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초급당, 현실 부응 못해…실수에서 교훈 받아들여야”
입력 2022.02.27 (09:38)
수정 2022.02.27 (0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지난 26일 평양에서 개막한 노동당 제2차 초급당비서대회에 참석해 개회사를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오늘(27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당의 많은 초급 당조직들이 크게 성장하고 그 지위와 역할이 더욱 승격되고 활발해졌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심중한 편향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개선에서 얻은 경험을 모두가 공동으로 섭취하고 실수에서 교훈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습니다.
김 총비서는 “지난 5년간 초급 당조직들의 사업을 비판적 견지에서 총화(결산)하고 비상히 높아진 혁명발전의 요구에 맞게 초급당사업을 개선 강화하는 데서 중심고리로 되는 방도를 찾아 전당의 초급당비서들을 무장시키고 다시금 각성 분발시키자는데 이번 대회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수한 초급 당조직들의 경험과 묘술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공유해야 한다”며 “이번 대회가 우리 당의 기층조직들을 더욱 강화하고 당 사업을 혁신하는데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행사에는 김 총비서 최측근으로 꼽히는 조용원 당 비서를 비롯해 리일환 당 비서, 김재룡 조직지도부장, 오일정 군정지도부장, 김영환 평양시당위원회 책임비서, 주창일 당 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통신은 “보고와 토론들을 경청하며 단위사업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혁신해나갈 새로운 결심을 다지는 참가자들의 비상한 열의 속에 대회는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초급당비서대회는 2016년 12월 제1차 대회가 있었고 약 5년 2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열린 행사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 때 당 규약을 개정해 초급당비서대회를 5년에 한 번씩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제1차 대회에서 김 총비서는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해소 등 시정을 지시한 바 있어 이번 대회는 지난 회의에서 지적된 사항들의 개선이 이뤄졌는지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동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북한은 남측의 정부 부처에 해당하는 각 성에 초급당비서 등 당 책임자를 두고 있고, 장관도 당 책임자의 지시에 복종하게 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당의 많은 초급 당조직들이 크게 성장하고 그 지위와 역할이 더욱 승격되고 활발해졌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심중한 편향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개선에서 얻은 경험을 모두가 공동으로 섭취하고 실수에서 교훈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습니다.
김 총비서는 “지난 5년간 초급 당조직들의 사업을 비판적 견지에서 총화(결산)하고 비상히 높아진 혁명발전의 요구에 맞게 초급당사업을 개선 강화하는 데서 중심고리로 되는 방도를 찾아 전당의 초급당비서들을 무장시키고 다시금 각성 분발시키자는데 이번 대회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수한 초급 당조직들의 경험과 묘술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공유해야 한다”며 “이번 대회가 우리 당의 기층조직들을 더욱 강화하고 당 사업을 혁신하는데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행사에는 김 총비서 최측근으로 꼽히는 조용원 당 비서를 비롯해 리일환 당 비서, 김재룡 조직지도부장, 오일정 군정지도부장, 김영환 평양시당위원회 책임비서, 주창일 당 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통신은 “보고와 토론들을 경청하며 단위사업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혁신해나갈 새로운 결심을 다지는 참가자들의 비상한 열의 속에 대회는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초급당비서대회는 2016년 12월 제1차 대회가 있었고 약 5년 2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열린 행사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 때 당 규약을 개정해 초급당비서대회를 5년에 한 번씩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제1차 대회에서 김 총비서는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해소 등 시정을 지시한 바 있어 이번 대회는 지난 회의에서 지적된 사항들의 개선이 이뤄졌는지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동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북한은 남측의 정부 부처에 해당하는 각 성에 초급당비서 등 당 책임자를 두고 있고, 장관도 당 책임자의 지시에 복종하게 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정은 “초급당, 현실 부응 못해…실수에서 교훈 받아들여야”
-
- 입력 2022-02-27 09:38:19
- 수정2022-02-27 09:39:31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지난 26일 평양에서 개막한 노동당 제2차 초급당비서대회에 참석해 개회사를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오늘(27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당의 많은 초급 당조직들이 크게 성장하고 그 지위와 역할이 더욱 승격되고 활발해졌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심중한 편향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개선에서 얻은 경험을 모두가 공동으로 섭취하고 실수에서 교훈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습니다.
김 총비서는 “지난 5년간 초급 당조직들의 사업을 비판적 견지에서 총화(결산)하고 비상히 높아진 혁명발전의 요구에 맞게 초급당사업을 개선 강화하는 데서 중심고리로 되는 방도를 찾아 전당의 초급당비서들을 무장시키고 다시금 각성 분발시키자는데 이번 대회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수한 초급 당조직들의 경험과 묘술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공유해야 한다”며 “이번 대회가 우리 당의 기층조직들을 더욱 강화하고 당 사업을 혁신하는데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행사에는 김 총비서 최측근으로 꼽히는 조용원 당 비서를 비롯해 리일환 당 비서, 김재룡 조직지도부장, 오일정 군정지도부장, 김영환 평양시당위원회 책임비서, 주창일 당 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통신은 “보고와 토론들을 경청하며 단위사업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혁신해나갈 새로운 결심을 다지는 참가자들의 비상한 열의 속에 대회는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초급당비서대회는 2016년 12월 제1차 대회가 있었고 약 5년 2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열린 행사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 때 당 규약을 개정해 초급당비서대회를 5년에 한 번씩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제1차 대회에서 김 총비서는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해소 등 시정을 지시한 바 있어 이번 대회는 지난 회의에서 지적된 사항들의 개선이 이뤄졌는지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동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북한은 남측의 정부 부처에 해당하는 각 성에 초급당비서 등 당 책임자를 두고 있고, 장관도 당 책임자의 지시에 복종하게 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통신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당의 많은 초급 당조직들이 크게 성장하고 그 지위와 역할이 더욱 승격되고 활발해졌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심중한 편향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개선에서 얻은 경험을 모두가 공동으로 섭취하고 실수에서 교훈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습니다.
김 총비서는 “지난 5년간 초급 당조직들의 사업을 비판적 견지에서 총화(결산)하고 비상히 높아진 혁명발전의 요구에 맞게 초급당사업을 개선 강화하는 데서 중심고리로 되는 방도를 찾아 전당의 초급당비서들을 무장시키고 다시금 각성 분발시키자는데 이번 대회의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수한 초급 당조직들의 경험과 묘술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공유해야 한다”며 “이번 대회가 우리 당의 기층조직들을 더욱 강화하고 당 사업을 혁신하는데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행사에는 김 총비서 최측근으로 꼽히는 조용원 당 비서를 비롯해 리일환 당 비서, 김재룡 조직지도부장, 오일정 군정지도부장, 김영환 평양시당위원회 책임비서, 주창일 당 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통신은 “보고와 토론들을 경청하며 단위사업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혁신해나갈 새로운 결심을 다지는 참가자들의 비상한 열의 속에 대회는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초급당비서대회는 2016년 12월 제1차 대회가 있었고 약 5년 2개월 만에 두 번째로 열린 행사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 때 당 규약을 개정해 초급당비서대회를 5년에 한 번씩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제1차 대회에서 김 총비서는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해소 등 시정을 지시한 바 있어 이번 대회는 지난 회의에서 지적된 사항들의 개선이 이뤄졌는지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노동당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북한은 남측의 정부 부처에 해당하는 각 성에 초급당비서 등 당 책임자를 두고 있고, 장관도 당 책임자의 지시에 복종하게 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