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도 선택과 집중…관리 소홀 우려도

입력 2022.02.08 (21:42) 수정 2022.02.08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감염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병상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재택치료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재택치료도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고 밝혔는데 관리소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경북의 재택치료 환자 수는 각각 8천4백여 명과 7천7백여 명입니다.

1주일 전에 비해 대구는 70%, 경북은 130% 늘었습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재택치료 환자 관리에도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은 60살 이상 고령층과 50살 이상의 기저질환자입니다.

이들은 기존처럼 하루 2회 유선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비대면 진료를 합니다.

그 외 일반 재택치료 환자들은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판단해 동네 병, 의원 등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최은정/경상북도 보건정책과장 :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중증을 최소화하고 위험도가 낮은 일반 관리군에게는 도민 스스로가 관리하는…."]

이 밖에도 GPS 기반 자가격리 앱 사용이 중지되고 격리 기준도 완화되는 등 재택치료 환자 관리가 다소 느슨해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가격리 기준을 어겨 감염을 확산시키거나 1인 가정 등 방역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 아예 방치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방역당국은 일반 재택치료 환자들을 위한 24시간 상담 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정혜/대구시 보건의료정책과장 :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과 시, 그리고 소방, 구군 보건소까지 모두를 핫 라인으로 연결하는 24시간 상담센터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방역당국은 시민 자율에 맡기는 것은 확진자 급증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면서도, 방역체계가 무너지지 않도록 개인 방역수칙과 백신 접종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촬영기자:한규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택치료도 선택과 집중…관리 소홀 우려도
    • 입력 2022-02-08 21:42:59
    • 수정2022-02-08 22:07:01
    뉴스9(대구)
[앵커]

감염력은 높지만 치명률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병상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재택치료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재택치료도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고 밝혔는데 관리소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와 경북의 재택치료 환자 수는 각각 8천4백여 명과 7천7백여 명입니다.

1주일 전에 비해 대구는 70%, 경북은 130% 늘었습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은 재택치료 환자 관리에도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은 60살 이상 고령층과 50살 이상의 기저질환자입니다.

이들은 기존처럼 하루 2회 유선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비대면 진료를 합니다.

그 외 일반 재택치료 환자들은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판단해 동네 병, 의원 등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최은정/경상북도 보건정책과장 :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중증을 최소화하고 위험도가 낮은 일반 관리군에게는 도민 스스로가 관리하는…."]

이 밖에도 GPS 기반 자가격리 앱 사용이 중지되고 격리 기준도 완화되는 등 재택치료 환자 관리가 다소 느슨해지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가격리 기준을 어겨 감염을 확산시키거나 1인 가정 등 방역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 아예 방치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방역당국은 일반 재택치료 환자들을 위한 24시간 상담 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정혜/대구시 보건의료정책과장 :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과 시, 그리고 소방, 구군 보건소까지 모두를 핫 라인으로 연결하는 24시간 상담센터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방역당국은 시민 자율에 맡기는 것은 확진자 급증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면서도, 방역체계가 무너지지 않도록 개인 방역수칙과 백신 접종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촬영기자:한규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