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급난에 내수·수출 감소…긍정 전망도
입력 2022.02.18 (07:37)
수정 2022.02.18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자동차의 내수 판매와 수출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친환경차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올해 울산지역 자동차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판매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1월 내수판매가 지난해 1월보다 19.2%, 수출도 6.4% 각각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자동차 생산도 13.7% 감소한 27만 천대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반도체 수급난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 현대차 아산공장 등이 휴업에 들어간 여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반면 자동차 수출댓수는 줄었는데 수출금액이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40억 9천만 달러를 기록한 점은 긍정적입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1월보다 36.8%나 급증했고 친환경차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어섰습니다.
[김정철/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장 : "수출단가가 높은 SUV차량과 전기자동차 위주로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와 유럽지역의 수요가 증가하고 원유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구매력이 증가한 중동, 남미 등의 수요 증가로…."]
이 때문에 무역협회는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울산의 자동차 수출이 지난해보다 6%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도체 수급난과 코로나19 확산세가 얼마나 안정될 지 여부가 올해 울산의 자동차 업황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진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자동차의 내수 판매와 수출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친환경차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올해 울산지역 자동차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판매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1월 내수판매가 지난해 1월보다 19.2%, 수출도 6.4% 각각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자동차 생산도 13.7% 감소한 27만 천대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반도체 수급난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 현대차 아산공장 등이 휴업에 들어간 여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반면 자동차 수출댓수는 줄었는데 수출금액이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40억 9천만 달러를 기록한 점은 긍정적입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1월보다 36.8%나 급증했고 친환경차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어섰습니다.
[김정철/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장 : "수출단가가 높은 SUV차량과 전기자동차 위주로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와 유럽지역의 수요가 증가하고 원유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구매력이 증가한 중동, 남미 등의 수요 증가로…."]
이 때문에 무역협회는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울산의 자동차 수출이 지난해보다 6%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도체 수급난과 코로나19 확산세가 얼마나 안정될 지 여부가 올해 울산의 자동차 업황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진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 수급난에 내수·수출 감소…긍정 전망도
-
- 입력 2022-02-18 07:37:35
- 수정2022-02-18 08:01:48

[앵커]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자동차의 내수 판매와 수출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친환경차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올해 울산지역 자동차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판매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1월 내수판매가 지난해 1월보다 19.2%, 수출도 6.4% 각각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자동차 생산도 13.7% 감소한 27만 천대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반도체 수급난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 현대차 아산공장 등이 휴업에 들어간 여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반면 자동차 수출댓수는 줄었는데 수출금액이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40억 9천만 달러를 기록한 점은 긍정적입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1월보다 36.8%나 급증했고 친환경차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어섰습니다.
[김정철/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장 : "수출단가가 높은 SUV차량과 전기자동차 위주로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와 유럽지역의 수요가 증가하고 원유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구매력이 증가한 중동, 남미 등의 수요 증가로…."]
이 때문에 무역협회는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울산의 자동차 수출이 지난해보다 6%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도체 수급난과 코로나19 확산세가 얼마나 안정될 지 여부가 올해 울산의 자동차 업황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진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자동차의 내수 판매와 수출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친환경차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올해 울산지역 자동차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업계의 판매실적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1월 내수판매가 지난해 1월보다 19.2%, 수출도 6.4% 각각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자동차 생산도 13.7% 감소한 27만 천대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반도체 수급난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다 전기차 전환을 위해 현대차 아산공장 등이 휴업에 들어간 여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반면 자동차 수출댓수는 줄었는데 수출금액이 지난해보다 2.3% 증가한 40억 9천만 달러를 기록한 점은 긍정적입니다.
특히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1월보다 36.8%나 급증했고 친환경차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를 넘어섰습니다.
[김정철/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장 : "수출단가가 높은 SUV차량과 전기자동차 위주로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와 유럽지역의 수요가 증가하고 원유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구매력이 증가한 중동, 남미 등의 수요 증가로…."]
이 때문에 무역협회는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울산의 자동차 수출이 지난해보다 6%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도체 수급난과 코로나19 확산세가 얼마나 안정될 지 여부가 올해 울산의 자동차 업황을 좌우할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현진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
이현진 기자 hanky@kbs.co.kr
이현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