치료 중이고, 부모는 PCR 검사 결과 음성 판정 후 자가 격리 중입니다.

하지만 고열이 있던 김 씨 자녀는 확진된 지 사흘 만에야 해열제 등이 담긴 재택치료키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시청에서 주는 구호물품은 아직도 전달받지 못해 며칠째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는 실정입니다.

확진자 명단이 늦게 넘어갔다는 건데 문의조차 쉽지 않아 답답할 따름입니다.

[김 모 씨/음성변조 : "어디에다 문의해야 하고 어디에다 도움을 청해야 하는지도 전혀 알려주지도 않고. 그래서 굉장히 어려움이 많습니다."]

확진자 급증으로 재택치료자도 크게 늘면서 의료 지원 사정이 나빠지고 있습니다.

각 보건소에서 재택치료자에게 키트를 배달하고 있지만, 현재 인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겁니다.

이처럼 한계에 다다르자, 제주도는 결국, 재택치료 관리 체계를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재택치료 모니터링은 60살 이상 등 집중관리군에 한해서만 하고, 재택치료키트도 구성품을 줄여 집중관리군에게만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임태봉/제주도 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 : "집중관리군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을 배정해 모니터링을 하게 되고, 일반관리군은 정기적 모니터링 없이 확진자의 현재 증상과 기저질환 등의 건강 상태를 확인 후에 필요 시 비대면 진료를."]

현재 제주지역 재택치료자 천4백여 명 가운데 10~15% 정도인 2백 명가량이 60살 이상 등 집중관리군입니다.

일반관리군은 24시간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상담센터를 운영해 기초 의료상담을 하고, 필요할 때 의약품 처방을 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촬영기자:고성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